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사대’ 추가 배치 조율…주민 반발 변수

입력 2017.07.31 (12:09) 수정 2017.07.31 (13:17)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사드 1개 포대는 발사대 6기로 구성되는데요, 2기는 성주에 이미 배치돼 있는데, 나머지 4기 배치는 환경영향평가 뒤로 미뤄져 있습니다.

북한의 ICBM급 미사일 2차 도발 이후, 문재인 대통령이 잔여 발사대 배치를 즉각 협의하라고 지시해 한미가 조율에 들어갔는데요.

추가 배치는 언제, 어떻게 이뤄지는지, 걸림돌은 없는지 우한울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국방부는 그제 대통령 지시를 받자마자 사드발사대 4기의 임시 배치를 위한 실무 논의에 착수했습니다.

<인터뷰> 윤영찬(청와대 국민소통수석/어제) : "(문 대통령은) 잔여 사드 발사기의 조기 배치를 포함하여 확장 억제력을 확보하는 방안들을 미국 측과 즉각 협의해 나가길 바랍니다 (라고 말했습니다.)"

미군 측도 사드 1개 포대의 정상 가동을 바라는 만큼, 논의는 급물살을 탈 수 있습니다.

콘크리트 대신, 임시 깔판을 깔아 발사대를 세우는, 이른바 '야전 배치'는 1~2주 안에 가능합니다.

발사대 추가 배치로 운용 장병들이 늘어도 큰 부담은 없을 것으로 보입니다.

국방부가 사드 체계 임시 운용을 위해, 장병 숙소, 도로와 같은 시설 공사를 허용했기 때문입니다.

국방부 관계자는 미군 측과 실무 논의가 무리 없이 이뤄진다면 야전 배치는 8월 중이면 가능한 상황이라고 밝혔습니다.

현재, 가장 큰 변수는 사드장비 완전 철수를 주장하며 가로막고 있는 주민들입니다.

사드 발사대 1기의 무게는 40톤에 달해 헬기 이송은 불가능하고, 육로로 옮겨질 수밖에 없습니다.

결국 사드 발사대 추가 배치 시점은 군과 주민들 사이의 간극이 언제 어떤 방식으로 메워지느냐에 따라 결정될 것으로 보입니다.

KBS 뉴스 우한울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발사대’ 추가 배치 조율…주민 반발 변수
    • 입력 2017-07-31 12:13:27
    • 수정2017-07-31 13:17:30
    뉴스 12
<앵커 멘트>

사드 1개 포대는 발사대 6기로 구성되는데요, 2기는 성주에 이미 배치돼 있는데, 나머지 4기 배치는 환경영향평가 뒤로 미뤄져 있습니다.

북한의 ICBM급 미사일 2차 도발 이후, 문재인 대통령이 잔여 발사대 배치를 즉각 협의하라고 지시해 한미가 조율에 들어갔는데요.

추가 배치는 언제, 어떻게 이뤄지는지, 걸림돌은 없는지 우한울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국방부는 그제 대통령 지시를 받자마자 사드발사대 4기의 임시 배치를 위한 실무 논의에 착수했습니다.

<인터뷰> 윤영찬(청와대 국민소통수석/어제) : "(문 대통령은) 잔여 사드 발사기의 조기 배치를 포함하여 확장 억제력을 확보하는 방안들을 미국 측과 즉각 협의해 나가길 바랍니다 (라고 말했습니다.)"

미군 측도 사드 1개 포대의 정상 가동을 바라는 만큼, 논의는 급물살을 탈 수 있습니다.

콘크리트 대신, 임시 깔판을 깔아 발사대를 세우는, 이른바 '야전 배치'는 1~2주 안에 가능합니다.

발사대 추가 배치로 운용 장병들이 늘어도 큰 부담은 없을 것으로 보입니다.

국방부가 사드 체계 임시 운용을 위해, 장병 숙소, 도로와 같은 시설 공사를 허용했기 때문입니다.

국방부 관계자는 미군 측과 실무 논의가 무리 없이 이뤄진다면 야전 배치는 8월 중이면 가능한 상황이라고 밝혔습니다.

현재, 가장 큰 변수는 사드장비 완전 철수를 주장하며 가로막고 있는 주민들입니다.

사드 발사대 1기의 무게는 40톤에 달해 헬기 이송은 불가능하고, 육로로 옮겨질 수밖에 없습니다.

결국 사드 발사대 추가 배치 시점은 군과 주민들 사이의 간극이 언제 어떤 방식으로 메워지느냐에 따라 결정될 것으로 보입니다.

KBS 뉴스 우한울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