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시아 차관 대신 군장비들…사고·고장 잇따라

입력 2014.10.08 (21:31) 수정 2014.10.08 (22:01)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지난 1990년대 수십억 달러 규모의 러시아 차관을 러시아산 각종 군장비로 대신 들여왔었죠.

그런데 이 때 들여온 군장비들, 사고와 고장이 잇따르고 있습니다.

오늘도 사고가 났습니다.

함영구 기자입니다.

<리포트>

프로펠러가 부러진 헬기가 논 한가운데 불시착했습니다.

오늘 오후 4시쯤, 시험비행을 하던 HH-32기종 헬기가 엔진 고장을 일으킨 겁니다.

<녹취> 공군 관계자 : "15시 35분경에 이륙해서 엔진 이상으로 진천 IC 남쪽 1km 부근에서 비상 착륙을 하였습니다."

지난 2011년 6월엔 공군 T-103 훈련기가 청주의 한 농촌 마을 입구에 추락했습니다.

사고 충격으로 기체가 불에 타면서 조종사 등 2명이 숨졌습니다.

두 기종 모두 지난 1995년 이후, 7천억 원에 이르는 러시아 차관을 군장비로 대신 받는 '불곰사업'을 통해 전차와 장갑차, 대전차 유도탄 등과 함께 국내로 들어왔습니다.

그런데 이 러시아산 군장비의 고장이 잇따르면서 지난 2011년부터 지난해까지 3년 동안 모두 천9백여 건의 고장을 일으켰고, 정비금액도 161억 원을 넘어섰습니다.

<녹취> 정희수 (새누리당 국회의원) : "불곰사업으로 러시아로부터 들어온 장비가 기존의 다른 장비보다 잦은 고장으로 우리 군에 부담을 주고..."

이와 함께 대부분의 부품 가격이 도입 당시보다 3배 이상 올랐고, 일부 부품은 공급조차 되지 않는 등 애물단지로 전락하고 있습니다.

KBS 뉴스 함영구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러시아 차관 대신 군장비들…사고·고장 잇따라
    • 입력 2014-10-08 21:33:22
    • 수정2014-10-08 22:01:26
    뉴스 9
<앵커 멘트>

지난 1990년대 수십억 달러 규모의 러시아 차관을 러시아산 각종 군장비로 대신 들여왔었죠.

그런데 이 때 들여온 군장비들, 사고와 고장이 잇따르고 있습니다.

오늘도 사고가 났습니다.

함영구 기자입니다.

<리포트>

프로펠러가 부러진 헬기가 논 한가운데 불시착했습니다.

오늘 오후 4시쯤, 시험비행을 하던 HH-32기종 헬기가 엔진 고장을 일으킨 겁니다.

<녹취> 공군 관계자 : "15시 35분경에 이륙해서 엔진 이상으로 진천 IC 남쪽 1km 부근에서 비상 착륙을 하였습니다."

지난 2011년 6월엔 공군 T-103 훈련기가 청주의 한 농촌 마을 입구에 추락했습니다.

사고 충격으로 기체가 불에 타면서 조종사 등 2명이 숨졌습니다.

두 기종 모두 지난 1995년 이후, 7천억 원에 이르는 러시아 차관을 군장비로 대신 받는 '불곰사업'을 통해 전차와 장갑차, 대전차 유도탄 등과 함께 국내로 들어왔습니다.

그런데 이 러시아산 군장비의 고장이 잇따르면서 지난 2011년부터 지난해까지 3년 동안 모두 천9백여 건의 고장을 일으켰고, 정비금액도 161억 원을 넘어섰습니다.

<녹취> 정희수 (새누리당 국회의원) : "불곰사업으로 러시아로부터 들어온 장비가 기존의 다른 장비보다 잦은 고장으로 우리 군에 부담을 주고..."

이와 함께 대부분의 부품 가격이 도입 당시보다 3배 이상 올랐고, 일부 부품은 공급조차 되지 않는 등 애물단지로 전락하고 있습니다.

KBS 뉴스 함영구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