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50% 관세 폭탄에…7월 대미 철강 수출 26%↓
입력 2025.08.24 (10:25)
수정 2025.08.24 (10:26)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미국의 '관세 폭탄' 등 영향으로 지난달 한국의 대미 철강 수출이 작년 동기 대비 25% 넘게 급감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미국이 수입 철강 제품에 부과하는 품목관세를 25%에서 50%로 올린 데 이어 최근 50% 관세 대상을 파생상품 407종으로 확대하면서 철강 업계는 물론 수출 업계 전반으로 관세 타격이 확산할 거란 우려가 커지고 있습니다.
오늘(24일) 한국무역협회에 따르면 7월 한국의 대미 철강 수출액은 2억8천341만달러로, 지난해 같은 기간(3억8천255만달러)보다 25.9% 감소했습니다.
이 같은 감소 폭은 2023년 1월 이후 2년 6개월 만에 가장 큰 낙폭입니다. 수출액 기준으로는 2021년 3월 이후 4년 4개월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물량 기준으로 보면 7월 대미 철강 수출은 19만4천t으로 작년 동월과 비교해 24.3% 줄었습니다. 이 같은 수출량은 2023년 1월(17만4천t) 이후 2년 6개월 만에 가장 적습니다.
미국 트럼프 행정부는 지난 3월 수입 철강·알루미늄 제품에 25%의 품목관세를 부과한 데 이어 6월부터는 50%로 인상해 관세 장벽을 크게 높인 바 있습니다.
한국의 대미 철강 수출량은 올해 1월 21만8천t, 2월 24만3천t, 3월 24만9천t, 4월 24만8천t, 5월 25만2천t, 6월 24만5천t 등으로 관세 부과 이후에도 뚜렷한 감소세는 나타나지 않았으나 7월 19만4천t으로 눈에 띄게 감소하며 1년 6개월 만에 처음 20만t 아래로 떨어졌습니다.
업계에서는 내년부터 일본제철의 미국 US스틸 인수 효과가 본격적으로 나타나면서 한국산 철강이 미국 시장에서 설 자리가 더 좁아지는 것 아니냐는 우려도 있습니다.
한국 철강 1·2위 업체인 포스코와 현대제철도 미국 루이지애나주에 일관제철소를 건설하는 등 관세 대응에 나섰으나 상업 생산 개시 목표 시점이 2029년이어서 향후 4∼5년은 수출·관세 대응에 나서야 하는 상황입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미국이 수입 철강 제품에 부과하는 품목관세를 25%에서 50%로 올린 데 이어 최근 50% 관세 대상을 파생상품 407종으로 확대하면서 철강 업계는 물론 수출 업계 전반으로 관세 타격이 확산할 거란 우려가 커지고 있습니다.
오늘(24일) 한국무역협회에 따르면 7월 한국의 대미 철강 수출액은 2억8천341만달러로, 지난해 같은 기간(3억8천255만달러)보다 25.9% 감소했습니다.
이 같은 감소 폭은 2023년 1월 이후 2년 6개월 만에 가장 큰 낙폭입니다. 수출액 기준으로는 2021년 3월 이후 4년 4개월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물량 기준으로 보면 7월 대미 철강 수출은 19만4천t으로 작년 동월과 비교해 24.3% 줄었습니다. 이 같은 수출량은 2023년 1월(17만4천t) 이후 2년 6개월 만에 가장 적습니다.
미국 트럼프 행정부는 지난 3월 수입 철강·알루미늄 제품에 25%의 품목관세를 부과한 데 이어 6월부터는 50%로 인상해 관세 장벽을 크게 높인 바 있습니다.
한국의 대미 철강 수출량은 올해 1월 21만8천t, 2월 24만3천t, 3월 24만9천t, 4월 24만8천t, 5월 25만2천t, 6월 24만5천t 등으로 관세 부과 이후에도 뚜렷한 감소세는 나타나지 않았으나 7월 19만4천t으로 눈에 띄게 감소하며 1년 6개월 만에 처음 20만t 아래로 떨어졌습니다.
업계에서는 내년부터 일본제철의 미국 US스틸 인수 효과가 본격적으로 나타나면서 한국산 철강이 미국 시장에서 설 자리가 더 좁아지는 것 아니냐는 우려도 있습니다.
한국 철강 1·2위 업체인 포스코와 현대제철도 미국 루이지애나주에 일관제철소를 건설하는 등 관세 대응에 나섰으나 상업 생산 개시 목표 시점이 2029년이어서 향후 4∼5년은 수출·관세 대응에 나서야 하는 상황입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미국 50% 관세 폭탄에…7월 대미 철강 수출 26%↓
-
- 입력 2025-08-24 10:25:10
- 수정2025-08-24 10:26:25

미국의 '관세 폭탄' 등 영향으로 지난달 한국의 대미 철강 수출이 작년 동기 대비 25% 넘게 급감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미국이 수입 철강 제품에 부과하는 품목관세를 25%에서 50%로 올린 데 이어 최근 50% 관세 대상을 파생상품 407종으로 확대하면서 철강 업계는 물론 수출 업계 전반으로 관세 타격이 확산할 거란 우려가 커지고 있습니다.
오늘(24일) 한국무역협회에 따르면 7월 한국의 대미 철강 수출액은 2억8천341만달러로, 지난해 같은 기간(3억8천255만달러)보다 25.9% 감소했습니다.
이 같은 감소 폭은 2023년 1월 이후 2년 6개월 만에 가장 큰 낙폭입니다. 수출액 기준으로는 2021년 3월 이후 4년 4개월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물량 기준으로 보면 7월 대미 철강 수출은 19만4천t으로 작년 동월과 비교해 24.3% 줄었습니다. 이 같은 수출량은 2023년 1월(17만4천t) 이후 2년 6개월 만에 가장 적습니다.
미국 트럼프 행정부는 지난 3월 수입 철강·알루미늄 제품에 25%의 품목관세를 부과한 데 이어 6월부터는 50%로 인상해 관세 장벽을 크게 높인 바 있습니다.
한국의 대미 철강 수출량은 올해 1월 21만8천t, 2월 24만3천t, 3월 24만9천t, 4월 24만8천t, 5월 25만2천t, 6월 24만5천t 등으로 관세 부과 이후에도 뚜렷한 감소세는 나타나지 않았으나 7월 19만4천t으로 눈에 띄게 감소하며 1년 6개월 만에 처음 20만t 아래로 떨어졌습니다.
업계에서는 내년부터 일본제철의 미국 US스틸 인수 효과가 본격적으로 나타나면서 한국산 철강이 미국 시장에서 설 자리가 더 좁아지는 것 아니냐는 우려도 있습니다.
한국 철강 1·2위 업체인 포스코와 현대제철도 미국 루이지애나주에 일관제철소를 건설하는 등 관세 대응에 나섰으나 상업 생산 개시 목표 시점이 2029년이어서 향후 4∼5년은 수출·관세 대응에 나서야 하는 상황입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미국이 수입 철강 제품에 부과하는 품목관세를 25%에서 50%로 올린 데 이어 최근 50% 관세 대상을 파생상품 407종으로 확대하면서 철강 업계는 물론 수출 업계 전반으로 관세 타격이 확산할 거란 우려가 커지고 있습니다.
오늘(24일) 한국무역협회에 따르면 7월 한국의 대미 철강 수출액은 2억8천341만달러로, 지난해 같은 기간(3억8천255만달러)보다 25.9% 감소했습니다.
이 같은 감소 폭은 2023년 1월 이후 2년 6개월 만에 가장 큰 낙폭입니다. 수출액 기준으로는 2021년 3월 이후 4년 4개월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물량 기준으로 보면 7월 대미 철강 수출은 19만4천t으로 작년 동월과 비교해 24.3% 줄었습니다. 이 같은 수출량은 2023년 1월(17만4천t) 이후 2년 6개월 만에 가장 적습니다.
미국 트럼프 행정부는 지난 3월 수입 철강·알루미늄 제품에 25%의 품목관세를 부과한 데 이어 6월부터는 50%로 인상해 관세 장벽을 크게 높인 바 있습니다.
한국의 대미 철강 수출량은 올해 1월 21만8천t, 2월 24만3천t, 3월 24만9천t, 4월 24만8천t, 5월 25만2천t, 6월 24만5천t 등으로 관세 부과 이후에도 뚜렷한 감소세는 나타나지 않았으나 7월 19만4천t으로 눈에 띄게 감소하며 1년 6개월 만에 처음 20만t 아래로 떨어졌습니다.
업계에서는 내년부터 일본제철의 미국 US스틸 인수 효과가 본격적으로 나타나면서 한국산 철강이 미국 시장에서 설 자리가 더 좁아지는 것 아니냐는 우려도 있습니다.
한국 철강 1·2위 업체인 포스코와 현대제철도 미국 루이지애나주에 일관제철소를 건설하는 등 관세 대응에 나섰으나 상업 생산 개시 목표 시점이 2029년이어서 향후 4∼5년은 수출·관세 대응에 나서야 하는 상황입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
김민경 기자 mkdream@kbs.co.kr
김민경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