중국 상하이협력기구 정상회의에 푸틴·모디 등 참석 예정
입력 2025.08.22 (15:46)
수정 2025.08.22 (15:49)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오는 31일 개막하는 상하이협력기구(SCO) 정상회의에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 나렌드라 모디 인도 총리 등을 초청했습니다.
류빈 중국 외교부 부장조리(차관보)는 22일 정상회의 준비 상황과 관련한 기자회견에서 시 주석이 푸틴 대통령과 안토니우 구테흐스 유엔(UN) 사무총장, 나렌드라 모디 인도 총리, 마수드 페제시키안 이란 대통령 등 20명을 SCO 정상회의에 초청해 정치 및 안보 회의를 개최할 예정이라고 말했습니다.
류 부장조리는 "국제 정세가 격동하고 복잡해질수록 모든 국가가 단결과 협력을 강화하는 것이 더욱 중요해진다"고 설명했습니다.
오는 31일부터 다음 달 1일까지 중국 톈진에서 정상회의를 개최하는 SCO는 중국과 러시아가 주도하는 정치·경제·안보 분야 다자 협력체입니다.
2001년 중국·러시아·카자흐스탄·키르기스스탄·타지키스탄·우즈베키스탄 등 6개국으로 출범한 데 이어 인도·파키스탄·이란·벨라루스 등 반서방 성향의 국가들이 참여해 현재 10개의 정회원국으로 구성돼 있습니다.
지난해에는 카자흐스탄 아스타나에서 정상회의를 개최했으며, 당시 회원국들은 지역 테러 방지와 재생에너지 및 디지털 경제 분야 협력 강화에 합의한 바 있습니다.
류 부장조리는 "SCO의 안정성과 회복력을 바탕으로 우리는 예측 불가능한 요소에 대처하고, 지속 가능한 평화를 위한 환경을 조성할 수 있다"면서 "이번 정상회의는 톈진 선언 서명과 발표로 마무리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푸틴 대통령과 모디 총리는 다음 달 3일 베이징에서 개최되는 '항일전쟁 및 세계 반파시스트 전쟁'(제2차 세계대전) 승전 80주년 열병식에도 참석할 전망입니다.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에 따르면 올해 전승절 열병식에는 동남아시아 지도자들이 다수 참석할 것으로 관측됩니다.
프라보워 수비안토 인도네시아 대통령, 안와르 이브라힘 말레이시아 총리, 르엉 끄엉 베트남 국가주석 등이 대표적으로 거론됩니다.
SCMP는 이에 대해 "중국이 동남아 지역에서 점점 더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풀이했습니다.
한국은 의전 서열 2위인 우원식 국회의장이 참석하며 여야 의원들이 동행합니다.
반면, 푸틴 대통령의 열병식 참석 소식에 함께 초청된 유럽연합(EU) 외교관들은 불참을 논의 중인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앞서 SCMP는 "외교관들이 불참을 합의한다면, 이를 통해 유럽이 우크라이나 전쟁에 대한 강력한 메시지를 보낼 수 있다"고 평가했습니다.
승전 70주년이던 2015년 열병식에는 토니 블레어 전 영국 총리와 게르하르트 슈뢰더 전 독일 총리가 참석했고, 체코와 세르비아에서도 대통령이 직접 중국을 찾은 바 있습니다.
[사진 출처 : 로이터=연합뉴스]
류빈 중국 외교부 부장조리(차관보)는 22일 정상회의 준비 상황과 관련한 기자회견에서 시 주석이 푸틴 대통령과 안토니우 구테흐스 유엔(UN) 사무총장, 나렌드라 모디 인도 총리, 마수드 페제시키안 이란 대통령 등 20명을 SCO 정상회의에 초청해 정치 및 안보 회의를 개최할 예정이라고 말했습니다.
류 부장조리는 "국제 정세가 격동하고 복잡해질수록 모든 국가가 단결과 협력을 강화하는 것이 더욱 중요해진다"고 설명했습니다.
오는 31일부터 다음 달 1일까지 중국 톈진에서 정상회의를 개최하는 SCO는 중국과 러시아가 주도하는 정치·경제·안보 분야 다자 협력체입니다.
2001년 중국·러시아·카자흐스탄·키르기스스탄·타지키스탄·우즈베키스탄 등 6개국으로 출범한 데 이어 인도·파키스탄·이란·벨라루스 등 반서방 성향의 국가들이 참여해 현재 10개의 정회원국으로 구성돼 있습니다.
지난해에는 카자흐스탄 아스타나에서 정상회의를 개최했으며, 당시 회원국들은 지역 테러 방지와 재생에너지 및 디지털 경제 분야 협력 강화에 합의한 바 있습니다.
류 부장조리는 "SCO의 안정성과 회복력을 바탕으로 우리는 예측 불가능한 요소에 대처하고, 지속 가능한 평화를 위한 환경을 조성할 수 있다"면서 "이번 정상회의는 톈진 선언 서명과 발표로 마무리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푸틴 대통령과 모디 총리는 다음 달 3일 베이징에서 개최되는 '항일전쟁 및 세계 반파시스트 전쟁'(제2차 세계대전) 승전 80주년 열병식에도 참석할 전망입니다.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에 따르면 올해 전승절 열병식에는 동남아시아 지도자들이 다수 참석할 것으로 관측됩니다.
프라보워 수비안토 인도네시아 대통령, 안와르 이브라힘 말레이시아 총리, 르엉 끄엉 베트남 국가주석 등이 대표적으로 거론됩니다.
SCMP는 이에 대해 "중국이 동남아 지역에서 점점 더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풀이했습니다.
한국은 의전 서열 2위인 우원식 국회의장이 참석하며 여야 의원들이 동행합니다.
반면, 푸틴 대통령의 열병식 참석 소식에 함께 초청된 유럽연합(EU) 외교관들은 불참을 논의 중인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앞서 SCMP는 "외교관들이 불참을 합의한다면, 이를 통해 유럽이 우크라이나 전쟁에 대한 강력한 메시지를 보낼 수 있다"고 평가했습니다.
승전 70주년이던 2015년 열병식에는 토니 블레어 전 영국 총리와 게르하르트 슈뢰더 전 독일 총리가 참석했고, 체코와 세르비아에서도 대통령이 직접 중국을 찾은 바 있습니다.
[사진 출처 : 로이터=연합뉴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중국 상하이협력기구 정상회의에 푸틴·모디 등 참석 예정
-
- 입력 2025-08-22 15:46:16
- 수정2025-08-22 15:49:02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오는 31일 개막하는 상하이협력기구(SCO) 정상회의에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 나렌드라 모디 인도 총리 등을 초청했습니다.
류빈 중국 외교부 부장조리(차관보)는 22일 정상회의 준비 상황과 관련한 기자회견에서 시 주석이 푸틴 대통령과 안토니우 구테흐스 유엔(UN) 사무총장, 나렌드라 모디 인도 총리, 마수드 페제시키안 이란 대통령 등 20명을 SCO 정상회의에 초청해 정치 및 안보 회의를 개최할 예정이라고 말했습니다.
류 부장조리는 "국제 정세가 격동하고 복잡해질수록 모든 국가가 단결과 협력을 강화하는 것이 더욱 중요해진다"고 설명했습니다.
오는 31일부터 다음 달 1일까지 중국 톈진에서 정상회의를 개최하는 SCO는 중국과 러시아가 주도하는 정치·경제·안보 분야 다자 협력체입니다.
2001년 중국·러시아·카자흐스탄·키르기스스탄·타지키스탄·우즈베키스탄 등 6개국으로 출범한 데 이어 인도·파키스탄·이란·벨라루스 등 반서방 성향의 국가들이 참여해 현재 10개의 정회원국으로 구성돼 있습니다.
지난해에는 카자흐스탄 아스타나에서 정상회의를 개최했으며, 당시 회원국들은 지역 테러 방지와 재생에너지 및 디지털 경제 분야 협력 강화에 합의한 바 있습니다.
류 부장조리는 "SCO의 안정성과 회복력을 바탕으로 우리는 예측 불가능한 요소에 대처하고, 지속 가능한 평화를 위한 환경을 조성할 수 있다"면서 "이번 정상회의는 톈진 선언 서명과 발표로 마무리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푸틴 대통령과 모디 총리는 다음 달 3일 베이징에서 개최되는 '항일전쟁 및 세계 반파시스트 전쟁'(제2차 세계대전) 승전 80주년 열병식에도 참석할 전망입니다.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에 따르면 올해 전승절 열병식에는 동남아시아 지도자들이 다수 참석할 것으로 관측됩니다.
프라보워 수비안토 인도네시아 대통령, 안와르 이브라힘 말레이시아 총리, 르엉 끄엉 베트남 국가주석 등이 대표적으로 거론됩니다.
SCMP는 이에 대해 "중국이 동남아 지역에서 점점 더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풀이했습니다.
한국은 의전 서열 2위인 우원식 국회의장이 참석하며 여야 의원들이 동행합니다.
반면, 푸틴 대통령의 열병식 참석 소식에 함께 초청된 유럽연합(EU) 외교관들은 불참을 논의 중인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앞서 SCMP는 "외교관들이 불참을 합의한다면, 이를 통해 유럽이 우크라이나 전쟁에 대한 강력한 메시지를 보낼 수 있다"고 평가했습니다.
승전 70주년이던 2015년 열병식에는 토니 블레어 전 영국 총리와 게르하르트 슈뢰더 전 독일 총리가 참석했고, 체코와 세르비아에서도 대통령이 직접 중국을 찾은 바 있습니다.
[사진 출처 : 로이터=연합뉴스]
류빈 중국 외교부 부장조리(차관보)는 22일 정상회의 준비 상황과 관련한 기자회견에서 시 주석이 푸틴 대통령과 안토니우 구테흐스 유엔(UN) 사무총장, 나렌드라 모디 인도 총리, 마수드 페제시키안 이란 대통령 등 20명을 SCO 정상회의에 초청해 정치 및 안보 회의를 개최할 예정이라고 말했습니다.
류 부장조리는 "국제 정세가 격동하고 복잡해질수록 모든 국가가 단결과 협력을 강화하는 것이 더욱 중요해진다"고 설명했습니다.
오는 31일부터 다음 달 1일까지 중국 톈진에서 정상회의를 개최하는 SCO는 중국과 러시아가 주도하는 정치·경제·안보 분야 다자 협력체입니다.
2001년 중국·러시아·카자흐스탄·키르기스스탄·타지키스탄·우즈베키스탄 등 6개국으로 출범한 데 이어 인도·파키스탄·이란·벨라루스 등 반서방 성향의 국가들이 참여해 현재 10개의 정회원국으로 구성돼 있습니다.
지난해에는 카자흐스탄 아스타나에서 정상회의를 개최했으며, 당시 회원국들은 지역 테러 방지와 재생에너지 및 디지털 경제 분야 협력 강화에 합의한 바 있습니다.
류 부장조리는 "SCO의 안정성과 회복력을 바탕으로 우리는 예측 불가능한 요소에 대처하고, 지속 가능한 평화를 위한 환경을 조성할 수 있다"면서 "이번 정상회의는 톈진 선언 서명과 발표로 마무리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푸틴 대통령과 모디 총리는 다음 달 3일 베이징에서 개최되는 '항일전쟁 및 세계 반파시스트 전쟁'(제2차 세계대전) 승전 80주년 열병식에도 참석할 전망입니다.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에 따르면 올해 전승절 열병식에는 동남아시아 지도자들이 다수 참석할 것으로 관측됩니다.
프라보워 수비안토 인도네시아 대통령, 안와르 이브라힘 말레이시아 총리, 르엉 끄엉 베트남 국가주석 등이 대표적으로 거론됩니다.
SCMP는 이에 대해 "중국이 동남아 지역에서 점점 더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풀이했습니다.
한국은 의전 서열 2위인 우원식 국회의장이 참석하며 여야 의원들이 동행합니다.
반면, 푸틴 대통령의 열병식 참석 소식에 함께 초청된 유럽연합(EU) 외교관들은 불참을 논의 중인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앞서 SCMP는 "외교관들이 불참을 합의한다면, 이를 통해 유럽이 우크라이나 전쟁에 대한 강력한 메시지를 보낼 수 있다"고 평가했습니다.
승전 70주년이던 2015년 열병식에는 토니 블레어 전 영국 총리와 게르하르트 슈뢰더 전 독일 총리가 참석했고, 체코와 세르비아에서도 대통령이 직접 중국을 찾은 바 있습니다.
[사진 출처 : 로이터=연합뉴스]
-
-
홍진아 기자 gina@kbs.co.kr
홍진아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