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문수 “다 내보내면 개헌 못막아”…장동혁 “내부 총질에는 출당 결단”
입력 2025.08.23 (20:35)
수정 2025.08.23 (20:41)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민의힘 대표 선거 결선에 오른 김문수·장동혁 후보는 당원 투표·여론조사 개시 하루 전인 23일 TV 토론에서 ‘내부 통합론’과 ‘원외 대표 한계론’을 두고 날 선 공방을 벌였습니다.
이번 토론은 반탄(윤석열 전 대통령 탄핵 반대)파 김·장 후보간의 맞대결 토론이었던 만큼, 찬탄·반탄 2 대 2 구도에서 진행된 1차 경선 때의 토론과 달리 계엄 및 탄핵을 둘러싼 후보 간 설전은 없었습니다.
■ 金 “다 내보내면 누구와 일하나”…張 “내부 총질과 함께 하는 게 통합이냐”
김 후보는 “장 후보가 내부 총질하는 사람 다 내보내야 한다고 하는데 우리 당 의원이 100명 이하로 무너지면 이재명 정권이 장기 집권을 위한 개헌을 한다”며 “개헌 저지선이 무너져도 괜찮은가”라고 따져 물었습니다.
이어 “의원 한 분, 한 분이 중요하고, 107석은 자유민주주의를 지키는 보석 같은 존재”라며 “장 후보의 발상은 허무주의”라고 비판했습니다.
이에 대해 장 후보는 “막연하게 107명이 있으면 개헌을 막을 수 있다고 장밋빛 전망하는 게 잘못”이라며 “국민의힘 의원 108명이 있었지만, 탄핵을 막지 못한 경험이 있다”고 반박했습니다.
장 후보는 “김 후보가 조경태, 안철수 의원을 품어야 한다고 하지만, 조 의원은 ‘당원 명부 특검에 내줘야 한다’, ‘당내 내란 동조 세력이 있다’고 하는 분”이라며 “그런 분과 함께 가는 것이 진정한 통합인지 묻고 싶다”고 비판했습니다.
김 후보는 “조경태 후보를 설득하고 대화해야지, 암세포 잘라내듯 잘라내야 한다는 것은 과도한 발언”이라며 “다 자르면 국민의힘이 누구랑 일하겠는가”라고 반박했습니다.
장 후보는 오늘 김 후보와 안 후보의 오찬 회동도 거론, “윤 전 대통령을 단절해야 한다는 답변만 듣고 오지 않았는가”라고 물었고, 김 후보는 “안 후보 만나서 의기투합했다”고 주장했습니다.
장 후보는 ‘친한(친한동훈)계가 당론을 안 따르면 탈당(출당) 조치할 것인가’라는 사회자 질문에 “계파를 묻지 않고 내부 총질하는 분들에 대해서는 결단할 수밖에 없다”고 답했습니다.
■ 張 “원외 대표 구심점 안돼” vs 金 “장 후보보다 내가 의원 더 오래 해”
현역 의원인 장 후보는 “대여 투쟁의 기본은 원내 싸움이고, 원내에서 국민과 연대해 싸우는 것이 가장 효율적”이라며 “한동훈 전 대표, 황교안 전 대표가 원내 구심점 없어서 제대로 되지 않았다”고 말했습니다.
원외 후보인 김 후보는 “황 전 대표나 한 전 대표는 국회의원을 해본 적이 없다. 저는 세 번이나 했고, 장 후보보다 더 오래 했다”며 “의원 3년밖에 안 되는 장 후보가 (저를) 국회 경험이 없다고 하면 말이 되는가”라고 쏘아붙였습니다.
김 후보는 “장 후보가 국회의원이어야 당 대표를 할 수 있다고 하지만, 국회만으로 이재명 독재를 막기 어렵다”며 “(윤 전 대통령 등) 인권 탄압에 대해 (함께 할) 인권 단체가 많이 있다. 미국, 유럽과 국제적 연대를 해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두 후보는 지난 대선 후보 등록 이전 김 후보와 한덕수 전 국무총리의 단일화가 무산된 것을 두고도 설전을 벌였습니다.
장 후보는 “후보 단일화를 했더라면 후보 교체 논란이 없었을 것”이라며 “대선에서 탄핵 민심을 잘 담아내고, 김 후보가 약속했던 것처럼 단일화 과정이 아름답게 진행됐다면 결과가 달라졌을 수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김 후보는 “당시 (당 지도부가) 한 전 국무총리로 후보 교체를 하려고 한 것이지 어떻게 단일화인가”라며 대선 캠프에서 상황실장도 한 장 후보가 그러니까 너무 답답하다“고 반박했다.
■ 정청래에 먼저 연락?‘…金·張 모두 ’O‘
김·장 후보는 ’전대에 화환을 보낸 더불어민주당 정청래 대표에게 먼저 연락하겠다‘는 ’오엑스‘(OX) 게임에서 모두 ’O‘를 들었습니다.
김 후보는 ”서로 예를 갖추는 것이 정치의 기본이 아닌가 생각한다“고, 장 후보는 ”대표가 되면 먼저 연락하고 협치 물꼬 틀 수 있게 노력하겠다“고 말했습니다.
김 후보는 내년 재·보궐 선거에서 한동훈 전 대표와 전한길 씨 중 공천해야 한다면 누구에게 공천하겠는가’라는 사회자 질문에 ”한 전 대표“라며 ”다 훌륭한 분이지만 한 전 대표는 우리 당 자산 중 한 사람이라 생각한다“고 말했다.
앞서 장 후보는 지난 19일 TV 토론에서 같은 질문에 ”열심히 싸워온 분에게 공천을 줄 수 있다고 생각한다“며 전씨에게 공천을 주겠다고 밝힌 바 있습니다.
김 후보는 ‘윤 전 대통령이 복당 신청하면 받아주겠다고 하는데 도로 친윤당 아닌가’ 사회자 질문에 ”적절한 때 복당을 신청하면 당연히 받아들이는 게 맞고, 박근혜 전 대통령도 원하면 받아들이는 게 우리 당 정통성에 맞다“고 답했습니다.
장 후보는 ‘윤석열 전 대통령 면회를 갈 것인가’ 질문에 ”우리 당의 당원이었던 전직 대통령이고, 대표가 되면 인간적 예의를 지키겠다는 의미에서 접견하겠다는 약속을 지키겠다“고 말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이번 토론은 반탄(윤석열 전 대통령 탄핵 반대)파 김·장 후보간의 맞대결 토론이었던 만큼, 찬탄·반탄 2 대 2 구도에서 진행된 1차 경선 때의 토론과 달리 계엄 및 탄핵을 둘러싼 후보 간 설전은 없었습니다.
■ 金 “다 내보내면 누구와 일하나”…張 “내부 총질과 함께 하는 게 통합이냐”
김 후보는 “장 후보가 내부 총질하는 사람 다 내보내야 한다고 하는데 우리 당 의원이 100명 이하로 무너지면 이재명 정권이 장기 집권을 위한 개헌을 한다”며 “개헌 저지선이 무너져도 괜찮은가”라고 따져 물었습니다.
이어 “의원 한 분, 한 분이 중요하고, 107석은 자유민주주의를 지키는 보석 같은 존재”라며 “장 후보의 발상은 허무주의”라고 비판했습니다.
이에 대해 장 후보는 “막연하게 107명이 있으면 개헌을 막을 수 있다고 장밋빛 전망하는 게 잘못”이라며 “국민의힘 의원 108명이 있었지만, 탄핵을 막지 못한 경험이 있다”고 반박했습니다.
장 후보는 “김 후보가 조경태, 안철수 의원을 품어야 한다고 하지만, 조 의원은 ‘당원 명부 특검에 내줘야 한다’, ‘당내 내란 동조 세력이 있다’고 하는 분”이라며 “그런 분과 함께 가는 것이 진정한 통합인지 묻고 싶다”고 비판했습니다.
김 후보는 “조경태 후보를 설득하고 대화해야지, 암세포 잘라내듯 잘라내야 한다는 것은 과도한 발언”이라며 “다 자르면 국민의힘이 누구랑 일하겠는가”라고 반박했습니다.
장 후보는 오늘 김 후보와 안 후보의 오찬 회동도 거론, “윤 전 대통령을 단절해야 한다는 답변만 듣고 오지 않았는가”라고 물었고, 김 후보는 “안 후보 만나서 의기투합했다”고 주장했습니다.
장 후보는 ‘친한(친한동훈)계가 당론을 안 따르면 탈당(출당) 조치할 것인가’라는 사회자 질문에 “계파를 묻지 않고 내부 총질하는 분들에 대해서는 결단할 수밖에 없다”고 답했습니다.
■ 張 “원외 대표 구심점 안돼” vs 金 “장 후보보다 내가 의원 더 오래 해”
현역 의원인 장 후보는 “대여 투쟁의 기본은 원내 싸움이고, 원내에서 국민과 연대해 싸우는 것이 가장 효율적”이라며 “한동훈 전 대표, 황교안 전 대표가 원내 구심점 없어서 제대로 되지 않았다”고 말했습니다.
원외 후보인 김 후보는 “황 전 대표나 한 전 대표는 국회의원을 해본 적이 없다. 저는 세 번이나 했고, 장 후보보다 더 오래 했다”며 “의원 3년밖에 안 되는 장 후보가 (저를) 국회 경험이 없다고 하면 말이 되는가”라고 쏘아붙였습니다.
김 후보는 “장 후보가 국회의원이어야 당 대표를 할 수 있다고 하지만, 국회만으로 이재명 독재를 막기 어렵다”며 “(윤 전 대통령 등) 인권 탄압에 대해 (함께 할) 인권 단체가 많이 있다. 미국, 유럽과 국제적 연대를 해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두 후보는 지난 대선 후보 등록 이전 김 후보와 한덕수 전 국무총리의 단일화가 무산된 것을 두고도 설전을 벌였습니다.
장 후보는 “후보 단일화를 했더라면 후보 교체 논란이 없었을 것”이라며 “대선에서 탄핵 민심을 잘 담아내고, 김 후보가 약속했던 것처럼 단일화 과정이 아름답게 진행됐다면 결과가 달라졌을 수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김 후보는 “당시 (당 지도부가) 한 전 국무총리로 후보 교체를 하려고 한 것이지 어떻게 단일화인가”라며 대선 캠프에서 상황실장도 한 장 후보가 그러니까 너무 답답하다“고 반박했다.
■ 정청래에 먼저 연락?‘…金·張 모두 ’O‘
김·장 후보는 ’전대에 화환을 보낸 더불어민주당 정청래 대표에게 먼저 연락하겠다‘는 ’오엑스‘(OX) 게임에서 모두 ’O‘를 들었습니다.
김 후보는 ”서로 예를 갖추는 것이 정치의 기본이 아닌가 생각한다“고, 장 후보는 ”대표가 되면 먼저 연락하고 협치 물꼬 틀 수 있게 노력하겠다“고 말했습니다.
김 후보는 내년 재·보궐 선거에서 한동훈 전 대표와 전한길 씨 중 공천해야 한다면 누구에게 공천하겠는가’라는 사회자 질문에 ”한 전 대표“라며 ”다 훌륭한 분이지만 한 전 대표는 우리 당 자산 중 한 사람이라 생각한다“고 말했다.
앞서 장 후보는 지난 19일 TV 토론에서 같은 질문에 ”열심히 싸워온 분에게 공천을 줄 수 있다고 생각한다“며 전씨에게 공천을 주겠다고 밝힌 바 있습니다.
김 후보는 ‘윤 전 대통령이 복당 신청하면 받아주겠다고 하는데 도로 친윤당 아닌가’ 사회자 질문에 ”적절한 때 복당을 신청하면 당연히 받아들이는 게 맞고, 박근혜 전 대통령도 원하면 받아들이는 게 우리 당 정통성에 맞다“고 답했습니다.
장 후보는 ‘윤석열 전 대통령 면회를 갈 것인가’ 질문에 ”우리 당의 당원이었던 전직 대통령이고, 대표가 되면 인간적 예의를 지키겠다는 의미에서 접견하겠다는 약속을 지키겠다“고 말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김문수 “다 내보내면 개헌 못막아”…장동혁 “내부 총질에는 출당 결단”
-
- 입력 2025-08-23 20:35:56
- 수정2025-08-23 20:41:04

국민의힘 대표 선거 결선에 오른 김문수·장동혁 후보는 당원 투표·여론조사 개시 하루 전인 23일 TV 토론에서 ‘내부 통합론’과 ‘원외 대표 한계론’을 두고 날 선 공방을 벌였습니다.
이번 토론은 반탄(윤석열 전 대통령 탄핵 반대)파 김·장 후보간의 맞대결 토론이었던 만큼, 찬탄·반탄 2 대 2 구도에서 진행된 1차 경선 때의 토론과 달리 계엄 및 탄핵을 둘러싼 후보 간 설전은 없었습니다.
■ 金 “다 내보내면 누구와 일하나”…張 “내부 총질과 함께 하는 게 통합이냐”
김 후보는 “장 후보가 내부 총질하는 사람 다 내보내야 한다고 하는데 우리 당 의원이 100명 이하로 무너지면 이재명 정권이 장기 집권을 위한 개헌을 한다”며 “개헌 저지선이 무너져도 괜찮은가”라고 따져 물었습니다.
이어 “의원 한 분, 한 분이 중요하고, 107석은 자유민주주의를 지키는 보석 같은 존재”라며 “장 후보의 발상은 허무주의”라고 비판했습니다.
이에 대해 장 후보는 “막연하게 107명이 있으면 개헌을 막을 수 있다고 장밋빛 전망하는 게 잘못”이라며 “국민의힘 의원 108명이 있었지만, 탄핵을 막지 못한 경험이 있다”고 반박했습니다.
장 후보는 “김 후보가 조경태, 안철수 의원을 품어야 한다고 하지만, 조 의원은 ‘당원 명부 특검에 내줘야 한다’, ‘당내 내란 동조 세력이 있다’고 하는 분”이라며 “그런 분과 함께 가는 것이 진정한 통합인지 묻고 싶다”고 비판했습니다.
김 후보는 “조경태 후보를 설득하고 대화해야지, 암세포 잘라내듯 잘라내야 한다는 것은 과도한 발언”이라며 “다 자르면 국민의힘이 누구랑 일하겠는가”라고 반박했습니다.
장 후보는 오늘 김 후보와 안 후보의 오찬 회동도 거론, “윤 전 대통령을 단절해야 한다는 답변만 듣고 오지 않았는가”라고 물었고, 김 후보는 “안 후보 만나서 의기투합했다”고 주장했습니다.
장 후보는 ‘친한(친한동훈)계가 당론을 안 따르면 탈당(출당) 조치할 것인가’라는 사회자 질문에 “계파를 묻지 않고 내부 총질하는 분들에 대해서는 결단할 수밖에 없다”고 답했습니다.
■ 張 “원외 대표 구심점 안돼” vs 金 “장 후보보다 내가 의원 더 오래 해”
현역 의원인 장 후보는 “대여 투쟁의 기본은 원내 싸움이고, 원내에서 국민과 연대해 싸우는 것이 가장 효율적”이라며 “한동훈 전 대표, 황교안 전 대표가 원내 구심점 없어서 제대로 되지 않았다”고 말했습니다.
원외 후보인 김 후보는 “황 전 대표나 한 전 대표는 국회의원을 해본 적이 없다. 저는 세 번이나 했고, 장 후보보다 더 오래 했다”며 “의원 3년밖에 안 되는 장 후보가 (저를) 국회 경험이 없다고 하면 말이 되는가”라고 쏘아붙였습니다.
김 후보는 “장 후보가 국회의원이어야 당 대표를 할 수 있다고 하지만, 국회만으로 이재명 독재를 막기 어렵다”며 “(윤 전 대통령 등) 인권 탄압에 대해 (함께 할) 인권 단체가 많이 있다. 미국, 유럽과 국제적 연대를 해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두 후보는 지난 대선 후보 등록 이전 김 후보와 한덕수 전 국무총리의 단일화가 무산된 것을 두고도 설전을 벌였습니다.
장 후보는 “후보 단일화를 했더라면 후보 교체 논란이 없었을 것”이라며 “대선에서 탄핵 민심을 잘 담아내고, 김 후보가 약속했던 것처럼 단일화 과정이 아름답게 진행됐다면 결과가 달라졌을 수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김 후보는 “당시 (당 지도부가) 한 전 국무총리로 후보 교체를 하려고 한 것이지 어떻게 단일화인가”라며 대선 캠프에서 상황실장도 한 장 후보가 그러니까 너무 답답하다“고 반박했다.
■ 정청래에 먼저 연락?‘…金·張 모두 ’O‘
김·장 후보는 ’전대에 화환을 보낸 더불어민주당 정청래 대표에게 먼저 연락하겠다‘는 ’오엑스‘(OX) 게임에서 모두 ’O‘를 들었습니다.
김 후보는 ”서로 예를 갖추는 것이 정치의 기본이 아닌가 생각한다“고, 장 후보는 ”대표가 되면 먼저 연락하고 협치 물꼬 틀 수 있게 노력하겠다“고 말했습니다.
김 후보는 내년 재·보궐 선거에서 한동훈 전 대표와 전한길 씨 중 공천해야 한다면 누구에게 공천하겠는가’라는 사회자 질문에 ”한 전 대표“라며 ”다 훌륭한 분이지만 한 전 대표는 우리 당 자산 중 한 사람이라 생각한다“고 말했다.
앞서 장 후보는 지난 19일 TV 토론에서 같은 질문에 ”열심히 싸워온 분에게 공천을 줄 수 있다고 생각한다“며 전씨에게 공천을 주겠다고 밝힌 바 있습니다.
김 후보는 ‘윤 전 대통령이 복당 신청하면 받아주겠다고 하는데 도로 친윤당 아닌가’ 사회자 질문에 ”적절한 때 복당을 신청하면 당연히 받아들이는 게 맞고, 박근혜 전 대통령도 원하면 받아들이는 게 우리 당 정통성에 맞다“고 답했습니다.
장 후보는 ‘윤석열 전 대통령 면회를 갈 것인가’ 질문에 ”우리 당의 당원이었던 전직 대통령이고, 대표가 되면 인간적 예의를 지키겠다는 의미에서 접견하겠다는 약속을 지키겠다“고 말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이번 토론은 반탄(윤석열 전 대통령 탄핵 반대)파 김·장 후보간의 맞대결 토론이었던 만큼, 찬탄·반탄 2 대 2 구도에서 진행된 1차 경선 때의 토론과 달리 계엄 및 탄핵을 둘러싼 후보 간 설전은 없었습니다.
■ 金 “다 내보내면 누구와 일하나”…張 “내부 총질과 함께 하는 게 통합이냐”
김 후보는 “장 후보가 내부 총질하는 사람 다 내보내야 한다고 하는데 우리 당 의원이 100명 이하로 무너지면 이재명 정권이 장기 집권을 위한 개헌을 한다”며 “개헌 저지선이 무너져도 괜찮은가”라고 따져 물었습니다.
이어 “의원 한 분, 한 분이 중요하고, 107석은 자유민주주의를 지키는 보석 같은 존재”라며 “장 후보의 발상은 허무주의”라고 비판했습니다.
이에 대해 장 후보는 “막연하게 107명이 있으면 개헌을 막을 수 있다고 장밋빛 전망하는 게 잘못”이라며 “국민의힘 의원 108명이 있었지만, 탄핵을 막지 못한 경험이 있다”고 반박했습니다.
장 후보는 “김 후보가 조경태, 안철수 의원을 품어야 한다고 하지만, 조 의원은 ‘당원 명부 특검에 내줘야 한다’, ‘당내 내란 동조 세력이 있다’고 하는 분”이라며 “그런 분과 함께 가는 것이 진정한 통합인지 묻고 싶다”고 비판했습니다.
김 후보는 “조경태 후보를 설득하고 대화해야지, 암세포 잘라내듯 잘라내야 한다는 것은 과도한 발언”이라며 “다 자르면 국민의힘이 누구랑 일하겠는가”라고 반박했습니다.
장 후보는 오늘 김 후보와 안 후보의 오찬 회동도 거론, “윤 전 대통령을 단절해야 한다는 답변만 듣고 오지 않았는가”라고 물었고, 김 후보는 “안 후보 만나서 의기투합했다”고 주장했습니다.
장 후보는 ‘친한(친한동훈)계가 당론을 안 따르면 탈당(출당) 조치할 것인가’라는 사회자 질문에 “계파를 묻지 않고 내부 총질하는 분들에 대해서는 결단할 수밖에 없다”고 답했습니다.
■ 張 “원외 대표 구심점 안돼” vs 金 “장 후보보다 내가 의원 더 오래 해”
현역 의원인 장 후보는 “대여 투쟁의 기본은 원내 싸움이고, 원내에서 국민과 연대해 싸우는 것이 가장 효율적”이라며 “한동훈 전 대표, 황교안 전 대표가 원내 구심점 없어서 제대로 되지 않았다”고 말했습니다.
원외 후보인 김 후보는 “황 전 대표나 한 전 대표는 국회의원을 해본 적이 없다. 저는 세 번이나 했고, 장 후보보다 더 오래 했다”며 “의원 3년밖에 안 되는 장 후보가 (저를) 국회 경험이 없다고 하면 말이 되는가”라고 쏘아붙였습니다.
김 후보는 “장 후보가 국회의원이어야 당 대표를 할 수 있다고 하지만, 국회만으로 이재명 독재를 막기 어렵다”며 “(윤 전 대통령 등) 인권 탄압에 대해 (함께 할) 인권 단체가 많이 있다. 미국, 유럽과 국제적 연대를 해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두 후보는 지난 대선 후보 등록 이전 김 후보와 한덕수 전 국무총리의 단일화가 무산된 것을 두고도 설전을 벌였습니다.
장 후보는 “후보 단일화를 했더라면 후보 교체 논란이 없었을 것”이라며 “대선에서 탄핵 민심을 잘 담아내고, 김 후보가 약속했던 것처럼 단일화 과정이 아름답게 진행됐다면 결과가 달라졌을 수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김 후보는 “당시 (당 지도부가) 한 전 국무총리로 후보 교체를 하려고 한 것이지 어떻게 단일화인가”라며 대선 캠프에서 상황실장도 한 장 후보가 그러니까 너무 답답하다“고 반박했다.
■ 정청래에 먼저 연락?‘…金·張 모두 ’O‘
김·장 후보는 ’전대에 화환을 보낸 더불어민주당 정청래 대표에게 먼저 연락하겠다‘는 ’오엑스‘(OX) 게임에서 모두 ’O‘를 들었습니다.
김 후보는 ”서로 예를 갖추는 것이 정치의 기본이 아닌가 생각한다“고, 장 후보는 ”대표가 되면 먼저 연락하고 협치 물꼬 틀 수 있게 노력하겠다“고 말했습니다.
김 후보는 내년 재·보궐 선거에서 한동훈 전 대표와 전한길 씨 중 공천해야 한다면 누구에게 공천하겠는가’라는 사회자 질문에 ”한 전 대표“라며 ”다 훌륭한 분이지만 한 전 대표는 우리 당 자산 중 한 사람이라 생각한다“고 말했다.
앞서 장 후보는 지난 19일 TV 토론에서 같은 질문에 ”열심히 싸워온 분에게 공천을 줄 수 있다고 생각한다“며 전씨에게 공천을 주겠다고 밝힌 바 있습니다.
김 후보는 ‘윤 전 대통령이 복당 신청하면 받아주겠다고 하는데 도로 친윤당 아닌가’ 사회자 질문에 ”적절한 때 복당을 신청하면 당연히 받아들이는 게 맞고, 박근혜 전 대통령도 원하면 받아들이는 게 우리 당 정통성에 맞다“고 답했습니다.
장 후보는 ‘윤석열 전 대통령 면회를 갈 것인가’ 질문에 ”우리 당의 당원이었던 전직 대통령이고, 대표가 되면 인간적 예의를 지키겠다는 의미에서 접견하겠다는 약속을 지키겠다“고 말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
김유대 기자 ydkim@kbs.co.kr
김유대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