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군용기 10여 대 방공식별구역 침범

입력 2017.01.10 (08:16) 수정 2017.01.10 (09:03)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기자 멘트>

중국이 한반도 사드 배치에 반발해 각종 보복 조처를 취하고 있는 가운데, 어제 중국 군용기 10여 대가 우리 측 방공식별구역을 침범한 사실이 확인됐습니다.

우리 공군은 전투기를 긴급 출격시켜 대응했습니다.

김성수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어제 오전 10시 중국 군용기 10여 대가 제주 남방 이어도 서쪽 상공에 출현했습니다.

이곳은 우리 측 방공식별구역으로, 사전에 우리 합참의 허가를 받아야 했지만, 무단 침범한 겁니다.

중국 군용기의 도발은 오후 3시까지 수 차례나 이어졌습니다.

우리 공군은 즉시 F-15K와 KF-16 등 전투기 10여 대를 긴급 발진시켜, 중국 군용기가 우리 측 방공식별구역을 벗어날 때까지 대응 조치를 취했습니다.

이 과정에서 우리 군은 중국 측에 군용기 침범사실을 알리며 경고통신을 보냈고, 중국 공군에 핫라인으로 경고 메시지도 전달한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이번에 우리 측 방공식별구역을 침범한 중국 군용기는 폭격기와 조기경보기, 정보수집기 등인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군 관계자는 출격 장소가 중국 본토인지 아니면 전함인지는 정확히 확인되지 않았다고 전했습니다.

중국 항공모항 랴오닝호 전단은 지난해 말부터 서해와 동중국해, 남중국해 등에서 함재기 이착륙 등의 훈련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중국의 이번 도발은 사드배치와 남중국해 문제 등으로 신경전을 벌이고 있는 우리나라와 일본에 대한 일종의 무력시위로 분석됩니다.

KBS 뉴스 김성수입니다.

<기자 멘트>

방공식별구역은 국제법상 주권이 미치는 영공은 아니지만, 구역 안에 진입하는 외국 항공기는 관할국의 사전 허가를 받는 게 관례입니다.

중국이 사전 허가도 없이 이처럼 대규모로 침범한 건 이례적인데요, 의도적인 행위로 보입니다.

지난해 우리가 사드 배치를 공식화 한 이후, 중국 측의 보복 수위가 갈수록 높아지고 있습니다.

한류 연예인의 중국 방송 출연을 금지했고, 한국 여행 자제령에 이어 한국행 전세기 운항도 불허했습니다.

롯데 세무조사같은 경제적 압박도 확대되고 있습니다.

한일 위안부 합의를 둘러싸고, 한일 관계도 악화 일로입니다.

일본은 부산 평화의 소녀상 설치를 빌미 삼아, 주한 일본 대사를 소환했는데, 이건 단교 다음 가는 높은 수위의 외교적 대응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경제 분야에서도, 일본은 한일 통화 스와프 논의를 중단했습니다.

한미 관계도 녹록지 않습니다.

트럼프 미 대통령 당선인은 미국 제일 주의를 내세우고 있습니다.

트럼프 당선인은 지난 유세 기간, 한국에 대해 안보 무임승차론을 제기하며 방위비 분담금 증액을 예고했습니다.

또, 한미 자유무역협정은 재앙이라는 표현까지 서슴지 않았습니다.

미, 중, 일, 3강으로부터 거센 압박을 받는 위기 상황이지만, 우리는 이렇다할 외교 행보를 보이지 못 하고 있습니다.

여기에 새해 들어 북한이 노골적으로 무력 도발 위협을 가하고 있습니다.

김정은의 신년사를 시작으로 북한은 연일 대륙간탄도미사일 시험 발사를 위협하고 있습니다.

열흘 앞으로 다가온 미 트럼프 대통령 취임을 앞두고 위기 국면을 조성하면서 북미 관계에서 주도권을 행사하겠다는 의도로 보입니다.

하지만 트럼프 행정부의 외교안보 라인엔 강경파가 대거 포진해 있습니다.

애쉬턴 카터 미국 국방장관은 북한을 겨냥해, "미국으로 미사일이 발사되거나 동맹국에 피해가 예상되면, 격추시키겠다."고 했습니다.

트럼프가 미국에 위협이 되는 북한의 핵무기 개발도 그냥 놔두진 않을 것으로 보여, 트럼프 취임 이후 북핵 위기는 다시 고조될 수 있습니다.

위기 상황 속에서, 외교 문제들은 대선 이슈로도 부상하고 있습니다.

지금까지 대선 주자들이 밝힌 입장을 정리해 보겠습니다.

한일 위안부 합의에 대해선 누구도 환영 입장은 아닙니다.

문재인 더불어민주당 전 대표는 다시 협상해야 한다고 했고, 반기문 전 유엔 사무총장은 합의를 환영한다는 성명을 냈지만, 지난해 3월엔 완전히 해결된 것은 아니라고 본다고 말했습니다.

사드 배치에 대해선 의견이 엇갈렸는데요.

문 전 대표와 안철수 국민의당 전 대표는 다음 정부에서 논의하자는 쪽이지만, 바른정당 유승민 의원은 현 정부 계획대로 추진해야 한다는 입장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中 군용기 10여 대 방공식별구역 침범
    • 입력 2017-01-10 08:18:57
    • 수정2017-01-10 09:03:59
    아침뉴스타임
<기자 멘트>

중국이 한반도 사드 배치에 반발해 각종 보복 조처를 취하고 있는 가운데, 어제 중국 군용기 10여 대가 우리 측 방공식별구역을 침범한 사실이 확인됐습니다.

우리 공군은 전투기를 긴급 출격시켜 대응했습니다.

김성수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어제 오전 10시 중국 군용기 10여 대가 제주 남방 이어도 서쪽 상공에 출현했습니다.

이곳은 우리 측 방공식별구역으로, 사전에 우리 합참의 허가를 받아야 했지만, 무단 침범한 겁니다.

중국 군용기의 도발은 오후 3시까지 수 차례나 이어졌습니다.

우리 공군은 즉시 F-15K와 KF-16 등 전투기 10여 대를 긴급 발진시켜, 중국 군용기가 우리 측 방공식별구역을 벗어날 때까지 대응 조치를 취했습니다.

이 과정에서 우리 군은 중국 측에 군용기 침범사실을 알리며 경고통신을 보냈고, 중국 공군에 핫라인으로 경고 메시지도 전달한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이번에 우리 측 방공식별구역을 침범한 중국 군용기는 폭격기와 조기경보기, 정보수집기 등인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군 관계자는 출격 장소가 중국 본토인지 아니면 전함인지는 정확히 확인되지 않았다고 전했습니다.

중국 항공모항 랴오닝호 전단은 지난해 말부터 서해와 동중국해, 남중국해 등에서 함재기 이착륙 등의 훈련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중국의 이번 도발은 사드배치와 남중국해 문제 등으로 신경전을 벌이고 있는 우리나라와 일본에 대한 일종의 무력시위로 분석됩니다.

KBS 뉴스 김성수입니다.

<기자 멘트>

방공식별구역은 국제법상 주권이 미치는 영공은 아니지만, 구역 안에 진입하는 외국 항공기는 관할국의 사전 허가를 받는 게 관례입니다.

중국이 사전 허가도 없이 이처럼 대규모로 침범한 건 이례적인데요, 의도적인 행위로 보입니다.

지난해 우리가 사드 배치를 공식화 한 이후, 중국 측의 보복 수위가 갈수록 높아지고 있습니다.

한류 연예인의 중국 방송 출연을 금지했고, 한국 여행 자제령에 이어 한국행 전세기 운항도 불허했습니다.

롯데 세무조사같은 경제적 압박도 확대되고 있습니다.

한일 위안부 합의를 둘러싸고, 한일 관계도 악화 일로입니다.

일본은 부산 평화의 소녀상 설치를 빌미 삼아, 주한 일본 대사를 소환했는데, 이건 단교 다음 가는 높은 수위의 외교적 대응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경제 분야에서도, 일본은 한일 통화 스와프 논의를 중단했습니다.

한미 관계도 녹록지 않습니다.

트럼프 미 대통령 당선인은 미국 제일 주의를 내세우고 있습니다.

트럼프 당선인은 지난 유세 기간, 한국에 대해 안보 무임승차론을 제기하며 방위비 분담금 증액을 예고했습니다.

또, 한미 자유무역협정은 재앙이라는 표현까지 서슴지 않았습니다.

미, 중, 일, 3강으로부터 거센 압박을 받는 위기 상황이지만, 우리는 이렇다할 외교 행보를 보이지 못 하고 있습니다.

여기에 새해 들어 북한이 노골적으로 무력 도발 위협을 가하고 있습니다.

김정은의 신년사를 시작으로 북한은 연일 대륙간탄도미사일 시험 발사를 위협하고 있습니다.

열흘 앞으로 다가온 미 트럼프 대통령 취임을 앞두고 위기 국면을 조성하면서 북미 관계에서 주도권을 행사하겠다는 의도로 보입니다.

하지만 트럼프 행정부의 외교안보 라인엔 강경파가 대거 포진해 있습니다.

애쉬턴 카터 미국 국방장관은 북한을 겨냥해, "미국으로 미사일이 발사되거나 동맹국에 피해가 예상되면, 격추시키겠다."고 했습니다.

트럼프가 미국에 위협이 되는 북한의 핵무기 개발도 그냥 놔두진 않을 것으로 보여, 트럼프 취임 이후 북핵 위기는 다시 고조될 수 있습니다.

위기 상황 속에서, 외교 문제들은 대선 이슈로도 부상하고 있습니다.

지금까지 대선 주자들이 밝힌 입장을 정리해 보겠습니다.

한일 위안부 합의에 대해선 누구도 환영 입장은 아닙니다.

문재인 더불어민주당 전 대표는 다시 협상해야 한다고 했고, 반기문 전 유엔 사무총장은 합의를 환영한다는 성명을 냈지만, 지난해 3월엔 완전히 해결된 것은 아니라고 본다고 말했습니다.

사드 배치에 대해선 의견이 엇갈렸는데요.

문 전 대표와 안철수 국민의당 전 대표는 다음 정부에서 논의하자는 쪽이지만, 바른정당 유승민 의원은 현 정부 계획대로 추진해야 한다는 입장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