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해 유럽 경제 전망은?

입력 2014.01.01 (23:44) 수정 2014.01.02 (11:07)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올해 유럽경제는 지난 몇년 동안 유럽을 짓눌렀던 유로존 위기에서 벗어나서 경기 회복을 위한 재도약에 나설 것으로 전망됩니다.

런던 박장범특파원 연결합니다

<질문> 올해 유로존의 성장률이 드디어 마이너스를 벗어날 수 있을까요?

<리포트>

네, 2014년은 유럽 경제가 불황과 침체의 길고 긴 터널을 마침내 빠져나오는 해가 될 것으로 보입니다.

유럽중앙은행 ECB는 올해 유로존의 평균 경제성장률을 1.1%로 예상했고, IMF도 1%의 성장률 전망치를 내놨습니다.

그리스, 스페인, 이탈리아 등 주요 국가들이 재정위기를 겪으면서 시작된 유로존 위기 속에서, 지난 2012년과 지난해까지는 마이너스 성장을 기록했는데 올해는 플러스 성장으로 돌아설 것이 유력하다고 본겁니다.

국가부도 상황까지 몰렸던 재정위기국가들의 부채문제가 한 숨 돌렸고, 각 국이 경제정책의 방향을 긴축에서 경기부양으로 전환하면서 내수와 수출이 서서히 살아나기 시작했기 때문입니다.

전문가의 분석 들어보시겠습니다.

<녹취> 블레리나(바클레이즈은행 연구원

유로존의 대표 주자인 독일은 3선 연임에 성공한 메르켈총리의 강력한 리더십 아래에서 올해도 1%대 중반의 견고한 성장세를 보일 것으로 예상됐고 영국과 프랑스 역시 1%대의 성장률 전망을 내놨습니다.

스페인과 이탈리아는 위기에서는 벗어났지만 경제가 회복될 때가지는 상당한 시간을 걸릴 것으로 보입니다.

유로존 내에서 북유럽의 부자 나라와 남유럽의 가난한 나라들의 격차가 더 커질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경제 상황이 취약한 남유럽 국가에서는 치솟는 실업률이 가장 큰 경제적 도전이 될 전망입니다.

지금까지 런던에서 전해드렸습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새해 유럽 경제 전망은?
    • 입력 2014-01-02 08:50:02
    • 수정2014-01-02 11:07:33
    뉴스라인 W
<앵커 멘트>

올해 유럽경제는 지난 몇년 동안 유럽을 짓눌렀던 유로존 위기에서 벗어나서 경기 회복을 위한 재도약에 나설 것으로 전망됩니다.

런던 박장범특파원 연결합니다

<질문> 올해 유로존의 성장률이 드디어 마이너스를 벗어날 수 있을까요?

<리포트>

네, 2014년은 유럽 경제가 불황과 침체의 길고 긴 터널을 마침내 빠져나오는 해가 될 것으로 보입니다.

유럽중앙은행 ECB는 올해 유로존의 평균 경제성장률을 1.1%로 예상했고, IMF도 1%의 성장률 전망치를 내놨습니다.

그리스, 스페인, 이탈리아 등 주요 국가들이 재정위기를 겪으면서 시작된 유로존 위기 속에서, 지난 2012년과 지난해까지는 마이너스 성장을 기록했는데 올해는 플러스 성장으로 돌아설 것이 유력하다고 본겁니다.

국가부도 상황까지 몰렸던 재정위기국가들의 부채문제가 한 숨 돌렸고, 각 국이 경제정책의 방향을 긴축에서 경기부양으로 전환하면서 내수와 수출이 서서히 살아나기 시작했기 때문입니다.

전문가의 분석 들어보시겠습니다.

<녹취> 블레리나(바클레이즈은행 연구원

유로존의 대표 주자인 독일은 3선 연임에 성공한 메르켈총리의 강력한 리더십 아래에서 올해도 1%대 중반의 견고한 성장세를 보일 것으로 예상됐고 영국과 프랑스 역시 1%대의 성장률 전망을 내놨습니다.

스페인과 이탈리아는 위기에서는 벗어났지만 경제가 회복될 때가지는 상당한 시간을 걸릴 것으로 보입니다.

유로존 내에서 북유럽의 부자 나라와 남유럽의 가난한 나라들의 격차가 더 커질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경제 상황이 취약한 남유럽 국가에서는 치솟는 실업률이 가장 큰 경제적 도전이 될 전망입니다.

지금까지 런던에서 전해드렸습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