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식, 만성 질환 예방 효과 탁월

입력 2004.02.18 (21:00) 수정 2018.08.29 (15:00)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또 쌀밥과 김치를 위주로 하는 우리 전통 음식이 성인병 예방에 탁월한 효과가 있음이 학술적으로 증명됐습니다.
이 소식은 이영진 기자가 전해 드립니다.
⊙기자: 쌀밥과 김치, 콩나물 등 한국인이 흔히 먹는 전통 음식들이 현대인에게는 보약인 것으로 대한의사협회와 다섯 개 대학 교수들의 공동연구 결과 밝혀졌습니다.
한식이 육류 위주의 서양 음식보다 가장 탁월한 것으로 나타난 것은 심장질환 예방효과입니다.
미국인의 사망원인 1위인 심장병이 한국인에게는 10분의 1에 불과한 것은 쌀밥과 김치 위주의 음식 덕분이라는 것입니다.
⊙유태우(서울대 의대 교수): 심장병을 직접적으로 일으키는 포화지방산, 콜레스테롤, 또 트랜스지방산의 섭취가 우리 밥과 김치 중심의 식사가 적게 만들고요.
⊙기자: 또 한국인이 미국인에 비해 대장암은 절반이 안 되고 유방암 7분의 1, 전립선암은 25분의 1에 불과한 것도 주원인이 음식 때문인 것으로 설명됐습니다.
⊙박민선(서울대 의대 교수): 대장암을 예방하는 효과가 있는 식이섬유소면에서 우월하고요.
그것과 함께 채소나 생선류 섭취, 또 콩류 섭취가 많기 때문에 유방암이나 전립선암 예방에 우월한 효과가 있습니다.
⊙기자: 이와 함께 우리나라 사람의 비만율이 미국인의 3분의 1밖에 안 되는 것도 하루 섭취 열량이 미국 음식보다 170칼로리나 적은 한국 음식 때문입니다.
⊙강재헌(인제대 의대 교수): 밥과 국, 반찬으로 잘 먹는 식사보다도 간단히 먹는 과자나 빵이 열량이 훨씬 높아서 건강은 물론이고 다이어트에도 손해라는 사실을 아셔야 됩니다.
⊙기자: 하지만 한국 음식 가운데 지나치게 짠 음식은 위암 발생위험을 높이고 너무 뜨겁거나 태운 음식도 식도암 등을 일으켜 개선해야 할 점으로 지적됐습니다.
KBS뉴스 이영진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한식, 만성 질환 예방 효과 탁월
    • 입력 2004-02-18 21:00:00
    • 수정2018-08-29 15:00:00
    뉴스 9
⊙앵커: 또 쌀밥과 김치를 위주로 하는 우리 전통 음식이 성인병 예방에 탁월한 효과가 있음이 학술적으로 증명됐습니다. 이 소식은 이영진 기자가 전해 드립니다. ⊙기자: 쌀밥과 김치, 콩나물 등 한국인이 흔히 먹는 전통 음식들이 현대인에게는 보약인 것으로 대한의사협회와 다섯 개 대학 교수들의 공동연구 결과 밝혀졌습니다. 한식이 육류 위주의 서양 음식보다 가장 탁월한 것으로 나타난 것은 심장질환 예방효과입니다. 미국인의 사망원인 1위인 심장병이 한국인에게는 10분의 1에 불과한 것은 쌀밥과 김치 위주의 음식 덕분이라는 것입니다. ⊙유태우(서울대 의대 교수): 심장병을 직접적으로 일으키는 포화지방산, 콜레스테롤, 또 트랜스지방산의 섭취가 우리 밥과 김치 중심의 식사가 적게 만들고요. ⊙기자: 또 한국인이 미국인에 비해 대장암은 절반이 안 되고 유방암 7분의 1, 전립선암은 25분의 1에 불과한 것도 주원인이 음식 때문인 것으로 설명됐습니다. ⊙박민선(서울대 의대 교수): 대장암을 예방하는 효과가 있는 식이섬유소면에서 우월하고요. 그것과 함께 채소나 생선류 섭취, 또 콩류 섭취가 많기 때문에 유방암이나 전립선암 예방에 우월한 효과가 있습니다. ⊙기자: 이와 함께 우리나라 사람의 비만율이 미국인의 3분의 1밖에 안 되는 것도 하루 섭취 열량이 미국 음식보다 170칼로리나 적은 한국 음식 때문입니다. ⊙강재헌(인제대 의대 교수): 밥과 국, 반찬으로 잘 먹는 식사보다도 간단히 먹는 과자나 빵이 열량이 훨씬 높아서 건강은 물론이고 다이어트에도 손해라는 사실을 아셔야 됩니다. ⊙기자: 하지만 한국 음식 가운데 지나치게 짠 음식은 위암 발생위험을 높이고 너무 뜨겁거나 태운 음식도 식도암 등을 일으켜 개선해야 할 점으로 지적됐습니다. KBS뉴스 이영진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