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3연륙교 ‘통행료 2천 원’…“인천 시민 무료·협약 재검토”
입력 2025.08.26 (21:39)
수정 2025.08.26 (21:46)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내년 1월 개통을 앞둔 인천국제공항과 육지를 연결하는 제3연륙교의 통행료가 2천 원으로 결정됐습니다.
그러나, 인천시는 내년 4월부터 인천 시민들에게 무료, 장기적으로는 모든 이용객에게 완전히 무료화하겠다며, 실시협약 재검토를 요구하고 나섰습니다.
보도에 박재우 기자입니다.
[리포트]
'제3연륙교'의 통행료가 2천 원으로 결정됐습니다.
그러나, 영종과 청라 주민은 개통과 함께, 인천 시민은 내년 4월부터 모두 무료입니다.
[유정복/인천광역시장 : "인천 시민에 대해서는 (통행료 감면) 시스템을 구축하는 대로 바로 무료화를 추진하겠습니다."]
제3연륙교 공사비의 79%를 영종과 청라 주민들이 아파트 분양금으로 이미 납부했기 때문입니다.
지역 주민과 정치권은 인천공항 이용객과 섬 주민들을 위해 통행료를 전면 무료화해야 한다며, 헌법소원까지 제기했습니다.
[배준영/국회의원/중구 강화 옹진 : "인천공항은 당연히 무료로, 공공시설을 무료로 접근하려고 하는 국민들의 행복권과 평등권을 침해하면 안 됩니다."]
최대 관건은 통행량이 줄어들 영종과 인천대교의 손실금 부담 문제입니다.
인천시는 2039년까지 약 3천억 원으로 추정하고 있지만, 이 손실금 협약을 전면 재검토하고, 영종과 청라 신도시 개발로 2조 원이 넘는 수익을 챙긴 LH가 손실금을 충당해야 한다고 주장합니다.
이와 관련해 시민단체들은 국토부와 LH, 관련 공무원을 고발하고 감사원 감사를 청구하겠다고 밝혔습니다.
[김송원/인천경실련 사무처장 : "형사고발·헌법소원·감사원 감사청구·부당이득 반환 청구 소송을 통해 끝까지 투쟁할 것입니다."]
하지만, 국토부는 2020년 맺은 손실금 협약을 지켜야 한다는 입장입니다.
[국토교통부 관계자/음성변조 : "국토부·인천시. 사업자가 (2020년에) 하기로 했던 대로, 기존의 합의를 뒤엎을만한 검토를 하지는 않았다는 거죠."]
제3연륙교 개통을 앞두고 통행료 무료화 논란은 더욱 확산할 것으로 보입니다.
KBS 뉴스 박재웁니다.
내년 1월 개통을 앞둔 인천국제공항과 육지를 연결하는 제3연륙교의 통행료가 2천 원으로 결정됐습니다.
그러나, 인천시는 내년 4월부터 인천 시민들에게 무료, 장기적으로는 모든 이용객에게 완전히 무료화하겠다며, 실시협약 재검토를 요구하고 나섰습니다.
보도에 박재우 기자입니다.
[리포트]
'제3연륙교'의 통행료가 2천 원으로 결정됐습니다.
그러나, 영종과 청라 주민은 개통과 함께, 인천 시민은 내년 4월부터 모두 무료입니다.
[유정복/인천광역시장 : "인천 시민에 대해서는 (통행료 감면) 시스템을 구축하는 대로 바로 무료화를 추진하겠습니다."]
제3연륙교 공사비의 79%를 영종과 청라 주민들이 아파트 분양금으로 이미 납부했기 때문입니다.
지역 주민과 정치권은 인천공항 이용객과 섬 주민들을 위해 통행료를 전면 무료화해야 한다며, 헌법소원까지 제기했습니다.
[배준영/국회의원/중구 강화 옹진 : "인천공항은 당연히 무료로, 공공시설을 무료로 접근하려고 하는 국민들의 행복권과 평등권을 침해하면 안 됩니다."]
최대 관건은 통행량이 줄어들 영종과 인천대교의 손실금 부담 문제입니다.
인천시는 2039년까지 약 3천억 원으로 추정하고 있지만, 이 손실금 협약을 전면 재검토하고, 영종과 청라 신도시 개발로 2조 원이 넘는 수익을 챙긴 LH가 손실금을 충당해야 한다고 주장합니다.
이와 관련해 시민단체들은 국토부와 LH, 관련 공무원을 고발하고 감사원 감사를 청구하겠다고 밝혔습니다.
[김송원/인천경실련 사무처장 : "형사고발·헌법소원·감사원 감사청구·부당이득 반환 청구 소송을 통해 끝까지 투쟁할 것입니다."]
하지만, 국토부는 2020년 맺은 손실금 협약을 지켜야 한다는 입장입니다.
[국토교통부 관계자/음성변조 : "국토부·인천시. 사업자가 (2020년에) 하기로 했던 대로, 기존의 합의를 뒤엎을만한 검토를 하지는 않았다는 거죠."]
제3연륙교 개통을 앞두고 통행료 무료화 논란은 더욱 확산할 것으로 보입니다.
KBS 뉴스 박재웁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제3연륙교 ‘통행료 2천 원’…“인천 시민 무료·협약 재검토”
-
- 입력 2025-08-26 21:39:40
- 수정2025-08-26 21:46:03

[앵커]
내년 1월 개통을 앞둔 인천국제공항과 육지를 연결하는 제3연륙교의 통행료가 2천 원으로 결정됐습니다.
그러나, 인천시는 내년 4월부터 인천 시민들에게 무료, 장기적으로는 모든 이용객에게 완전히 무료화하겠다며, 실시협약 재검토를 요구하고 나섰습니다.
보도에 박재우 기자입니다.
[리포트]
'제3연륙교'의 통행료가 2천 원으로 결정됐습니다.
그러나, 영종과 청라 주민은 개통과 함께, 인천 시민은 내년 4월부터 모두 무료입니다.
[유정복/인천광역시장 : "인천 시민에 대해서는 (통행료 감면) 시스템을 구축하는 대로 바로 무료화를 추진하겠습니다."]
제3연륙교 공사비의 79%를 영종과 청라 주민들이 아파트 분양금으로 이미 납부했기 때문입니다.
지역 주민과 정치권은 인천공항 이용객과 섬 주민들을 위해 통행료를 전면 무료화해야 한다며, 헌법소원까지 제기했습니다.
[배준영/국회의원/중구 강화 옹진 : "인천공항은 당연히 무료로, 공공시설을 무료로 접근하려고 하는 국민들의 행복권과 평등권을 침해하면 안 됩니다."]
최대 관건은 통행량이 줄어들 영종과 인천대교의 손실금 부담 문제입니다.
인천시는 2039년까지 약 3천억 원으로 추정하고 있지만, 이 손실금 협약을 전면 재검토하고, 영종과 청라 신도시 개발로 2조 원이 넘는 수익을 챙긴 LH가 손실금을 충당해야 한다고 주장합니다.
이와 관련해 시민단체들은 국토부와 LH, 관련 공무원을 고발하고 감사원 감사를 청구하겠다고 밝혔습니다.
[김송원/인천경실련 사무처장 : "형사고발·헌법소원·감사원 감사청구·부당이득 반환 청구 소송을 통해 끝까지 투쟁할 것입니다."]
하지만, 국토부는 2020년 맺은 손실금 협약을 지켜야 한다는 입장입니다.
[국토교통부 관계자/음성변조 : "국토부·인천시. 사업자가 (2020년에) 하기로 했던 대로, 기존의 합의를 뒤엎을만한 검토를 하지는 않았다는 거죠."]
제3연륙교 개통을 앞두고 통행료 무료화 논란은 더욱 확산할 것으로 보입니다.
KBS 뉴스 박재웁니다.
내년 1월 개통을 앞둔 인천국제공항과 육지를 연결하는 제3연륙교의 통행료가 2천 원으로 결정됐습니다.
그러나, 인천시는 내년 4월부터 인천 시민들에게 무료, 장기적으로는 모든 이용객에게 완전히 무료화하겠다며, 실시협약 재검토를 요구하고 나섰습니다.
보도에 박재우 기자입니다.
[리포트]
'제3연륙교'의 통행료가 2천 원으로 결정됐습니다.
그러나, 영종과 청라 주민은 개통과 함께, 인천 시민은 내년 4월부터 모두 무료입니다.
[유정복/인천광역시장 : "인천 시민에 대해서는 (통행료 감면) 시스템을 구축하는 대로 바로 무료화를 추진하겠습니다."]
제3연륙교 공사비의 79%를 영종과 청라 주민들이 아파트 분양금으로 이미 납부했기 때문입니다.
지역 주민과 정치권은 인천공항 이용객과 섬 주민들을 위해 통행료를 전면 무료화해야 한다며, 헌법소원까지 제기했습니다.
[배준영/국회의원/중구 강화 옹진 : "인천공항은 당연히 무료로, 공공시설을 무료로 접근하려고 하는 국민들의 행복권과 평등권을 침해하면 안 됩니다."]
최대 관건은 통행량이 줄어들 영종과 인천대교의 손실금 부담 문제입니다.
인천시는 2039년까지 약 3천억 원으로 추정하고 있지만, 이 손실금 협약을 전면 재검토하고, 영종과 청라 신도시 개발로 2조 원이 넘는 수익을 챙긴 LH가 손실금을 충당해야 한다고 주장합니다.
이와 관련해 시민단체들은 국토부와 LH, 관련 공무원을 고발하고 감사원 감사를 청구하겠다고 밝혔습니다.
[김송원/인천경실련 사무처장 : "형사고발·헌법소원·감사원 감사청구·부당이득 반환 청구 소송을 통해 끝까지 투쟁할 것입니다."]
하지만, 국토부는 2020년 맺은 손실금 협약을 지켜야 한다는 입장입니다.
[국토교통부 관계자/음성변조 : "국토부·인천시. 사업자가 (2020년에) 하기로 했던 대로, 기존의 합의를 뒤엎을만한 검토를 하지는 않았다는 거죠."]
제3연륙교 개통을 앞두고 통행료 무료화 논란은 더욱 확산할 것으로 보입니다.
KBS 뉴스 박재웁니다.
-
-
박재우 기자 pjwoo@kbs.co.kr
박재우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