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뽑았더니 퇴사’…거주지 제한 폐지 “재검토해야”

입력 2025.08.25 (19:14) 수정 2025.08.25 (19:31)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대구시는 지난해 공직사회의 우수 인재 영입을 위해 채용 시 거주지 제한을 폐지했습니다.

하지만 우수 인재 영입이란 취지가 실현됐는지는 미지수고, 외지 인력이 상당수 퇴사를 선택하면서 지역 청년들이 일자리를 뺏기는 결과만 낳았다는 지적입니다.

최보규 기자입니다.

[리포트]

지난해 공무원과 공공기관 응시자의 거주지 제한을 폐지한 대구시, 지역 청년의 취업난이 가중될 거란 우려에도 불구하고, 전국에 문호를 열어 공직사회 경쟁력을 높이겠다며 전국 광역시 중 처음으로 강행했습니다.

[김대현/대구시의원/2024년 11월 13일 정례회 : "굳이 다른 곳은 행하지 않는데 이것을 행하면서 뭐 개방이다, 일자리 뭐다, 저는 그 논거를 선뜻 이해하기 어렵습니다."]

그 후 1년, 정책 시행의 결과는 어땠을까,

대구시와 공공기관 합격자 가운데 타지 청년 비율은 평균 39%, 대구농수산물유통관리공사는 합격자의 약 70%가, 올해 대구시 경력 공무원은 47%가 타지 거주자였습니다.

그전까지 대구 청년의 몫이었던 일자리였습니다.

하지만 상당수는 대구에 정착하지 못하고 떠났습니다.

합격 뒤 입사를 포기하거나 중도 퇴사한 합격자 중 타지역민은 대구교통공사 70%, 대구공공시설관리공단 46%에 달했습니다.

[윤영애/대구시의원 : "인재가 정말 대구에 정착하는 게 아니라 그대로 또 유출이 되더라고요. (거주지)제한을 하는 이런 거를 적극 검토해야 한다…."]

대구시는 연말까지는 채용 결과를 봐야 정책의 성패 여부를 알 수 있다는 입장이지만, 시장 부재 속에 정책 수정이 기민하게 이뤄질지는 미지수입니다.

[안중곤/대구시 행정국장 : "본청 그리고 공사, 공단의 사례들을 잘 분석을 해서 저희가 원래 의도했던 정책 목표들이 잘 시행이 되고 있는지를 살펴보겠다…."]

대구시가 야심 차게 내놓은 정책이 지역 청년 역차별과 실효성 논란에 직면한 가운데 앞으로 대구시가 어떤 대안을 내놓을지 주목됩니다.

KBS 뉴스 최보규입니다.

촬영기자:백창민/그래픽:김현정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뽑았더니 퇴사’…거주지 제한 폐지 “재검토해야”
    • 입력 2025-08-25 19:14:23
    • 수정2025-08-25 19:31:21
    뉴스7(대구)
[앵커]

대구시는 지난해 공직사회의 우수 인재 영입을 위해 채용 시 거주지 제한을 폐지했습니다.

하지만 우수 인재 영입이란 취지가 실현됐는지는 미지수고, 외지 인력이 상당수 퇴사를 선택하면서 지역 청년들이 일자리를 뺏기는 결과만 낳았다는 지적입니다.

최보규 기자입니다.

[리포트]

지난해 공무원과 공공기관 응시자의 거주지 제한을 폐지한 대구시, 지역 청년의 취업난이 가중될 거란 우려에도 불구하고, 전국에 문호를 열어 공직사회 경쟁력을 높이겠다며 전국 광역시 중 처음으로 강행했습니다.

[김대현/대구시의원/2024년 11월 13일 정례회 : "굳이 다른 곳은 행하지 않는데 이것을 행하면서 뭐 개방이다, 일자리 뭐다, 저는 그 논거를 선뜻 이해하기 어렵습니다."]

그 후 1년, 정책 시행의 결과는 어땠을까,

대구시와 공공기관 합격자 가운데 타지 청년 비율은 평균 39%, 대구농수산물유통관리공사는 합격자의 약 70%가, 올해 대구시 경력 공무원은 47%가 타지 거주자였습니다.

그전까지 대구 청년의 몫이었던 일자리였습니다.

하지만 상당수는 대구에 정착하지 못하고 떠났습니다.

합격 뒤 입사를 포기하거나 중도 퇴사한 합격자 중 타지역민은 대구교통공사 70%, 대구공공시설관리공단 46%에 달했습니다.

[윤영애/대구시의원 : "인재가 정말 대구에 정착하는 게 아니라 그대로 또 유출이 되더라고요. (거주지)제한을 하는 이런 거를 적극 검토해야 한다…."]

대구시는 연말까지는 채용 결과를 봐야 정책의 성패 여부를 알 수 있다는 입장이지만, 시장 부재 속에 정책 수정이 기민하게 이뤄질지는 미지수입니다.

[안중곤/대구시 행정국장 : "본청 그리고 공사, 공단의 사례들을 잘 분석을 해서 저희가 원래 의도했던 정책 목표들이 잘 시행이 되고 있는지를 살펴보겠다…."]

대구시가 야심 차게 내놓은 정책이 지역 청년 역차별과 실효성 논란에 직면한 가운데 앞으로 대구시가 어떤 대안을 내놓을지 주목됩니다.

KBS 뉴스 최보규입니다.

촬영기자:백창민/그래픽:김현정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대구-주요뉴스

더보기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