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창 숙박 바가지’ 말로만 단속…‘예약 거부’ 횡포까지

입력 2017.12.08 (21:07) 수정 2017.12.08 (21:38)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동계 올림픽 개최 지역의 바가지 숙박 요금을 내리기 위해, 강원도가 세무조사 방침까지 밝히고, "이제는 요금이 하향 안정화 돼 있다"고 밝혔는데요.

KBS가 직접 현장을 점검해 보니, 실상은 전혀 달랐습니다.

김영준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올림픽 빙상 경기가 열리는 강릉의 허름한 모텔촌 거리.

대부분 시설이 오래돼 겨울철 요금은 5만 원 안팎입니다.

그런데도, 평창올림픽이 열리는 내년 2월 예약은 받지 않는 곳이 많습니다.

대회에 임박해 방값을 높게 받으려는 계산입니다.

<녹취> 숙박업소 관계자(음성변조) : "그래 봐야 반짝, 한 1주일인데. 부르는 게 값이잖아요. 솔직히 얘기해서..."

바닷가 주변도 마찬가지.

객실 관리사이트를 보면 방은 비어 있는데도, 예약됐다는 핑계를 대며 예약을 거부합니다.

<녹취> 숙박업소 관계자(음성변조) : "(지금) 계약 중이에요. 그래서 저희는 뭐 (예약을) 따로 안 받고 있거든요."

예약을 할 수 있어도 2~3명이 묵는 방을 기준으로 40~50만 원은 줘야 합니다.

시설 차이가 있지만, 평소 요금의 3,4배 성수기보다도 2배 이상 높습니다.

<녹취> 숙박업소 관계자(음성 변조) : "40만 원, 45만 원 그렇습니다. 그건 뭐 집집마다 다르니까."

100여 ㎡ 이상 넓은 곳은 100만 원을 호가하는 등 '올림픽 숙박료'가 따로 있는 겁니다.

<인터뷰> 이영순(관광객) : "하루에 그 정도의 가격이라면 제 개인적으로는 굉장히 부담스러워서 이곳에서 잘 생각은 못 할 것 같아요."

하지만 자치단체는 숙박 요금이 안정세라고 진단하고 있습니다.

<인터뷰> 전재섭(강원도 올림픽운영국 과장) : "하향 안정화가 되고 있습니다. 그래도 일부 업소는 아직도 높은 가격과 예약 거부를 하고 있는데요. 적극적으로 설득을 하고,또 안 되면 행정조치도 해 나가겠습니다."

일부 숙박업소의 바가지 요금이나 예약 거부는 양심적으로 영업하는 숙박업소뿐만 아니라 평창 동계올림픽의 흥행에도 악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KBS 뉴스 김영준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평창 숙박 바가지’ 말로만 단속…‘예약 거부’ 횡포까지
    • 입력 2017-12-08 21:07:50
    • 수정2017-12-08 21:38:57
    뉴스 9
<앵커 멘트>

동계 올림픽 개최 지역의 바가지 숙박 요금을 내리기 위해, 강원도가 세무조사 방침까지 밝히고, "이제는 요금이 하향 안정화 돼 있다"고 밝혔는데요.

KBS가 직접 현장을 점검해 보니, 실상은 전혀 달랐습니다.

김영준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올림픽 빙상 경기가 열리는 강릉의 허름한 모텔촌 거리.

대부분 시설이 오래돼 겨울철 요금은 5만 원 안팎입니다.

그런데도, 평창올림픽이 열리는 내년 2월 예약은 받지 않는 곳이 많습니다.

대회에 임박해 방값을 높게 받으려는 계산입니다.

<녹취> 숙박업소 관계자(음성변조) : "그래 봐야 반짝, 한 1주일인데. 부르는 게 값이잖아요. 솔직히 얘기해서..."

바닷가 주변도 마찬가지.

객실 관리사이트를 보면 방은 비어 있는데도, 예약됐다는 핑계를 대며 예약을 거부합니다.

<녹취> 숙박업소 관계자(음성변조) : "(지금) 계약 중이에요. 그래서 저희는 뭐 (예약을) 따로 안 받고 있거든요."

예약을 할 수 있어도 2~3명이 묵는 방을 기준으로 40~50만 원은 줘야 합니다.

시설 차이가 있지만, 평소 요금의 3,4배 성수기보다도 2배 이상 높습니다.

<녹취> 숙박업소 관계자(음성 변조) : "40만 원, 45만 원 그렇습니다. 그건 뭐 집집마다 다르니까."

100여 ㎡ 이상 넓은 곳은 100만 원을 호가하는 등 '올림픽 숙박료'가 따로 있는 겁니다.

<인터뷰> 이영순(관광객) : "하루에 그 정도의 가격이라면 제 개인적으로는 굉장히 부담스러워서 이곳에서 잘 생각은 못 할 것 같아요."

하지만 자치단체는 숙박 요금이 안정세라고 진단하고 있습니다.

<인터뷰> 전재섭(강원도 올림픽운영국 과장) : "하향 안정화가 되고 있습니다. 그래도 일부 업소는 아직도 높은 가격과 예약 거부를 하고 있는데요. 적극적으로 설득을 하고,또 안 되면 행정조치도 해 나가겠습니다."

일부 숙박업소의 바가지 요금이나 예약 거부는 양심적으로 영업하는 숙박업소뿐만 아니라 평창 동계올림픽의 흥행에도 악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KBS 뉴스 김영준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