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언론 “트럼프, 북한과 회담에 의욕…위안부 문제도 언급”
입력 2025.08.26 (15:44)
수정 2025.08.26 (15:50)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일본 언론은 현지 시각 25일 미국 워싱턴DC 백악관에서 열린 한미 정상회담에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북한과 대화에 의욕을 나타낸 점에 주목했습니다.
요미우리신문은 “트럼프 대통령은 북한 김정은 국무위원장과 연내 회담에 의욕을 보였고, 북한과 대화 재개를 위해 협력한다는 방침에 (이재명 대통령과 의견이) 일치했다”고 26일 보도했습니다.
교도통신도 트럼프 대통령이 이재명 대통령 요청을 받아 김 위원장과 올해 만나고 싶다고 말했고, 이 대통령은 “세계에서 유일하게 분단국가로 남아 있는 한반도에도 평화를 만들어 달라”며 중재를 요구했다고 전했습니다.
교도는 “북한은 북미 대화를 위해서는 북한의 핵 보유 용인이 전제라는 입장이어서 실현은 불투명하다”고 덧붙였습니다.
아사히신문은 “트럼프 대통령이 10월 말에 열리는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에 참석하겠다는 의욕을 나타냈다”며 “정상회의에 맞춰 김 위원장과 회담을 모색할 가능성도 시사했다”고 분석했습니다.
이 신문은 별도 분석 기사에서 “정권 기반을 공고히 하려는 이 대통령이 트럼프 대통령에게 북미 정상회담 개최를 요청했다”며 “노벨평화상에 대한 야심을 숨기지 않는 트럼프 대통령은 연내에라도 김 위원장을 만나고 싶다는 의사를 나타냈다”고 해설했습니다.
이어 “트럼프 대통령은 북한을 ‘핵보유국’으로 부르고 있어 북한의 핵·미사일 위협이 묵인될 것이라는 우려도 고조된다”며 “일본의 전략환경은 더욱 엄중해질 듯하다”고 덧붙였습니다.
그러면서 “이번 회담에서는 한미 동맹의 재정의를 의미하는 ‘동맹의 현대화’에 대해 협의한 듯하다”며 “주한미군 역할이 변화할 경우 일본과 자위대도 새로운 대응을 요구받을 가능성이 있다”고 짚었습니다.
일본 언론은 트럼프 대통령이 한일 간 역사 현안인 위안부 문제에 대해서도 언급했다고 소개했습니다.
니혼게이자이신문(닛케이)은 트럼프 대통령이 이 대통령에게 일본과 훌륭한 관계를 맺을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면서 “과거 한일 관계의 장애물이었던 옛 일본군 위안부 문제를 언급하며 ‘한국에 매우 큰 문제였다’는 인식을 드러냈다”고 전했습니다.
마이니치신문은 “양국 정상은 한미일 3국 협력을 중시한다는 생각을 강조했다”며 “트럼프 대통령이 한일의 역사 문제가 (한일 관계에) 장애가 돼 왔다는 인식을 나타냈고, 이 대통령은 미국 방문에 앞서 일본에서 이시바 시게루 총리와 회담했다고 소개했다”고 보도했습니다.
이 신문은 트럼프 대통령이 주한미군 감축 가능성에 관한 질문에는 “지금 말하고 싶지는 않다”며 즉답을 피했다고 덧붙였습니다.
산케이신문은 연합뉴스를 인용해 트럼프 대통령이 아베 신조 전 총리를 언급하는 장면이 있었다고 전했습니다.
한편, 이 대통령이 트럼프 대통령에게 선물한 거북선 모형과 관련해 마이니치는 “조선시대에 활약했다고 하는 해군 군함”이라며 “도요토미 히데요시가 조선에 출병할 때 일본군 격퇴에 큰 역할을 했다고 한다”고 설명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요미우리신문은 “트럼프 대통령은 북한 김정은 국무위원장과 연내 회담에 의욕을 보였고, 북한과 대화 재개를 위해 협력한다는 방침에 (이재명 대통령과 의견이) 일치했다”고 26일 보도했습니다.
교도통신도 트럼프 대통령이 이재명 대통령 요청을 받아 김 위원장과 올해 만나고 싶다고 말했고, 이 대통령은 “세계에서 유일하게 분단국가로 남아 있는 한반도에도 평화를 만들어 달라”며 중재를 요구했다고 전했습니다.
교도는 “북한은 북미 대화를 위해서는 북한의 핵 보유 용인이 전제라는 입장이어서 실현은 불투명하다”고 덧붙였습니다.
아사히신문은 “트럼프 대통령이 10월 말에 열리는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에 참석하겠다는 의욕을 나타냈다”며 “정상회의에 맞춰 김 위원장과 회담을 모색할 가능성도 시사했다”고 분석했습니다.
이 신문은 별도 분석 기사에서 “정권 기반을 공고히 하려는 이 대통령이 트럼프 대통령에게 북미 정상회담 개최를 요청했다”며 “노벨평화상에 대한 야심을 숨기지 않는 트럼프 대통령은 연내에라도 김 위원장을 만나고 싶다는 의사를 나타냈다”고 해설했습니다.
이어 “트럼프 대통령은 북한을 ‘핵보유국’으로 부르고 있어 북한의 핵·미사일 위협이 묵인될 것이라는 우려도 고조된다”며 “일본의 전략환경은 더욱 엄중해질 듯하다”고 덧붙였습니다.
그러면서 “이번 회담에서는 한미 동맹의 재정의를 의미하는 ‘동맹의 현대화’에 대해 협의한 듯하다”며 “주한미군 역할이 변화할 경우 일본과 자위대도 새로운 대응을 요구받을 가능성이 있다”고 짚었습니다.
일본 언론은 트럼프 대통령이 한일 간 역사 현안인 위안부 문제에 대해서도 언급했다고 소개했습니다.
니혼게이자이신문(닛케이)은 트럼프 대통령이 이 대통령에게 일본과 훌륭한 관계를 맺을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면서 “과거 한일 관계의 장애물이었던 옛 일본군 위안부 문제를 언급하며 ‘한국에 매우 큰 문제였다’는 인식을 드러냈다”고 전했습니다.
마이니치신문은 “양국 정상은 한미일 3국 협력을 중시한다는 생각을 강조했다”며 “트럼프 대통령이 한일의 역사 문제가 (한일 관계에) 장애가 돼 왔다는 인식을 나타냈고, 이 대통령은 미국 방문에 앞서 일본에서 이시바 시게루 총리와 회담했다고 소개했다”고 보도했습니다.
이 신문은 트럼프 대통령이 주한미군 감축 가능성에 관한 질문에는 “지금 말하고 싶지는 않다”며 즉답을 피했다고 덧붙였습니다.
산케이신문은 연합뉴스를 인용해 트럼프 대통령이 아베 신조 전 총리를 언급하는 장면이 있었다고 전했습니다.
한편, 이 대통령이 트럼프 대통령에게 선물한 거북선 모형과 관련해 마이니치는 “조선시대에 활약했다고 하는 해군 군함”이라며 “도요토미 히데요시가 조선에 출병할 때 일본군 격퇴에 큰 역할을 했다고 한다”고 설명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일본 언론 “트럼프, 북한과 회담에 의욕…위안부 문제도 언급”
-
- 입력 2025-08-26 15:44:21
- 수정2025-08-26 15:50:30


일본 언론은 현지 시각 25일 미국 워싱턴DC 백악관에서 열린 한미 정상회담에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북한과 대화에 의욕을 나타낸 점에 주목했습니다.
요미우리신문은 “트럼프 대통령은 북한 김정은 국무위원장과 연내 회담에 의욕을 보였고, 북한과 대화 재개를 위해 협력한다는 방침에 (이재명 대통령과 의견이) 일치했다”고 26일 보도했습니다.
교도통신도 트럼프 대통령이 이재명 대통령 요청을 받아 김 위원장과 올해 만나고 싶다고 말했고, 이 대통령은 “세계에서 유일하게 분단국가로 남아 있는 한반도에도 평화를 만들어 달라”며 중재를 요구했다고 전했습니다.
교도는 “북한은 북미 대화를 위해서는 북한의 핵 보유 용인이 전제라는 입장이어서 실현은 불투명하다”고 덧붙였습니다.
아사히신문은 “트럼프 대통령이 10월 말에 열리는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에 참석하겠다는 의욕을 나타냈다”며 “정상회의에 맞춰 김 위원장과 회담을 모색할 가능성도 시사했다”고 분석했습니다.
이 신문은 별도 분석 기사에서 “정권 기반을 공고히 하려는 이 대통령이 트럼프 대통령에게 북미 정상회담 개최를 요청했다”며 “노벨평화상에 대한 야심을 숨기지 않는 트럼프 대통령은 연내에라도 김 위원장을 만나고 싶다는 의사를 나타냈다”고 해설했습니다.
이어 “트럼프 대통령은 북한을 ‘핵보유국’으로 부르고 있어 북한의 핵·미사일 위협이 묵인될 것이라는 우려도 고조된다”며 “일본의 전략환경은 더욱 엄중해질 듯하다”고 덧붙였습니다.
그러면서 “이번 회담에서는 한미 동맹의 재정의를 의미하는 ‘동맹의 현대화’에 대해 협의한 듯하다”며 “주한미군 역할이 변화할 경우 일본과 자위대도 새로운 대응을 요구받을 가능성이 있다”고 짚었습니다.
일본 언론은 트럼프 대통령이 한일 간 역사 현안인 위안부 문제에 대해서도 언급했다고 소개했습니다.
니혼게이자이신문(닛케이)은 트럼프 대통령이 이 대통령에게 일본과 훌륭한 관계를 맺을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면서 “과거 한일 관계의 장애물이었던 옛 일본군 위안부 문제를 언급하며 ‘한국에 매우 큰 문제였다’는 인식을 드러냈다”고 전했습니다.
마이니치신문은 “양국 정상은 한미일 3국 협력을 중시한다는 생각을 강조했다”며 “트럼프 대통령이 한일의 역사 문제가 (한일 관계에) 장애가 돼 왔다는 인식을 나타냈고, 이 대통령은 미국 방문에 앞서 일본에서 이시바 시게루 총리와 회담했다고 소개했다”고 보도했습니다.
이 신문은 트럼프 대통령이 주한미군 감축 가능성에 관한 질문에는 “지금 말하고 싶지는 않다”며 즉답을 피했다고 덧붙였습니다.
산케이신문은 연합뉴스를 인용해 트럼프 대통령이 아베 신조 전 총리를 언급하는 장면이 있었다고 전했습니다.
한편, 이 대통령이 트럼프 대통령에게 선물한 거북선 모형과 관련해 마이니치는 “조선시대에 활약했다고 하는 해군 군함”이라며 “도요토미 히데요시가 조선에 출병할 때 일본군 격퇴에 큰 역할을 했다고 한다”고 설명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요미우리신문은 “트럼프 대통령은 북한 김정은 국무위원장과 연내 회담에 의욕을 보였고, 북한과 대화 재개를 위해 협력한다는 방침에 (이재명 대통령과 의견이) 일치했다”고 26일 보도했습니다.
교도통신도 트럼프 대통령이 이재명 대통령 요청을 받아 김 위원장과 올해 만나고 싶다고 말했고, 이 대통령은 “세계에서 유일하게 분단국가로 남아 있는 한반도에도 평화를 만들어 달라”며 중재를 요구했다고 전했습니다.
교도는 “북한은 북미 대화를 위해서는 북한의 핵 보유 용인이 전제라는 입장이어서 실현은 불투명하다”고 덧붙였습니다.
아사히신문은 “트럼프 대통령이 10월 말에 열리는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에 참석하겠다는 의욕을 나타냈다”며 “정상회의에 맞춰 김 위원장과 회담을 모색할 가능성도 시사했다”고 분석했습니다.
이 신문은 별도 분석 기사에서 “정권 기반을 공고히 하려는 이 대통령이 트럼프 대통령에게 북미 정상회담 개최를 요청했다”며 “노벨평화상에 대한 야심을 숨기지 않는 트럼프 대통령은 연내에라도 김 위원장을 만나고 싶다는 의사를 나타냈다”고 해설했습니다.
이어 “트럼프 대통령은 북한을 ‘핵보유국’으로 부르고 있어 북한의 핵·미사일 위협이 묵인될 것이라는 우려도 고조된다”며 “일본의 전략환경은 더욱 엄중해질 듯하다”고 덧붙였습니다.
그러면서 “이번 회담에서는 한미 동맹의 재정의를 의미하는 ‘동맹의 현대화’에 대해 협의한 듯하다”며 “주한미군 역할이 변화할 경우 일본과 자위대도 새로운 대응을 요구받을 가능성이 있다”고 짚었습니다.
일본 언론은 트럼프 대통령이 한일 간 역사 현안인 위안부 문제에 대해서도 언급했다고 소개했습니다.
니혼게이자이신문(닛케이)은 트럼프 대통령이 이 대통령에게 일본과 훌륭한 관계를 맺을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면서 “과거 한일 관계의 장애물이었던 옛 일본군 위안부 문제를 언급하며 ‘한국에 매우 큰 문제였다’는 인식을 드러냈다”고 전했습니다.
마이니치신문은 “양국 정상은 한미일 3국 협력을 중시한다는 생각을 강조했다”며 “트럼프 대통령이 한일의 역사 문제가 (한일 관계에) 장애가 돼 왔다는 인식을 나타냈고, 이 대통령은 미국 방문에 앞서 일본에서 이시바 시게루 총리와 회담했다고 소개했다”고 보도했습니다.
이 신문은 트럼프 대통령이 주한미군 감축 가능성에 관한 질문에는 “지금 말하고 싶지는 않다”며 즉답을 피했다고 덧붙였습니다.
산케이신문은 연합뉴스를 인용해 트럼프 대통령이 아베 신조 전 총리를 언급하는 장면이 있었다고 전했습니다.
한편, 이 대통령이 트럼프 대통령에게 선물한 거북선 모형과 관련해 마이니치는 “조선시대에 활약했다고 하는 해군 군함”이라며 “도요토미 히데요시가 조선에 출병할 때 일본군 격퇴에 큰 역할을 했다고 한다”고 설명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
홍진아 기자 gina@kbs.co.kr
홍진아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