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리포트] 400억 들인 ‘응급 알리미’ 점검했더니…

입력 2015.04.29 (21:23) 수정 2015.04.30 (07:34)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다음달 5월은 가정의 달입니다.

2008년 부터 정부는 독거 노인과 중증 장애인을 위해 '응급 알리미' 라는 복지 사업을 실시해 오고 있는데요.

화재와 가스 누출은 기본이고 갑자기 쓰러졌을 때 같은 긴급 상황까지 집안 곳곳의 센서로 감지해서, 소방서와 복지관에 곧바로 알리는 시스템입니다.

이때 CCTV로 집안 상황을 실시간 전송까지 합니다.

4백억 원을 들여 7만 2천여 가구에 설치했고, 계속 확대하고 있습니다.

문제는 실제 작동을 하느냐 겠죠.

김준범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혼자 사는 80대 노인 집의 응급 알리미를 점검했습니다.

경보음과 함께 화재 연기가 감지됩니다.

그렇다면 응급 상황은 소방관과 복지관에 통보됐을까.

<녹취> 소방서 상황실 : "(신고 들어갔나요?) 지금 신고들어온 건 없어요."

<녹취> 복지관 : "고객님 지금 거신 번호는 없는 국번입니다."

이번엔 영상 전송을 확인했습니다.

다른 독거노인 집에서 가스를 5차례 누출시키자, 그때마다 CCTV는 집안을 촬영합니다.

설계대로라면 영상 5개가 담당 복지관에 보내져야 하지만, 전송된 건 반쯤 잘린 사진 1장 뿐입니다.

<녹취> 00노인복지관 관계자 : "오류가 너무 많이 나가지고, 어르신들이 그런(응급) 상태가 돼도 작동이 안되는 경우가 있고."

'응급 알리미'가 설치된 열 가구를 점검했지만, 제 기능을 100% 발휘한 곳은 없었습니다.

기초적인 설치 규칙을 어긴 경우도 있었습니다.

<인터뷰> 최규출(동원대 소방안전관리과 교수) : "화재감지기는 이 열하고 가까이 위치해서 설치한 건 잘못된 설치로 보여집니다. 전문가가 아닌 분이 설치한 것 같습니다."

정상 작동 여부를 떠나서 얼마나 무성의하게 설치했는지를 극명히 보여주는 현장이 있습니다.

청각장애인 집의 사례입니다.

듣지 못하는 장애인에게 소리로 경고하는 감지기를 달아준 겁니다.

<녹취> 00장애인센터 관계자(음성변조) : "맞춤형으로 들어오는 게 아니고 그냥 일률적으로…왜 이 사업을 하는지, 많이 답답하고."

7년째 사업을 진행해 온 복지부는 다음달에야 첫 전수 점검에 나선다는 계획입니다.

예산 4백억 원이 들어간 복지 사업의 현 주소입니다.

KBS 뉴스 김준범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앵커&리포트] 400억 들인 ‘응급 알리미’ 점검했더니…
    • 입력 2015-04-29 21:30:30
    • 수정2015-04-30 07:34:40
    뉴스 9
<앵커 멘트>

다음달 5월은 가정의 달입니다.

2008년 부터 정부는 독거 노인과 중증 장애인을 위해 '응급 알리미' 라는 복지 사업을 실시해 오고 있는데요.

화재와 가스 누출은 기본이고 갑자기 쓰러졌을 때 같은 긴급 상황까지 집안 곳곳의 센서로 감지해서, 소방서와 복지관에 곧바로 알리는 시스템입니다.

이때 CCTV로 집안 상황을 실시간 전송까지 합니다.

4백억 원을 들여 7만 2천여 가구에 설치했고, 계속 확대하고 있습니다.

문제는 실제 작동을 하느냐 겠죠.

김준범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혼자 사는 80대 노인 집의 응급 알리미를 점검했습니다.

경보음과 함께 화재 연기가 감지됩니다.

그렇다면 응급 상황은 소방관과 복지관에 통보됐을까.

<녹취> 소방서 상황실 : "(신고 들어갔나요?) 지금 신고들어온 건 없어요."

<녹취> 복지관 : "고객님 지금 거신 번호는 없는 국번입니다."

이번엔 영상 전송을 확인했습니다.

다른 독거노인 집에서 가스를 5차례 누출시키자, 그때마다 CCTV는 집안을 촬영합니다.

설계대로라면 영상 5개가 담당 복지관에 보내져야 하지만, 전송된 건 반쯤 잘린 사진 1장 뿐입니다.

<녹취> 00노인복지관 관계자 : "오류가 너무 많이 나가지고, 어르신들이 그런(응급) 상태가 돼도 작동이 안되는 경우가 있고."

'응급 알리미'가 설치된 열 가구를 점검했지만, 제 기능을 100% 발휘한 곳은 없었습니다.

기초적인 설치 규칙을 어긴 경우도 있었습니다.

<인터뷰> 최규출(동원대 소방안전관리과 교수) : "화재감지기는 이 열하고 가까이 위치해서 설치한 건 잘못된 설치로 보여집니다. 전문가가 아닌 분이 설치한 것 같습니다."

정상 작동 여부를 떠나서 얼마나 무성의하게 설치했는지를 극명히 보여주는 현장이 있습니다.

청각장애인 집의 사례입니다.

듣지 못하는 장애인에게 소리로 경고하는 감지기를 달아준 겁니다.

<녹취> 00장애인센터 관계자(음성변조) : "맞춤형으로 들어오는 게 아니고 그냥 일률적으로…왜 이 사업을 하는지, 많이 답답하고."

7년째 사업을 진행해 온 복지부는 다음달에야 첫 전수 점검에 나선다는 계획입니다.

예산 4백억 원이 들어간 복지 사업의 현 주소입니다.

KBS 뉴스 김준범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