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경제] ‘450조 시리아 재건’ 놓고 중동 국제질서 요동

입력 2019.01.31 (18:07) 수정 2019.01.31 (18:23)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8년 시리아 내전이 사실상 마무리되면서 시리아 정부는 국토 재건사업에 본격 착수했습니다.

내전의 상처가 깊은 만큼 재건 사업 규모가 450조 원 안팎이라고 하니, 재건 비용 지원 등을 놓고 중동 국가들간의 관계가 소용돌이 치고 있습니다.

특파원 연결해 자세한 내용 알아봅니다.

김형덕 특파원,시리아의 재건 사업이 실제로 시작됐나요?

[기자]

네, 시리아 내전은 사실상 정부군의 승리로 거의 마무리돼가는 국면인데요,

알아사드 시리아 정부는 발빠르게 재건 사업에 착수했습니다.

수도 다마스쿠스 남서부인 바사틴 알라지 지역에 마로타 신도시를 새로 건설하기 시작했습니다.

투자 규모가 1억 7천만 달러, 우리돈 약 2천억 원 규모인데 민간 자본을 유치했습니다.

이제 재건 사업이 본격적으로 시작됐다고 볼 수 있는데, 8년간의 시리아 내전 기간 동안 시리아 전체 주택의 3분의 1이 파괴된 것으로 세계은행은 추산하고 있습니다.

[앵커]

그 정도 국토가 파괴됐으면 전체 재건 사업 규모가 대단히 크겠는데요?

[기자]

네, 한마디로 천문학적인 규몹니다.

시리아 정부는 내전으로 폐허가 된 국토를 재건하는데 앞으로 15년간 4000억 달러, 우리돈 447조원이 넘는 돈이 돈이 필요하다고 추산하고 있습니다.

시리아 정부는 우선 올해 10조원의 국가 예산 가운데 상당 부분을 재건 사업에 투자할 계획이라고 밝혔습니다.

그런데 앞으로 450조원 가까이 드는 재건 비용은 시리아 정부가 감당할 수 있는 수준을 한참 넘어섭니다.

따라서 내전 막바지 단계부터 누가 재건 비용을 대는냐를 놓고 관심이 모아졌습니다.

내전 기간 알아사드 정권의 가장 큰 후원자는 바로 러시아였고, 이란도 적극 시리아 정부군을 지원했는데요,

그러나 러시아와 이란의 경제는 막대한 재건 비용을 감당할 형편은 안됩니다.

[앵커]

그럼 시리아 재건 사업을 지원하는 주요 국가는 어디가 될까요?

[기자]

미국과 유럽 등 서방 국가들은 아사드 독재정권을 인정하지 않기 때문에 지원하지 않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유엔도 아사드 정권이 유엔이 주관하는 평화협상에 참여하지 않으면 재건 비용을 한푼도 내지 않겠다고 밝히고 있습니다.

그런데 중동의 오일머니를 상징하는 사우디아라비아가 재건 비용의 상당 부분을 지원할 것이란 관측이 나오고 있습니다.

실제 지난달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사우디아라비아가 시리아의 재건 비용을 부담할 것이라고 일방적으로 밝힌 바 있습니다.

결국 사우디는 자의반 타의반으로 시리아 재건에 가장 큰 물주가 될 가능성이 높아졌습니다.

[앵커]

시리아는 사우디아라비아와 사이가 좋지 않았는데요, 재건 비용 지원으로 관계 개선이 되는 건가요?

[기자]

네, 벌써 의미있는 변화 조짐이 보이고 있습니다.

시리아 내전에서 오히려 반군을 지원했던 아랍에미리트는 지난달 시리아 다마스쿠스 주재 대사관을 7년 만에 다시 열었습니다.

이어 바레인도 대사관을 재개설했고, 쿠웨이트도 같은 조치를 내릴 것으로 보입니다.

아랍 수니파 국가들의 이런 움직임은 수니파 종주국인 사우디아라비아의 뜻이라고도 볼수 있습니다.

사우디가 시리아에서 미군이 철수한 후 앙숙인 이란의 영향력이 지나치게 커질 것을 우려해 관계 개선에 나선 것으로 보입니다.

아랍 국가 모임인 아랍연맹은 8년전 박탈했던 시리아의 회원 자격을 다시 되살리는 방안도 검토중입니다.

사우디가 재건 비용을 큰 폭으로 지원하는 조건으로 이란군의 시리아 철수를 내걸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오고 있습니다.

[앵커]

바로 이웃 국가 이라크도 역시 재건 사업을 진행중이지요?

[기자]

네. 이라크도 IS와의 전쟁으로 큰 혼란을 겪었는데요, 시리아보다 한 발 앞서 재건 사업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이곳에서도 이란과 사우디가 서로 경쟁적으로 이라크 재건에 지원하고 나서면서 영향력 확대를 도모하고 있습니다.

이란은 자국의 전기도 충분치 않으면서 이라크에 전력과 천연가스 등 에너지를 공급하고 있고, 사우디는 전폭적인 지원을 약속하며 공을 들이고 있습니다.

시리아와 이라크, 모두 중동의 요충 지역인데요, 재건 사업을 둘러싸고 이래저래 중동의 국제질서가 요동치고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지금까지 두바이였습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글로벌 경제] ‘450조 시리아 재건’ 놓고 중동 국제질서 요동
    • 입력 2019-01-31 18:10:56
    • 수정2019-01-31 18:23:01
    통합뉴스룸ET
[앵커]

8년 시리아 내전이 사실상 마무리되면서 시리아 정부는 국토 재건사업에 본격 착수했습니다.

내전의 상처가 깊은 만큼 재건 사업 규모가 450조 원 안팎이라고 하니, 재건 비용 지원 등을 놓고 중동 국가들간의 관계가 소용돌이 치고 있습니다.

특파원 연결해 자세한 내용 알아봅니다.

김형덕 특파원,시리아의 재건 사업이 실제로 시작됐나요?

[기자]

네, 시리아 내전은 사실상 정부군의 승리로 거의 마무리돼가는 국면인데요,

알아사드 시리아 정부는 발빠르게 재건 사업에 착수했습니다.

수도 다마스쿠스 남서부인 바사틴 알라지 지역에 마로타 신도시를 새로 건설하기 시작했습니다.

투자 규모가 1억 7천만 달러, 우리돈 약 2천억 원 규모인데 민간 자본을 유치했습니다.

이제 재건 사업이 본격적으로 시작됐다고 볼 수 있는데, 8년간의 시리아 내전 기간 동안 시리아 전체 주택의 3분의 1이 파괴된 것으로 세계은행은 추산하고 있습니다.

[앵커]

그 정도 국토가 파괴됐으면 전체 재건 사업 규모가 대단히 크겠는데요?

[기자]

네, 한마디로 천문학적인 규몹니다.

시리아 정부는 내전으로 폐허가 된 국토를 재건하는데 앞으로 15년간 4000억 달러, 우리돈 447조원이 넘는 돈이 돈이 필요하다고 추산하고 있습니다.

시리아 정부는 우선 올해 10조원의 국가 예산 가운데 상당 부분을 재건 사업에 투자할 계획이라고 밝혔습니다.

그런데 앞으로 450조원 가까이 드는 재건 비용은 시리아 정부가 감당할 수 있는 수준을 한참 넘어섭니다.

따라서 내전 막바지 단계부터 누가 재건 비용을 대는냐를 놓고 관심이 모아졌습니다.

내전 기간 알아사드 정권의 가장 큰 후원자는 바로 러시아였고, 이란도 적극 시리아 정부군을 지원했는데요,

그러나 러시아와 이란의 경제는 막대한 재건 비용을 감당할 형편은 안됩니다.

[앵커]

그럼 시리아 재건 사업을 지원하는 주요 국가는 어디가 될까요?

[기자]

미국과 유럽 등 서방 국가들은 아사드 독재정권을 인정하지 않기 때문에 지원하지 않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유엔도 아사드 정권이 유엔이 주관하는 평화협상에 참여하지 않으면 재건 비용을 한푼도 내지 않겠다고 밝히고 있습니다.

그런데 중동의 오일머니를 상징하는 사우디아라비아가 재건 비용의 상당 부분을 지원할 것이란 관측이 나오고 있습니다.

실제 지난달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사우디아라비아가 시리아의 재건 비용을 부담할 것이라고 일방적으로 밝힌 바 있습니다.

결국 사우디는 자의반 타의반으로 시리아 재건에 가장 큰 물주가 될 가능성이 높아졌습니다.

[앵커]

시리아는 사우디아라비아와 사이가 좋지 않았는데요, 재건 비용 지원으로 관계 개선이 되는 건가요?

[기자]

네, 벌써 의미있는 변화 조짐이 보이고 있습니다.

시리아 내전에서 오히려 반군을 지원했던 아랍에미리트는 지난달 시리아 다마스쿠스 주재 대사관을 7년 만에 다시 열었습니다.

이어 바레인도 대사관을 재개설했고, 쿠웨이트도 같은 조치를 내릴 것으로 보입니다.

아랍 수니파 국가들의 이런 움직임은 수니파 종주국인 사우디아라비아의 뜻이라고도 볼수 있습니다.

사우디가 시리아에서 미군이 철수한 후 앙숙인 이란의 영향력이 지나치게 커질 것을 우려해 관계 개선에 나선 것으로 보입니다.

아랍 국가 모임인 아랍연맹은 8년전 박탈했던 시리아의 회원 자격을 다시 되살리는 방안도 검토중입니다.

사우디가 재건 비용을 큰 폭으로 지원하는 조건으로 이란군의 시리아 철수를 내걸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오고 있습니다.

[앵커]

바로 이웃 국가 이라크도 역시 재건 사업을 진행중이지요?

[기자]

네. 이라크도 IS와의 전쟁으로 큰 혼란을 겪었는데요, 시리아보다 한 발 앞서 재건 사업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이곳에서도 이란과 사우디가 서로 경쟁적으로 이라크 재건에 지원하고 나서면서 영향력 확대를 도모하고 있습니다.

이란은 자국의 전기도 충분치 않으면서 이라크에 전력과 천연가스 등 에너지를 공급하고 있고, 사우디는 전폭적인 지원을 약속하며 공을 들이고 있습니다.

시리아와 이라크, 모두 중동의 요충 지역인데요, 재건 사업을 둘러싸고 이래저래 중동의 국제질서가 요동치고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지금까지 두바이였습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