젊은 당뇨 환자 13년간 4배 늘어…“저소득층 더 취약”
입력 2025.08.26 (13:30)
수정 2025.08.26 (13:34)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2형 당뇨병에 걸린 30세 미만 환자가 13년 만에 4배 가까이 늘어난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질병관리청과 국립보건연구원은 2008년부터 2021년까지 국민건강보험공단 청구자료를 활용해 30세 미만 당뇨병 환자 현황을 분석한 결과를 오늘(26일) 발표했습니다.
연구에 따르면 2형 당뇨병 환자 유병률은 2008년 인구 10만 명당 73.3명에서 2021년 270.4명으로, 13년 만에 3.7배 늘었습니다.
새롭게 당뇨병에 걸린 사람의 비율을 의미하는 환자 발생률도 인구 10만 명당 27.6명에서 60.5명으로 두 배 넘게 증가했습니다.
같은 기간 1형 당뇨병 유병률도 21.8명에서 46.4명으로 두 배 넘게 늘었습니다.
당뇨병은 주로 중장년층이 걸리는 만성질환이었으나, 최근 들어 소아·청소년 및 젊은 성인에서도 발병이 늘어나는 추세입니다.
1형 당뇨는 자가 면역 이상으로 인한 췌장 기능 손상에 따른 인슐린 결핍으로 인해 발생하고, 2형 당뇨는 주로 비만과 관련한 인슐린 저항성과 분비 부족에서 기인합니다.
연령별로 살펴보면, 1형 당뇨의 경우 0~5세 영유아기, 2형 당뇨는 13세~18세 청소년기에 가장 큰 증가 폭을 보였습니다.
또, 저소득층에서 중·고소득층에 비해 1형 당뇨병이 2.9배, 2형 당뇨병이 3.7배 더 많이 발생하는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박현영 국립보건연구원장은 “소아와 젊은 연령층에서 당뇨병 유병률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어 국가 차원의 관리가 시급하다”면서 “특히 사회경제적으로 취약한 계층에서의 건강 형평성 확보가 필요하다”고 밝혔습니다.
이번 연구는 13만 명의 국민건강보험공단 청구자료를 활용한 국내 최장기간 및 최대 규모의 데이터 활용 연구로, 분당서울대학교병원 소아청소년과 김재현 교수 연구팀이 수행했습니다.
질병관리청과 국립보건연구원은 2008년부터 2021년까지 국민건강보험공단 청구자료를 활용해 30세 미만 당뇨병 환자 현황을 분석한 결과를 오늘(26일) 발표했습니다.
연구에 따르면 2형 당뇨병 환자 유병률은 2008년 인구 10만 명당 73.3명에서 2021년 270.4명으로, 13년 만에 3.7배 늘었습니다.
새롭게 당뇨병에 걸린 사람의 비율을 의미하는 환자 발생률도 인구 10만 명당 27.6명에서 60.5명으로 두 배 넘게 증가했습니다.
같은 기간 1형 당뇨병 유병률도 21.8명에서 46.4명으로 두 배 넘게 늘었습니다.
당뇨병은 주로 중장년층이 걸리는 만성질환이었으나, 최근 들어 소아·청소년 및 젊은 성인에서도 발병이 늘어나는 추세입니다.
1형 당뇨는 자가 면역 이상으로 인한 췌장 기능 손상에 따른 인슐린 결핍으로 인해 발생하고, 2형 당뇨는 주로 비만과 관련한 인슐린 저항성과 분비 부족에서 기인합니다.
연령별로 살펴보면, 1형 당뇨의 경우 0~5세 영유아기, 2형 당뇨는 13세~18세 청소년기에 가장 큰 증가 폭을 보였습니다.
또, 저소득층에서 중·고소득층에 비해 1형 당뇨병이 2.9배, 2형 당뇨병이 3.7배 더 많이 발생하는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박현영 국립보건연구원장은 “소아와 젊은 연령층에서 당뇨병 유병률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어 국가 차원의 관리가 시급하다”면서 “특히 사회경제적으로 취약한 계층에서의 건강 형평성 확보가 필요하다”고 밝혔습니다.
이번 연구는 13만 명의 국민건강보험공단 청구자료를 활용한 국내 최장기간 및 최대 규모의 데이터 활용 연구로, 분당서울대학교병원 소아청소년과 김재현 교수 연구팀이 수행했습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젊은 당뇨 환자 13년간 4배 늘어…“저소득층 더 취약”
-
- 입력 2025-08-26 13:30:54
- 수정2025-08-26 13:34:10

2형 당뇨병에 걸린 30세 미만 환자가 13년 만에 4배 가까이 늘어난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질병관리청과 국립보건연구원은 2008년부터 2021년까지 국민건강보험공단 청구자료를 활용해 30세 미만 당뇨병 환자 현황을 분석한 결과를 오늘(26일) 발표했습니다.
연구에 따르면 2형 당뇨병 환자 유병률은 2008년 인구 10만 명당 73.3명에서 2021년 270.4명으로, 13년 만에 3.7배 늘었습니다.
새롭게 당뇨병에 걸린 사람의 비율을 의미하는 환자 발생률도 인구 10만 명당 27.6명에서 60.5명으로 두 배 넘게 증가했습니다.
같은 기간 1형 당뇨병 유병률도 21.8명에서 46.4명으로 두 배 넘게 늘었습니다.
당뇨병은 주로 중장년층이 걸리는 만성질환이었으나, 최근 들어 소아·청소년 및 젊은 성인에서도 발병이 늘어나는 추세입니다.
1형 당뇨는 자가 면역 이상으로 인한 췌장 기능 손상에 따른 인슐린 결핍으로 인해 발생하고, 2형 당뇨는 주로 비만과 관련한 인슐린 저항성과 분비 부족에서 기인합니다.
연령별로 살펴보면, 1형 당뇨의 경우 0~5세 영유아기, 2형 당뇨는 13세~18세 청소년기에 가장 큰 증가 폭을 보였습니다.
또, 저소득층에서 중·고소득층에 비해 1형 당뇨병이 2.9배, 2형 당뇨병이 3.7배 더 많이 발생하는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박현영 국립보건연구원장은 “소아와 젊은 연령층에서 당뇨병 유병률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어 국가 차원의 관리가 시급하다”면서 “특히 사회경제적으로 취약한 계층에서의 건강 형평성 확보가 필요하다”고 밝혔습니다.
이번 연구는 13만 명의 국민건강보험공단 청구자료를 활용한 국내 최장기간 및 최대 규모의 데이터 활용 연구로, 분당서울대학교병원 소아청소년과 김재현 교수 연구팀이 수행했습니다.
질병관리청과 국립보건연구원은 2008년부터 2021년까지 국민건강보험공단 청구자료를 활용해 30세 미만 당뇨병 환자 현황을 분석한 결과를 오늘(26일) 발표했습니다.
연구에 따르면 2형 당뇨병 환자 유병률은 2008년 인구 10만 명당 73.3명에서 2021년 270.4명으로, 13년 만에 3.7배 늘었습니다.
새롭게 당뇨병에 걸린 사람의 비율을 의미하는 환자 발생률도 인구 10만 명당 27.6명에서 60.5명으로 두 배 넘게 증가했습니다.
같은 기간 1형 당뇨병 유병률도 21.8명에서 46.4명으로 두 배 넘게 늘었습니다.
당뇨병은 주로 중장년층이 걸리는 만성질환이었으나, 최근 들어 소아·청소년 및 젊은 성인에서도 발병이 늘어나는 추세입니다.
1형 당뇨는 자가 면역 이상으로 인한 췌장 기능 손상에 따른 인슐린 결핍으로 인해 발생하고, 2형 당뇨는 주로 비만과 관련한 인슐린 저항성과 분비 부족에서 기인합니다.
연령별로 살펴보면, 1형 당뇨의 경우 0~5세 영유아기, 2형 당뇨는 13세~18세 청소년기에 가장 큰 증가 폭을 보였습니다.
또, 저소득층에서 중·고소득층에 비해 1형 당뇨병이 2.9배, 2형 당뇨병이 3.7배 더 많이 발생하는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박현영 국립보건연구원장은 “소아와 젊은 연령층에서 당뇨병 유병률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어 국가 차원의 관리가 시급하다”면서 “특히 사회경제적으로 취약한 계층에서의 건강 형평성 확보가 필요하다”고 밝혔습니다.
이번 연구는 13만 명의 국민건강보험공단 청구자료를 활용한 국내 최장기간 및 최대 규모의 데이터 활용 연구로, 분당서울대학교병원 소아청소년과 김재현 교수 연구팀이 수행했습니다.
-
-
진선민 기자 jsm@kbs.co.kr
진선민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