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물가’ 상승…신선식품 9.7% 급등

입력 2016.04.01 (12:12) 수정 2016.04.01 (13:15)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두 달 연속 1%대를 유지했습니다.

그러나 농·축·수산물 가격이 올라 '밥상 물가'가 껑충 뛰면서, 서민이 느끼는 체감 장바구니 물가는 더 높아졌습니다.

김경진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통계청은 지난달 소비자물가지수가 1년 전보다 1% 올랐다고 밝혔습니다.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지난 1월 0.8%까지 떨어졌다가 2월에 1.3%를 기록한 데 이어 두 달 연속 1%대를 나타냈습니다.

국제 유가 하락으로 지난달 휘발유 가격이 1년 전보다 10% 이상 떨어지면서, 물가 상승률이 둔화됐습니다.

그러나 서민들이 자주 이용하는 장바구니 물가는 크게 올랐습니다.

채소와 과일, 어패류 등 신선식품 지수는 1년 전보다 9.7% 상승했습니다.

양팟값이 1년 새 99.1% 급등했고, 배추와 파 가격도 각각 86.5%, 49.8% 올랐습니다.

지난 1월 예상치 못했던 폭설과 한파로 작황이 나빠지면서 봄 채소 가격이 예년보다 더 많이 올랐습니다.

전세 가격도 4% 오르며, 지난해 10월부터 6개월 연속 4%대의 상승세를 유지했습니다.

시중 금리가 낮아지면서 전세가 월세로 전환되는 추세인 데다 이사 철까지 겹친 영향입니다.

정부는 앞으로 국제 유가 등 물가 변동 요인을 면밀히 관찰하고, 채소가 출하되는 4월 말까지 농산물 수급 대책을 추진해 가격을 안정시키겠다고 밝혔습니다.

KBS 뉴스 김경진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장바구니 물가’ 상승…신선식품 9.7% 급등
    • 입력 2016-04-01 12:13:16
    • 수정2016-04-01 13:15:24
    뉴스 12
<앵커 멘트>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두 달 연속 1%대를 유지했습니다.

그러나 농·축·수산물 가격이 올라 '밥상 물가'가 껑충 뛰면서, 서민이 느끼는 체감 장바구니 물가는 더 높아졌습니다.

김경진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통계청은 지난달 소비자물가지수가 1년 전보다 1% 올랐다고 밝혔습니다.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지난 1월 0.8%까지 떨어졌다가 2월에 1.3%를 기록한 데 이어 두 달 연속 1%대를 나타냈습니다.

국제 유가 하락으로 지난달 휘발유 가격이 1년 전보다 10% 이상 떨어지면서, 물가 상승률이 둔화됐습니다.

그러나 서민들이 자주 이용하는 장바구니 물가는 크게 올랐습니다.

채소와 과일, 어패류 등 신선식품 지수는 1년 전보다 9.7% 상승했습니다.

양팟값이 1년 새 99.1% 급등했고, 배추와 파 가격도 각각 86.5%, 49.8% 올랐습니다.

지난 1월 예상치 못했던 폭설과 한파로 작황이 나빠지면서 봄 채소 가격이 예년보다 더 많이 올랐습니다.

전세 가격도 4% 오르며, 지난해 10월부터 6개월 연속 4%대의 상승세를 유지했습니다.

시중 금리가 낮아지면서 전세가 월세로 전환되는 추세인 데다 이사 철까지 겹친 영향입니다.

정부는 앞으로 국제 유가 등 물가 변동 요인을 면밀히 관찰하고, 채소가 출하되는 4월 말까지 농산물 수급 대책을 추진해 가격을 안정시키겠다고 밝혔습니다.

KBS 뉴스 김경진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