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정은 “美와 마주 앉을 준비…오판하면 새 길 모색”

입력 2019.01.01 (21:02) 수정 2019.01.01 (21:09)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2019년 새해 첫날 9시뉴스 시작하겠습니다.

오늘(1일)부터 새롭게 진행을 맡게된 엄경철입니다.

새해 첫날 개인적 소망과 여러 사회적 기원이 있겠지만 한반도 비핵화와 평화정착이 가장 큰 민족적 염원이 아닐까 싶습니다.

지난해가 대전환의 해였다면 올핸 완성시켜야 할 결정적 시기라고 할 수 있습니다.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오늘(1일) 신년사를 발표했습니다.

비핵화 의지를 강조하면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마주앉을 준비가 돼 있다고 했습니다.

그러나 미국이 강요나 제재로 압박한다면 새로운 길을 모색할 수도 있다는 단서도 달았습니다.

윤진 기자입니다.

[리포트]

새해를 알리는 종소리와 함께 등장한 김정은 위원장.

양복차림으로 소파에 앉아 신년사를 낭독했습니다.

가장 주목됐던 비핵화 부분.

비핵화 의지 표명과 더불어 2차 북미정상회담에 대한 기대감을 나타냈습니다.

[김정은/북한 국무위원장 : "또다시 미국 대통령과 마주 앉을 준비가 되어 있으며 반드시 국제사회가 환영하는 결과를 만들기 위해 노력할 것입니다."]

하지만 단서가 붙었습니다.

미국이 강요와 압박을 계속 할 경우 새로운 길을 모색하겠다는 경고성 메시지도 덧붙였습니다.

남북 관계는 지난해 세차례 정상회담을 언급하며 완전히 새로운 단계에 들어섰다고 자평했습니다.

[김정은/북한 국무위원장 : "경이적인 성과들이 짧은 기간에 이룩된 데 대하여 나는 대단히 만족하게 생각합니다."]

정전협정 당사자들과 연계해 평화체제 전환 협상을 추진하고 남북이 평화적인 통일방안도 모색하자고 했습니다.

남북관계에 좀 더 적극적으로 나설 것임을 시사하는 대목입니다.

김 위원장은 단 남북이 평화 번영의 길로 나가기로 확약한 이상 외세와의 합동 군사연습을 중단하고 외부 전쟁장비도 반입하지 말아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김 위원장은 또 대북제재가 쉽게 풀리지 않을 것임을 감안한 듯 경제 건설을 강조하며, 자립경제란 표현을 7차례나 언급했습니다.

강성대국이나 핵 무력이란 언급은 일절 없었습니다

결국 북한은 비핵화와 평화체제 협상, 남북 관계 진전, 경제 총력전이란 세 축을 중심으로 올해 정책을 펼칠 것으로 분석됩니다.

KBS 뉴스 윤진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김정은 “美와 마주 앉을 준비…오판하면 새 길 모색”
    • 입력 2019-01-01 21:05:36
    • 수정2019-01-01 21:09:04
    뉴스 9
[앵커]

2019년 새해 첫날 9시뉴스 시작하겠습니다.

오늘(1일)부터 새롭게 진행을 맡게된 엄경철입니다.

새해 첫날 개인적 소망과 여러 사회적 기원이 있겠지만 한반도 비핵화와 평화정착이 가장 큰 민족적 염원이 아닐까 싶습니다.

지난해가 대전환의 해였다면 올핸 완성시켜야 할 결정적 시기라고 할 수 있습니다.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오늘(1일) 신년사를 발표했습니다.

비핵화 의지를 강조하면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마주앉을 준비가 돼 있다고 했습니다.

그러나 미국이 강요나 제재로 압박한다면 새로운 길을 모색할 수도 있다는 단서도 달았습니다.

윤진 기자입니다.

[리포트]

새해를 알리는 종소리와 함께 등장한 김정은 위원장.

양복차림으로 소파에 앉아 신년사를 낭독했습니다.

가장 주목됐던 비핵화 부분.

비핵화 의지 표명과 더불어 2차 북미정상회담에 대한 기대감을 나타냈습니다.

[김정은/북한 국무위원장 : "또다시 미국 대통령과 마주 앉을 준비가 되어 있으며 반드시 국제사회가 환영하는 결과를 만들기 위해 노력할 것입니다."]

하지만 단서가 붙었습니다.

미국이 강요와 압박을 계속 할 경우 새로운 길을 모색하겠다는 경고성 메시지도 덧붙였습니다.

남북 관계는 지난해 세차례 정상회담을 언급하며 완전히 새로운 단계에 들어섰다고 자평했습니다.

[김정은/북한 국무위원장 : "경이적인 성과들이 짧은 기간에 이룩된 데 대하여 나는 대단히 만족하게 생각합니다."]

정전협정 당사자들과 연계해 평화체제 전환 협상을 추진하고 남북이 평화적인 통일방안도 모색하자고 했습니다.

남북관계에 좀 더 적극적으로 나설 것임을 시사하는 대목입니다.

김 위원장은 단 남북이 평화 번영의 길로 나가기로 확약한 이상 외세와의 합동 군사연습을 중단하고 외부 전쟁장비도 반입하지 말아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김 위원장은 또 대북제재가 쉽게 풀리지 않을 것임을 감안한 듯 경제 건설을 강조하며, 자립경제란 표현을 7차례나 언급했습니다.

강성대국이나 핵 무력이란 언급은 일절 없었습니다

결국 북한은 비핵화와 평화체제 협상, 남북 관계 진전, 경제 총력전이란 세 축을 중심으로 올해 정책을 펼칠 것으로 분석됩니다.

KBS 뉴스 윤진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