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 대통령 “일본 수출규제 정치적…피해 발생 시 맞대응”

입력 2019.07.08 (21:10) 수정 2019.07.08 (21:53)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문재인 대통령이 일본의 수출규제 조치 이후 처음으로 공식 언급을 내놨습니다.

일본의 조치가 정치적 목적에 의한 것이고 전 세계가 우려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우리 피해가 실질적으로 발생하면 대응하지 않을 수 없다고 경고했습니다.

그러면서도 대응과 맞대응의 악순환은 바람직하지 않다며 일본의 조치 철회를 촉구했습니다.

보도에 이병도 기자입니다.

[리포트]

일본 수출 규제 이후 일주일 만에 문 대통령의 공식 발언이 나왔습니다.

일단 일본의 조치를 정치적 목적이라고 못박았습니다.

[문재인 대통령 : "상호 호혜적인 민간기업 간 거래를 정치적 목적으로 제한하려는 움직임에 대해 한국뿐 아니라 전 세계가 우려하고 있습니다."]

일본의 조치로 우리 뿐 아니라 전 세계 공급망이 위협받고 있다고도 했는데, 국제 사회와의 공조를 염두에 둔 발언으로 보입니다.

일본의 조치에 대한 맞대응도 시사했습니다.

[문재인 대통령 : "피해가 실제적으로 발생할 경우 우리 정부로서도 필요한 대응을 하지 않을 수 없을 것입니다."]

다만 대응과 맞대응의 악순환은 결코 바람직하지 않다면서, 일본의 조치 철회와 성의 있는 협의를 촉구했습니다.

무역은 공동번영의 도구여야 한다는 국제사회의 믿음과 일본이 늘 주창해온 자유무역의 원칙으로 되돌아가기를 바란다는 겁니다.

정부도 국제 공조 방안을 추진 중인데, 당장 유명희 통상본부장의 미국 방문이 검토되고 있습니다.

[유명희/통상교섭본부장 : "국제 공조 방안은 여러 가지를 검토 중인 걸로 지금 말씀드리고..."]

일본의 수출규제가 미국에도 영향이 있다는 점을 설명해 협조를 이끄는 방안이 유력합니다.

국내 반도체 생산에 차질이 생기면 애플과 인텔 등 미국 업체도 피해를 입을 수 있다는 겁니다.

정부는 이와 함께 일본과의 양자 협의를 통해 조치 철회를 촉구하는 방안도 계속해 나갈 것이라고 밝혀, 당분간 '투 트랙'으로 대응해 나갈 방침임을 내비쳤습니다.

KBS 뉴스 이병도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문 대통령 “일본 수출규제 정치적…피해 발생 시 맞대응”
    • 입력 2019-07-08 21:12:00
    • 수정2019-07-08 21:53:42
    뉴스 9
[앵커]

문재인 대통령이 일본의 수출규제 조치 이후 처음으로 공식 언급을 내놨습니다.

일본의 조치가 정치적 목적에 의한 것이고 전 세계가 우려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우리 피해가 실질적으로 발생하면 대응하지 않을 수 없다고 경고했습니다.

그러면서도 대응과 맞대응의 악순환은 바람직하지 않다며 일본의 조치 철회를 촉구했습니다.

보도에 이병도 기자입니다.

[리포트]

일본 수출 규제 이후 일주일 만에 문 대통령의 공식 발언이 나왔습니다.

일단 일본의 조치를 정치적 목적이라고 못박았습니다.

[문재인 대통령 : "상호 호혜적인 민간기업 간 거래를 정치적 목적으로 제한하려는 움직임에 대해 한국뿐 아니라 전 세계가 우려하고 있습니다."]

일본의 조치로 우리 뿐 아니라 전 세계 공급망이 위협받고 있다고도 했는데, 국제 사회와의 공조를 염두에 둔 발언으로 보입니다.

일본의 조치에 대한 맞대응도 시사했습니다.

[문재인 대통령 : "피해가 실제적으로 발생할 경우 우리 정부로서도 필요한 대응을 하지 않을 수 없을 것입니다."]

다만 대응과 맞대응의 악순환은 결코 바람직하지 않다면서, 일본의 조치 철회와 성의 있는 협의를 촉구했습니다.

무역은 공동번영의 도구여야 한다는 국제사회의 믿음과 일본이 늘 주창해온 자유무역의 원칙으로 되돌아가기를 바란다는 겁니다.

정부도 국제 공조 방안을 추진 중인데, 당장 유명희 통상본부장의 미국 방문이 검토되고 있습니다.

[유명희/통상교섭본부장 : "국제 공조 방안은 여러 가지를 검토 중인 걸로 지금 말씀드리고..."]

일본의 수출규제가 미국에도 영향이 있다는 점을 설명해 협조를 이끄는 방안이 유력합니다.

국내 반도체 생산에 차질이 생기면 애플과 인텔 등 미국 업체도 피해를 입을 수 있다는 겁니다.

정부는 이와 함께 일본과의 양자 협의를 통해 조치 철회를 촉구하는 방안도 계속해 나갈 것이라고 밝혀, 당분간 '투 트랙'으로 대응해 나갈 방침임을 내비쳤습니다.

KBS 뉴스 이병도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