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 국가안전세미나 개최…“중대재해 예방에 AI 활용해야”
입력 2025.08.26 (18:45)
수정 2025.08.26 (18:50)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건설·산업현장 안전사고를 예방할 방안을 논의하는 국가안전세미나가 어제(25일) 국회에서 열렸습니다.
참석자들은 현행 중대재해처벌법의 한계를 분석하고, 위치추적 시스템과 인공지능을 활용해 산업재해를 줄일 방안을 토의했습니다.
세미나는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소속 민주당 안호영 의원(환노위원장), 김주영 의원(환노위 간사), 국회 국방위원회 소속 박희승 의원이 공동 주최하고, 카이스트와 국가안보개혁포럼이 주관했습니다.
이광형 카이스트 총장은 축사에서 “안전사고는 법과 제도, 정책, 기술이 포괄적이고 지속적으로 적용될 때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며 “인공지능과 위치추적 기술 등은 위험한 작업장의 안전 관리에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고 밝혔습니다.
안호영 의원은 “일부 현장은 처벌을 피하기 위한 형식적 조치에 치중했다”면서 “기업과 노동자가 스스로 안전사고를 예방하는 문화를 만들어야 한다”고 밝혔습니다.
김주영 의원은 “법적 처벌만으로는 사고를 줄이기 어렵다”면서 “위치 추적 시스템과 인공지능 영상 분석과 같은 기술로 위험을 사전에 감지하고 경고해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박희승 의원은 “현행 제도에 구조적 허점은 없는지, 산업현장에서 선제적으로 안전을 강화하고 있는지 점검하고 부족한 점을 보완해야 할 시점”이라고 지적했습니다.
참석자들은 현행 중대재해처벌법의 한계를 분석하고, 위치추적 시스템과 인공지능을 활용해 산업재해를 줄일 방안을 토의했습니다.
세미나는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소속 민주당 안호영 의원(환노위원장), 김주영 의원(환노위 간사), 국회 국방위원회 소속 박희승 의원이 공동 주최하고, 카이스트와 국가안보개혁포럼이 주관했습니다.
이광형 카이스트 총장은 축사에서 “안전사고는 법과 제도, 정책, 기술이 포괄적이고 지속적으로 적용될 때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며 “인공지능과 위치추적 기술 등은 위험한 작업장의 안전 관리에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고 밝혔습니다.
안호영 의원은 “일부 현장은 처벌을 피하기 위한 형식적 조치에 치중했다”면서 “기업과 노동자가 스스로 안전사고를 예방하는 문화를 만들어야 한다”고 밝혔습니다.
김주영 의원은 “법적 처벌만으로는 사고를 줄이기 어렵다”면서 “위치 추적 시스템과 인공지능 영상 분석과 같은 기술로 위험을 사전에 감지하고 경고해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박희승 의원은 “현행 제도에 구조적 허점은 없는지, 산업현장에서 선제적으로 안전을 강화하고 있는지 점검하고 부족한 점을 보완해야 할 시점”이라고 지적했습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국회, 국가안전세미나 개최…“중대재해 예방에 AI 활용해야”
-
- 입력 2025-08-26 18:45:44
- 수정2025-08-26 18:50:19

건설·산업현장 안전사고를 예방할 방안을 논의하는 국가안전세미나가 어제(25일) 국회에서 열렸습니다.
참석자들은 현행 중대재해처벌법의 한계를 분석하고, 위치추적 시스템과 인공지능을 활용해 산업재해를 줄일 방안을 토의했습니다.
세미나는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소속 민주당 안호영 의원(환노위원장), 김주영 의원(환노위 간사), 국회 국방위원회 소속 박희승 의원이 공동 주최하고, 카이스트와 국가안보개혁포럼이 주관했습니다.
이광형 카이스트 총장은 축사에서 “안전사고는 법과 제도, 정책, 기술이 포괄적이고 지속적으로 적용될 때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며 “인공지능과 위치추적 기술 등은 위험한 작업장의 안전 관리에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고 밝혔습니다.
안호영 의원은 “일부 현장은 처벌을 피하기 위한 형식적 조치에 치중했다”면서 “기업과 노동자가 스스로 안전사고를 예방하는 문화를 만들어야 한다”고 밝혔습니다.
김주영 의원은 “법적 처벌만으로는 사고를 줄이기 어렵다”면서 “위치 추적 시스템과 인공지능 영상 분석과 같은 기술로 위험을 사전에 감지하고 경고해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박희승 의원은 “현행 제도에 구조적 허점은 없는지, 산업현장에서 선제적으로 안전을 강화하고 있는지 점검하고 부족한 점을 보완해야 할 시점”이라고 지적했습니다.
참석자들은 현행 중대재해처벌법의 한계를 분석하고, 위치추적 시스템과 인공지능을 활용해 산업재해를 줄일 방안을 토의했습니다.
세미나는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소속 민주당 안호영 의원(환노위원장), 김주영 의원(환노위 간사), 국회 국방위원회 소속 박희승 의원이 공동 주최하고, 카이스트와 국가안보개혁포럼이 주관했습니다.
이광형 카이스트 총장은 축사에서 “안전사고는 법과 제도, 정책, 기술이 포괄적이고 지속적으로 적용될 때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며 “인공지능과 위치추적 기술 등은 위험한 작업장의 안전 관리에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고 밝혔습니다.
안호영 의원은 “일부 현장은 처벌을 피하기 위한 형식적 조치에 치중했다”면서 “기업과 노동자가 스스로 안전사고를 예방하는 문화를 만들어야 한다”고 밝혔습니다.
김주영 의원은 “법적 처벌만으로는 사고를 줄이기 어렵다”면서 “위치 추적 시스템과 인공지능 영상 분석과 같은 기술로 위험을 사전에 감지하고 경고해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박희승 의원은 “현행 제도에 구조적 허점은 없는지, 산업현장에서 선제적으로 안전을 강화하고 있는지 점검하고 부족한 점을 보완해야 할 시점”이라고 지적했습니다.
-
-
신지혜 기자 new@kbs.co.kr
신지혜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