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촌 외국인 근로자도 입국 못 해…일손 구하기 비상

입력 2020.03.11 (07:35) 수정 2020.03.11 (08:27)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외국인 근로자를 많이 쓰는 농촌이 코로나 19의 직격탄을 맞고 있습니다.

외국인 근로자들이 입국부터 차질을 빚으면서 영농철 일손 구하기에 애를 먹고 있습니다.

민수아 기자입니다.

[리포트]

괴산에서 옥수수 농사를 짓는 박옥진 씨.

농사는 시작됐는데 벌써부터 일손 구할 걱정에 밤잠을 설칠 정돕니다.

외국인 계절근로자 4명을 신청했는데 코로나19 여파로 이들의 입국이 불투명해 졌기 때문입니다.

[박옥진/농민 : "지금 농사 짓는 분들이 걱정이 태산이에요. 전부 다 할머니에요 할머니. 할머니들은 그 옥수수를 갖고 나올 수가 없어."]

이 담배농가도 사정은 마찬가집니다.

오랫동안 손발을 맞춰온 외국인 근로자들이 꼭 필요한 6월 수확기에 국내에 들어올 수 있을 지 벌써부터 걱정입니다.

[이재봉/농민 : "농작업 할 때도 숙련도가 다른 사람들보다 좋기 때문에. (인력소는) 사람 구할 수도 없고 인건비도 작년보다 10프로 20프로 올랐고."]

법무부가 전국에 배정한 계절근로자는 5천 여명.

이 가운데 중국과 베트남, 필리핀 국적의 근로자 입국은 당분간은 어려워 보입니다.

코로나19 여파로 여행 제한 국가로 묶이거나 아예 항공편 운항이 중단됐기 때문입니다.

자치단체마다 대체 국가를 수소문하고 있지만 외국인 근로자를 구할 수 있을지는 장담할 수 없습니다.

[반주현/충청북도 농업정책과 농업경영팀장 : "도에서는 타국으로 대체하는 방안 강구 중에 있구요. 아예 못 들어올 수 있는 거에 대비해서 생산적 일자리 봉사라든지..."]

좀체 수그러들지 않는 코로나19가 영농철을 맞은 농촌지역에도 깊은 시름을 주고 있습니다.

KBS 뉴스 민수아입니다.

▶ ‘ 코로나19 확산 우려’ 최신 기사 보기
http://news.kbs.co.kr/news/list.do?icd=19588
▶ ‘코로나19 팩트체크’ 제대로 알아야 이긴다 바로가기
http://news.kbs.co.kr/issue/IssueView.do?icd=19589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농촌 외국인 근로자도 입국 못 해…일손 구하기 비상
    • 입력 2020-03-11 07:36:29
    • 수정2020-03-11 08:27:07
    뉴스광장
[앵커]

외국인 근로자를 많이 쓰는 농촌이 코로나 19의 직격탄을 맞고 있습니다.

외국인 근로자들이 입국부터 차질을 빚으면서 영농철 일손 구하기에 애를 먹고 있습니다.

민수아 기자입니다.

[리포트]

괴산에서 옥수수 농사를 짓는 박옥진 씨.

농사는 시작됐는데 벌써부터 일손 구할 걱정에 밤잠을 설칠 정돕니다.

외국인 계절근로자 4명을 신청했는데 코로나19 여파로 이들의 입국이 불투명해 졌기 때문입니다.

[박옥진/농민 : "지금 농사 짓는 분들이 걱정이 태산이에요. 전부 다 할머니에요 할머니. 할머니들은 그 옥수수를 갖고 나올 수가 없어."]

이 담배농가도 사정은 마찬가집니다.

오랫동안 손발을 맞춰온 외국인 근로자들이 꼭 필요한 6월 수확기에 국내에 들어올 수 있을 지 벌써부터 걱정입니다.

[이재봉/농민 : "농작업 할 때도 숙련도가 다른 사람들보다 좋기 때문에. (인력소는) 사람 구할 수도 없고 인건비도 작년보다 10프로 20프로 올랐고."]

법무부가 전국에 배정한 계절근로자는 5천 여명.

이 가운데 중국과 베트남, 필리핀 국적의 근로자 입국은 당분간은 어려워 보입니다.

코로나19 여파로 여행 제한 국가로 묶이거나 아예 항공편 운항이 중단됐기 때문입니다.

자치단체마다 대체 국가를 수소문하고 있지만 외국인 근로자를 구할 수 있을지는 장담할 수 없습니다.

[반주현/충청북도 농업정책과 농업경영팀장 : "도에서는 타국으로 대체하는 방안 강구 중에 있구요. 아예 못 들어올 수 있는 거에 대비해서 생산적 일자리 봉사라든지..."]

좀체 수그러들지 않는 코로나19가 영농철을 맞은 농촌지역에도 깊은 시름을 주고 있습니다.

KBS 뉴스 민수아입니다.

▶ ‘ 코로나19 확산 우려’ 최신 기사 보기
http://news.kbs.co.kr/news/list.do?icd=19588
▶ ‘코로나19 팩트체크’ 제대로 알아야 이긴다 바로가기
http://news.kbs.co.kr/issue/IssueView.do?icd=19589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