슬라브 3국 독립국가공동체 출범

입력 1991.12.12 (21:00)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소련의 붕괴를 가리켜서 어떤 사람은 로마제국의 패망을 보는 것 같다고 평합니다.

정말 70년의 역사를 가진 소비에트 연방이 슬라브 3국이 주도하는 독립국가공동체로 다시 탄생하게 됐습니다.

오늘까지 소련의 12개공화국 가운데 10개 공화국이 공동체에 참여할 뜻을 표시했습니다.

보도에 정필모 기자입니다.


정필모 기자 :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그리고 벨로루시등 슬라브국의 3국의 창설선언으로 시작된 독립 국가공동체는 지금까지 카자흐와 아르메니아 등 7개 공화국이 참여의사를 밝힘으로서 소연방을 대체할 새 체제가 될 것임이 확실해 졌습니다.

또 이미 소연방으로부터 독립한 발트3국도 참여문제를 협의 중이라고 옐친 러시아공화국 대통령이 밝혔습니다.

옐친 대통령은 이어서 대부분의 공화국들이 독립국가공동체에 가입할 때 까지 연방정부의 현체제를 유지하기로 고르바초프 소련대통령과 합의했다고 말했습니다.


옐친 대통령 :

무력사용은 어떤 경우에도 용납될 수 없습니다.


정필모 기자 :

결국 소련의 장래를 둘러싼 고르바초프와 옐친의 힘겨루기는 군지도부와 각 공화국이 독립국가공동체의 지지 쪽으로 돌아섬으로서 옐친의 승리로 끝났습니다.

고르바초프와 옐친 그리고 군지도부는 독립국가 공동체아래서 각 공화국이 각각 주권을 행사하더라도 핵무기 통제권과 군통수권은 중앙 행정기구가 갖고 있어야 한다는데 의견을 같이 하고 있습니다.


스크린키그 (소 국방부 대변인) :

핵무기는 각 공화국이 아닌 중앙에서 통제해야 합니다.


정필모 기자 :

독립국가공동체는 이제 공식출범 날짜만을 남겨놓은 셈이 됐으며 앞으로 고르바초프의 위상변화가 주목되고 있습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슬라브 3국 독립국가공동체 출범
    • 입력 1991-12-12 21:00:00
    뉴스 9

소련의 붕괴를 가리켜서 어떤 사람은 로마제국의 패망을 보는 것 같다고 평합니다.

정말 70년의 역사를 가진 소비에트 연방이 슬라브 3국이 주도하는 독립국가공동체로 다시 탄생하게 됐습니다.

오늘까지 소련의 12개공화국 가운데 10개 공화국이 공동체에 참여할 뜻을 표시했습니다.

보도에 정필모 기자입니다.


정필모 기자 :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그리고 벨로루시등 슬라브국의 3국의 창설선언으로 시작된 독립 국가공동체는 지금까지 카자흐와 아르메니아 등 7개 공화국이 참여의사를 밝힘으로서 소연방을 대체할 새 체제가 될 것임이 확실해 졌습니다.

또 이미 소연방으로부터 독립한 발트3국도 참여문제를 협의 중이라고 옐친 러시아공화국 대통령이 밝혔습니다.

옐친 대통령은 이어서 대부분의 공화국들이 독립국가공동체에 가입할 때 까지 연방정부의 현체제를 유지하기로 고르바초프 소련대통령과 합의했다고 말했습니다.


옐친 대통령 :

무력사용은 어떤 경우에도 용납될 수 없습니다.


정필모 기자 :

결국 소련의 장래를 둘러싼 고르바초프와 옐친의 힘겨루기는 군지도부와 각 공화국이 독립국가공동체의 지지 쪽으로 돌아섬으로서 옐친의 승리로 끝났습니다.

고르바초프와 옐친 그리고 군지도부는 독립국가 공동체아래서 각 공화국이 각각 주권을 행사하더라도 핵무기 통제권과 군통수권은 중앙 행정기구가 갖고 있어야 한다는데 의견을 같이 하고 있습니다.


스크린키그 (소 국방부 대변인) :

핵무기는 각 공화국이 아닌 중앙에서 통제해야 합니다.


정필모 기자 :

독립국가공동체는 이제 공식출범 날짜만을 남겨놓은 셈이 됐으며 앞으로 고르바초프의 위상변화가 주목되고 있습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