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대미 전기차 수출 97% 급감…“수출처 다변화해야”
입력 2025.08.24 (10:29)
수정 2025.08.24 (10:40)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미국 현지 생산과 판매 감소 여파로 지난달 한국의 대미 전기차 수출이 지난해 같은 달 대비 100% 가까이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미국의 전기차 세액공제도 다음 달 조기 종료할 예정이라 유럽 등 미국 외 지역으로 전기차 수출처를 다변화할 필요가 있다는 조언이 나옵니다.
오늘(24일) 관세청 수출입 통계를 인용한 한국자동차모빌리티산업협회(KAMA) 수치에 따르면 지난달 한국이 미국에 수출한 전기차 신차 대수는 164대로, 작년 같은 달(6천209대) 대비 97.4% 급감했습니다.
이는 전기차 수출이 본격화했던 2021년 이후 월간 기준 가장 적은 수치입니다.
또 올해 들어 월간 전기차 대미 수출은 80%대의 감소율을 보였지만 90%를 넘어 100%에 육박한 감소율을 보인 건 지난달이 처음입니다.
전기차 대미 수출은 지난해 3월 1만3천280대를 기록했으나 1년 새 이의 1.2% 수준으로 급격히 감소했습니다.
올해 1∼7월 미국에 수출한 전기차도 8천443대로 지난해 동기(7만2천579대)보다 88.4% 줄었습니다. 1∼7월 전기차 대미 누적 수출량은 2023년 6만5천981대, 지난해 7만2천579대를 기록한 바 있습니다.
전기차 구매 보조 제도 축소에 따라 미국 내 판매가 감소하고, 전기차 수출량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현대차(제네시스 포함)와 기아가 관세 대응을 위해 현지 생산 규모를 늘린 것이 수출 급감의 이유로 지목됩니다.
국내 자동차업계 관계자들은 내달 7천500달러에 이르던 미국의 전기차 세액공제도 종료 예정인 만큼 국내 전기차 생산역량 유지를 위해 수출처를 유럽 등 미국 외 지역으로 다변화해야 한다고 조언했습니다.
그런 면에서 지난달 유럽 등으로의 수출 증가로 전기차 전체 수출이 지난해 같은 달보다 12.3%로 늘어난 건 고무적입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미국의 전기차 세액공제도 다음 달 조기 종료할 예정이라 유럽 등 미국 외 지역으로 전기차 수출처를 다변화할 필요가 있다는 조언이 나옵니다.
오늘(24일) 관세청 수출입 통계를 인용한 한국자동차모빌리티산업협회(KAMA) 수치에 따르면 지난달 한국이 미국에 수출한 전기차 신차 대수는 164대로, 작년 같은 달(6천209대) 대비 97.4% 급감했습니다.
이는 전기차 수출이 본격화했던 2021년 이후 월간 기준 가장 적은 수치입니다.
또 올해 들어 월간 전기차 대미 수출은 80%대의 감소율을 보였지만 90%를 넘어 100%에 육박한 감소율을 보인 건 지난달이 처음입니다.
전기차 대미 수출은 지난해 3월 1만3천280대를 기록했으나 1년 새 이의 1.2% 수준으로 급격히 감소했습니다.
올해 1∼7월 미국에 수출한 전기차도 8천443대로 지난해 동기(7만2천579대)보다 88.4% 줄었습니다. 1∼7월 전기차 대미 누적 수출량은 2023년 6만5천981대, 지난해 7만2천579대를 기록한 바 있습니다.
전기차 구매 보조 제도 축소에 따라 미국 내 판매가 감소하고, 전기차 수출량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현대차(제네시스 포함)와 기아가 관세 대응을 위해 현지 생산 규모를 늘린 것이 수출 급감의 이유로 지목됩니다.
국내 자동차업계 관계자들은 내달 7천500달러에 이르던 미국의 전기차 세액공제도 종료 예정인 만큼 국내 전기차 생산역량 유지를 위해 수출처를 유럽 등 미국 외 지역으로 다변화해야 한다고 조언했습니다.
그런 면에서 지난달 유럽 등으로의 수출 증가로 전기차 전체 수출이 지난해 같은 달보다 12.3%로 늘어난 건 고무적입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지난달 대미 전기차 수출 97% 급감…“수출처 다변화해야”
-
- 입력 2025-08-24 10:29:29
- 수정2025-08-24 10:40:36

미국 현지 생산과 판매 감소 여파로 지난달 한국의 대미 전기차 수출이 지난해 같은 달 대비 100% 가까이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미국의 전기차 세액공제도 다음 달 조기 종료할 예정이라 유럽 등 미국 외 지역으로 전기차 수출처를 다변화할 필요가 있다는 조언이 나옵니다.
오늘(24일) 관세청 수출입 통계를 인용한 한국자동차모빌리티산업협회(KAMA) 수치에 따르면 지난달 한국이 미국에 수출한 전기차 신차 대수는 164대로, 작년 같은 달(6천209대) 대비 97.4% 급감했습니다.
이는 전기차 수출이 본격화했던 2021년 이후 월간 기준 가장 적은 수치입니다.
또 올해 들어 월간 전기차 대미 수출은 80%대의 감소율을 보였지만 90%를 넘어 100%에 육박한 감소율을 보인 건 지난달이 처음입니다.
전기차 대미 수출은 지난해 3월 1만3천280대를 기록했으나 1년 새 이의 1.2% 수준으로 급격히 감소했습니다.
올해 1∼7월 미국에 수출한 전기차도 8천443대로 지난해 동기(7만2천579대)보다 88.4% 줄었습니다. 1∼7월 전기차 대미 누적 수출량은 2023년 6만5천981대, 지난해 7만2천579대를 기록한 바 있습니다.
전기차 구매 보조 제도 축소에 따라 미국 내 판매가 감소하고, 전기차 수출량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현대차(제네시스 포함)와 기아가 관세 대응을 위해 현지 생산 규모를 늘린 것이 수출 급감의 이유로 지목됩니다.
국내 자동차업계 관계자들은 내달 7천500달러에 이르던 미국의 전기차 세액공제도 종료 예정인 만큼 국내 전기차 생산역량 유지를 위해 수출처를 유럽 등 미국 외 지역으로 다변화해야 한다고 조언했습니다.
그런 면에서 지난달 유럽 등으로의 수출 증가로 전기차 전체 수출이 지난해 같은 달보다 12.3%로 늘어난 건 고무적입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미국의 전기차 세액공제도 다음 달 조기 종료할 예정이라 유럽 등 미국 외 지역으로 전기차 수출처를 다변화할 필요가 있다는 조언이 나옵니다.
오늘(24일) 관세청 수출입 통계를 인용한 한국자동차모빌리티산업협회(KAMA) 수치에 따르면 지난달 한국이 미국에 수출한 전기차 신차 대수는 164대로, 작년 같은 달(6천209대) 대비 97.4% 급감했습니다.
이는 전기차 수출이 본격화했던 2021년 이후 월간 기준 가장 적은 수치입니다.
또 올해 들어 월간 전기차 대미 수출은 80%대의 감소율을 보였지만 90%를 넘어 100%에 육박한 감소율을 보인 건 지난달이 처음입니다.
전기차 대미 수출은 지난해 3월 1만3천280대를 기록했으나 1년 새 이의 1.2% 수준으로 급격히 감소했습니다.
올해 1∼7월 미국에 수출한 전기차도 8천443대로 지난해 동기(7만2천579대)보다 88.4% 줄었습니다. 1∼7월 전기차 대미 누적 수출량은 2023년 6만5천981대, 지난해 7만2천579대를 기록한 바 있습니다.
전기차 구매 보조 제도 축소에 따라 미국 내 판매가 감소하고, 전기차 수출량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현대차(제네시스 포함)와 기아가 관세 대응을 위해 현지 생산 규모를 늘린 것이 수출 급감의 이유로 지목됩니다.
국내 자동차업계 관계자들은 내달 7천500달러에 이르던 미국의 전기차 세액공제도 종료 예정인 만큼 국내 전기차 생산역량 유지를 위해 수출처를 유럽 등 미국 외 지역으로 다변화해야 한다고 조언했습니다.
그런 면에서 지난달 유럽 등으로의 수출 증가로 전기차 전체 수출이 지난해 같은 달보다 12.3%로 늘어난 건 고무적입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
김민경 기자 mkdream@kbs.co.kr
김민경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