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3 자사고·일반고 ‘이중지원’ 가능…수험생 혼란

입력 2018.06.30 (07:29) 수정 2018.06.30 (07:39)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올해부터는 자율형사립고와 일반고의 입시가 후기 전형으로 동시에 실시됩니다.

다만, 기존 정책과 달리 자사고와 일반고의 이중지원이 가능해지게 됐는데, 계속 바뀌는 입시 환경에 학생들은 혼란스럽습니다.

서병립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그동안 자사고와 외국어고 등은 8월부터 전형을 시작하는 전기에, 일반고는 12월 쯤인 후기에 입시를 치러 왔습니다.

교육부는 자사고와 외고 등이 고교 서열화를 심화시킨다고 보고, 법 시행령을 바꿔, 올해 말부터 일반고와 함께 뽑도록 했습니다.

그러면서 자율형사립고와 일반고에 동시에 지원하는 이중 지원도 금지했습니다.

그런데, 헌법재판소가 후기 동시 선발은 유지하되, 이중 지원을 금지한 법 조항의 효력은 일시 정지했습니다.

현재 중3학생들의 선택권을 침해할 수 있다며, 본안 심판에서 판단할 때까지 이중지원은 할 수 있게 한 겁니다.

[오세목/전국자율형사립고 연합회장/헌법소원 제기 : "전기 선발권을 회복시켜야지 저희가 편하게 학생들을 각각 다르게 (선발하고) 그래서 점점 경쟁하고 그래야 이게 자사고 취지에 맞습니다."]

이런 움직임에는 외고나 국제고도 가세할 전망입니다.

당장 올해 고입 전형 일정을 수정해야 하는 교육부는 긴급히 대응책 마련에 나섰습니다.

이미 한 차례 진학 전략을 바꿔야했던 중3 학생과 학부모들은 혼란스럽습니다.

[고영재/중3 학부모 : "자사고를 썼다가 떨어지게 되면 배정 받은 학교가 마음에 안들면 다른 시·도로 전학을 가는 그 정도까지 생각했어요. 그럼 아예 쓰지 말고 (일반고를 쓸까 생각했어요)."]

여러 교육감들이 자사고 폐지를 천명하고 있는 상황에서 헌재의 최종 판단이 나오기까지, 교육계의 혼란은 불가피 할 것으로 보입니다.

KBS 뉴스 서병립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중3 자사고·일반고 ‘이중지원’ 가능…수험생 혼란
    • 입력 2018-06-30 07:31:23
    • 수정2018-06-30 07:39:14
    뉴스광장
[앵커]

올해부터는 자율형사립고와 일반고의 입시가 후기 전형으로 동시에 실시됩니다.

다만, 기존 정책과 달리 자사고와 일반고의 이중지원이 가능해지게 됐는데, 계속 바뀌는 입시 환경에 학생들은 혼란스럽습니다.

서병립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그동안 자사고와 외국어고 등은 8월부터 전형을 시작하는 전기에, 일반고는 12월 쯤인 후기에 입시를 치러 왔습니다.

교육부는 자사고와 외고 등이 고교 서열화를 심화시킨다고 보고, 법 시행령을 바꿔, 올해 말부터 일반고와 함께 뽑도록 했습니다.

그러면서 자율형사립고와 일반고에 동시에 지원하는 이중 지원도 금지했습니다.

그런데, 헌법재판소가 후기 동시 선발은 유지하되, 이중 지원을 금지한 법 조항의 효력은 일시 정지했습니다.

현재 중3학생들의 선택권을 침해할 수 있다며, 본안 심판에서 판단할 때까지 이중지원은 할 수 있게 한 겁니다.

[오세목/전국자율형사립고 연합회장/헌법소원 제기 : "전기 선발권을 회복시켜야지 저희가 편하게 학생들을 각각 다르게 (선발하고) 그래서 점점 경쟁하고 그래야 이게 자사고 취지에 맞습니다."]

이런 움직임에는 외고나 국제고도 가세할 전망입니다.

당장 올해 고입 전형 일정을 수정해야 하는 교육부는 긴급히 대응책 마련에 나섰습니다.

이미 한 차례 진학 전략을 바꿔야했던 중3 학생과 학부모들은 혼란스럽습니다.

[고영재/중3 학부모 : "자사고를 썼다가 떨어지게 되면 배정 받은 학교가 마음에 안들면 다른 시·도로 전학을 가는 그 정도까지 생각했어요. 그럼 아예 쓰지 말고 (일반고를 쓸까 생각했어요)."]

여러 교육감들이 자사고 폐지를 천명하고 있는 상황에서 헌재의 최종 판단이 나오기까지, 교육계의 혼란은 불가피 할 것으로 보입니다.

KBS 뉴스 서병립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