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송참사 국정조사’, 여야 합의로 행안위 통과…오후 본회의 상정

입력 2025.08.27 (10:29) 수정 2025.08.27 (11:37)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2023년 7월 14명이 숨진 '충북 오송 지하차도 참사'에 대한 국정조사 계획서가 국회 상임위를 통과했습니다.

국회 행정안전위원회는 오늘(27일) 오전 전체회의에서 '오송 지하차도 참사 진상규명과 재발 방지 대책 마련을 위한 국정조사계획서'를 여야 합의로 의결했습니다.

지난해 8월 더불어민주당·조국혁신당·진보당·기본소득당·사회민주당 등 의원 188명이 국정조사를 요구한 지 1년여 만입니다.

국정조사 계획서는 오늘 오후 국회 본회의에 상정돼 여야 합의로 통과될 전망입니다.

이번 국정조사는 오늘부터 다음 달 25일까지 30일간 진행되며, 필요할 경우 국회 본회의 의결로 연장할 수 있습니다.

조사 대상 기관은 국무조정실, 행정안전부, 환경부, 국토교통부,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행복청), 충청북도, 청주시, 대검찰청, 경찰청, 소방청 등입니다.

국회는 관련기관 보고와 서류제출 및 검증, 증인과 참고인에 대한 청문회 등을 진행해 참사 책임 소재를 규명하고 재발 방지 대책을 마련할 방침입니다.

더불어민주당 소속 신정훈 행안위원장은 "늦은 감이 없지 않지만, 늦은 만큼 더 많은 책임감과 노력으로 참사 당시 아픔에 아직도 머물러 있는 유가족과 생존자들의 고통이 해결될 수 있도록 함께 노력했으면 좋겠다"고 말했습니다.

국민의힘 박수민 의원은 "국정조사에 동의하지만, 재판이나 수사 결과보다 더 의미 있는 국정조사를 해야 한다"며 "그렇지 않으면 저희는 괜히 다 지난 일을 뒷북으로 해서 문제를 키우고 정치적으로 이용했다는 오명을 쓸 수 있다"고 언급했습니다.

충북 청주시서원구를 지역구로 둔 민주당 이광희 의원은 "아직 밝혀진 게 아무것도 없다"며 "유가족들은 여전히 진상 규명과 책임자 처벌을 요구하고 있고 이걸 맺고 넘어가지 않으면 사회적 갈등이 해결될 수 없다"고 강조했습니다.

이와 관련해, 민주당 김병기 원내대표는 오늘 대전 현장 최고위원회의에서 "많이 늦었다. 유가족께 송구스럽다"며 "오송 참사는 안일하고 무책임한 대응이 초래한 명백한 인재"라고 밝혔습니다.

이어 "오송 참사 같은 비극은 절대 반복돼서는 안 된다"며 "이제라도 철저히 진상을 밝히겠다. 책임질 사람은 반드시 책임지게 하겠다. 확실한 재발방치 대책도 마련하겠다"고 덧붙였습니다.

오송 참사는 2023년 7월 15일 오전 8시 40분쯤 충북 청주시 흥덕구 오송읍 궁평2지하차도가 인근 미호강 범람으로 침수되면서 발생했습니다. 이 사고로 14명이 숨지고, 16명이 다쳤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오송참사 국정조사’, 여야 합의로 행안위 통과…오후 본회의 상정
    • 입력 2025-08-27 10:29:17
    • 수정2025-08-27 11:37:14
    정치
2023년 7월 14명이 숨진 '충북 오송 지하차도 참사'에 대한 국정조사 계획서가 국회 상임위를 통과했습니다.

국회 행정안전위원회는 오늘(27일) 오전 전체회의에서 '오송 지하차도 참사 진상규명과 재발 방지 대책 마련을 위한 국정조사계획서'를 여야 합의로 의결했습니다.

지난해 8월 더불어민주당·조국혁신당·진보당·기본소득당·사회민주당 등 의원 188명이 국정조사를 요구한 지 1년여 만입니다.

국정조사 계획서는 오늘 오후 국회 본회의에 상정돼 여야 합의로 통과될 전망입니다.

이번 국정조사는 오늘부터 다음 달 25일까지 30일간 진행되며, 필요할 경우 국회 본회의 의결로 연장할 수 있습니다.

조사 대상 기관은 국무조정실, 행정안전부, 환경부, 국토교통부,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행복청), 충청북도, 청주시, 대검찰청, 경찰청, 소방청 등입니다.

국회는 관련기관 보고와 서류제출 및 검증, 증인과 참고인에 대한 청문회 등을 진행해 참사 책임 소재를 규명하고 재발 방지 대책을 마련할 방침입니다.

더불어민주당 소속 신정훈 행안위원장은 "늦은 감이 없지 않지만, 늦은 만큼 더 많은 책임감과 노력으로 참사 당시 아픔에 아직도 머물러 있는 유가족과 생존자들의 고통이 해결될 수 있도록 함께 노력했으면 좋겠다"고 말했습니다.

국민의힘 박수민 의원은 "국정조사에 동의하지만, 재판이나 수사 결과보다 더 의미 있는 국정조사를 해야 한다"며 "그렇지 않으면 저희는 괜히 다 지난 일을 뒷북으로 해서 문제를 키우고 정치적으로 이용했다는 오명을 쓸 수 있다"고 언급했습니다.

충북 청주시서원구를 지역구로 둔 민주당 이광희 의원은 "아직 밝혀진 게 아무것도 없다"며 "유가족들은 여전히 진상 규명과 책임자 처벌을 요구하고 있고 이걸 맺고 넘어가지 않으면 사회적 갈등이 해결될 수 없다"고 강조했습니다.

이와 관련해, 민주당 김병기 원내대표는 오늘 대전 현장 최고위원회의에서 "많이 늦었다. 유가족께 송구스럽다"며 "오송 참사는 안일하고 무책임한 대응이 초래한 명백한 인재"라고 밝혔습니다.

이어 "오송 참사 같은 비극은 절대 반복돼서는 안 된다"며 "이제라도 철저히 진상을 밝히겠다. 책임질 사람은 반드시 책임지게 하겠다. 확실한 재발방치 대책도 마련하겠다"고 덧붙였습니다.

오송 참사는 2023년 7월 15일 오전 8시 40분쯤 충북 청주시 흥덕구 오송읍 궁평2지하차도가 인근 미호강 범람으로 침수되면서 발생했습니다. 이 사고로 14명이 숨지고, 16명이 다쳤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