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린 안전해요” 다시 주목받는 동물복지

입력 2017.08.17 (19:19) 수정 2017.08.17 (19:28)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이번 살충제 달걀 파동은 좁은 닭장에 닭을 빽빽이 키워 스스로 진드기를 제거할 수 없다는 점이 원인으로 지적됐는데요.

닭이 자유롭게 뛰놀며 스스로 면역력을 키우는 동물복지 농장이 다시 주목받고 있습니다.

차주하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6천 마리 넘는 닭이 넓은 사육장을 자유롭게 뛰어다닙니다.

아늑한 산란장에 스스로 들어가 알을 낳고, 60cm 높이 횃대에 훌쩍 올라 쉬기도 합니다.

닭을 좁은 닭장에 빽빽하게 가둬 사육하는 대신 풀어 키우는 겁니다.

넓이만 2천 3백여 제곱미터, 닭 한 마리당 공간이 0.3㎡로 일반 양계장보다 7배 정도 넓습니다.

닭들은 숲 속 방사장을 뛰놀며 햇볕 아래 날개를 소독합니다.

흙에 몸을 비비는 흙 목욕을 하며 벌레도 자연스럽게 털어냅니다.

<인터뷰> 정진후(동물복지 양계장 주인) : "자유 방목하는 게 가장 자연에 가깝고 닭을 자연에 살게 하는 (사육방법입니다.) 자연에 나가서 흙 목욕을 마음대로 할 수 있고 자연 일조를 마음대로 쬘 수 있기 때문에."

때문에 면역력이 자연스레 키워져 조류인플루엔자 같은 질병이나 벌레로 인한 피해를 거의 입지 않았습니다.

<인터뷰> 김두환(경남과학기술대학교 동물소재공학과 교수) : "살아있을 때 건강하게 살아있어야 합니다. 그걸 이제는 소비자들이 아는 것이고, 그걸 요구하는 겁니다. 농장동물의 복지는 반드시 개선되어야..."

동물 스스로 건강을 지키는 동물복지 농장이 건강한 먹을거리의 대안으로 다시금 떠오르고 있습니다.

KBS 뉴스 차주하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우린 안전해요” 다시 주목받는 동물복지
    • 입력 2017-08-17 19:22:19
    • 수정2017-08-17 19:28:55
    뉴스 7
<앵커 멘트>

이번 살충제 달걀 파동은 좁은 닭장에 닭을 빽빽이 키워 스스로 진드기를 제거할 수 없다는 점이 원인으로 지적됐는데요.

닭이 자유롭게 뛰놀며 스스로 면역력을 키우는 동물복지 농장이 다시 주목받고 있습니다.

차주하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6천 마리 넘는 닭이 넓은 사육장을 자유롭게 뛰어다닙니다.

아늑한 산란장에 스스로 들어가 알을 낳고, 60cm 높이 횃대에 훌쩍 올라 쉬기도 합니다.

닭을 좁은 닭장에 빽빽하게 가둬 사육하는 대신 풀어 키우는 겁니다.

넓이만 2천 3백여 제곱미터, 닭 한 마리당 공간이 0.3㎡로 일반 양계장보다 7배 정도 넓습니다.

닭들은 숲 속 방사장을 뛰놀며 햇볕 아래 날개를 소독합니다.

흙에 몸을 비비는 흙 목욕을 하며 벌레도 자연스럽게 털어냅니다.

<인터뷰> 정진후(동물복지 양계장 주인) : "자유 방목하는 게 가장 자연에 가깝고 닭을 자연에 살게 하는 (사육방법입니다.) 자연에 나가서 흙 목욕을 마음대로 할 수 있고 자연 일조를 마음대로 쬘 수 있기 때문에."

때문에 면역력이 자연스레 키워져 조류인플루엔자 같은 질병이나 벌레로 인한 피해를 거의 입지 않았습니다.

<인터뷰> 김두환(경남과학기술대학교 동물소재공학과 교수) : "살아있을 때 건강하게 살아있어야 합니다. 그걸 이제는 소비자들이 아는 것이고, 그걸 요구하는 겁니다. 농장동물의 복지는 반드시 개선되어야..."

동물 스스로 건강을 지키는 동물복지 농장이 건강한 먹을거리의 대안으로 다시금 떠오르고 있습니다.

KBS 뉴스 차주하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