희귀난치성질환자 지원 혜택 곳곳 ‘구멍’
입력 2016.06.13 (21:38)
수정 2016.06.13 (21:57)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강도를 만난 충격으로 의식불명 상태에 빠진 여대생 사건으로 인해 모야모야병을 비롯한 희귀난치성 질환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높아졌습니다.
특히, 모야모야병 환자는 등록자 기준으로만 만 명이 넘는데요, 지원 혜택은 곳곳에서 허점을 드러내고 있습니다.
박광식 의학전문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지난해 팔다리가 마비됐던 50대 모야모야병 환자입니다.
처음 뇌 MRI 검사를 받을 땐 진료비의 10%만 본인이 부담했습니다.
희귀난치성질환자에 대한 산정특례 제도 덕분이었습니다.
하지만, 석 달 뒤 다시 찍은 MRI 검사비, 130만 원은 전액을 부담해야 했습니다.
<인터뷰> 김○○(모야모야병 환자) : "내가 3번을 찍었는데 그 돈이 어마어마하게 많이 나오더라고..."
첫 진단을 받은 뒤 1년이 지나야만 보험혜택을 받는 기준 때문입니다.
게다가, 6년 뒤부터는 이 혜택이 모두 사라집니다.
국내 등록된 모야모야병 환자는 만 6백여 명.
평생 뇌졸중의 위험을 안고 살아야 하는 환자들로선 부담이 적지 않습니다.
<인터뷰> 방재승(분당서울대병원 신경외과 교수) : "성인 모야모야병 환자는 굉장히 급격히 진행을 하기 때문에 적어도 1년에 두 번 정도는 MRI 촬영이 보험이 됐으면 하는 바람이고요."
이 5살 어린이는 팔다리가 또래 아이와 달리 짧고 굵습니다.
뼈가 성장하지 않는 희귀난치성 질환, '연골무형성증'입니다.
합병증을 막기 위해선 추가 치료가 필수지만 보험 혜택은 제한적입니다.
<인터뷰> 모미영('연골무형성증' 아이 보호자) : "발달 지연을 보이는 부분에 대해 (도수치료나 언어치료 등을) 받아야만 일반적으로 클 수 있기 때문에, 월 치료비가 150만 원 나오고 있습니다."
희귀난치성 질환이 늘면서 환자와 가족들의 떠안아야 할 고통은 커가고 있지만 지원 혜택 곳곳엔 구멍이 뚫려있습니다.
KBS 뉴스 박광식입니다.
강도를 만난 충격으로 의식불명 상태에 빠진 여대생 사건으로 인해 모야모야병을 비롯한 희귀난치성 질환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높아졌습니다.
특히, 모야모야병 환자는 등록자 기준으로만 만 명이 넘는데요, 지원 혜택은 곳곳에서 허점을 드러내고 있습니다.
박광식 의학전문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지난해 팔다리가 마비됐던 50대 모야모야병 환자입니다.
처음 뇌 MRI 검사를 받을 땐 진료비의 10%만 본인이 부담했습니다.
희귀난치성질환자에 대한 산정특례 제도 덕분이었습니다.
하지만, 석 달 뒤 다시 찍은 MRI 검사비, 130만 원은 전액을 부담해야 했습니다.
<인터뷰> 김○○(모야모야병 환자) : "내가 3번을 찍었는데 그 돈이 어마어마하게 많이 나오더라고..."
첫 진단을 받은 뒤 1년이 지나야만 보험혜택을 받는 기준 때문입니다.
게다가, 6년 뒤부터는 이 혜택이 모두 사라집니다.
국내 등록된 모야모야병 환자는 만 6백여 명.
평생 뇌졸중의 위험을 안고 살아야 하는 환자들로선 부담이 적지 않습니다.
<인터뷰> 방재승(분당서울대병원 신경외과 교수) : "성인 모야모야병 환자는 굉장히 급격히 진행을 하기 때문에 적어도 1년에 두 번 정도는 MRI 촬영이 보험이 됐으면 하는 바람이고요."
이 5살 어린이는 팔다리가 또래 아이와 달리 짧고 굵습니다.
뼈가 성장하지 않는 희귀난치성 질환, '연골무형성증'입니다.
합병증을 막기 위해선 추가 치료가 필수지만 보험 혜택은 제한적입니다.
<인터뷰> 모미영('연골무형성증' 아이 보호자) : "발달 지연을 보이는 부분에 대해 (도수치료나 언어치료 등을) 받아야만 일반적으로 클 수 있기 때문에, 월 치료비가 150만 원 나오고 있습니다."
희귀난치성 질환이 늘면서 환자와 가족들의 떠안아야 할 고통은 커가고 있지만 지원 혜택 곳곳엔 구멍이 뚫려있습니다.
KBS 뉴스 박광식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희귀난치성질환자 지원 혜택 곳곳 ‘구멍’
-
- 입력 2016-06-13 21:39:14
- 수정2016-06-13 21:57:20
<앵커 멘트>
강도를 만난 충격으로 의식불명 상태에 빠진 여대생 사건으로 인해 모야모야병을 비롯한 희귀난치성 질환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높아졌습니다.
특히, 모야모야병 환자는 등록자 기준으로만 만 명이 넘는데요, 지원 혜택은 곳곳에서 허점을 드러내고 있습니다.
박광식 의학전문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지난해 팔다리가 마비됐던 50대 모야모야병 환자입니다.
처음 뇌 MRI 검사를 받을 땐 진료비의 10%만 본인이 부담했습니다.
희귀난치성질환자에 대한 산정특례 제도 덕분이었습니다.
하지만, 석 달 뒤 다시 찍은 MRI 검사비, 130만 원은 전액을 부담해야 했습니다.
<인터뷰> 김○○(모야모야병 환자) : "내가 3번을 찍었는데 그 돈이 어마어마하게 많이 나오더라고..."
첫 진단을 받은 뒤 1년이 지나야만 보험혜택을 받는 기준 때문입니다.
게다가, 6년 뒤부터는 이 혜택이 모두 사라집니다.
국내 등록된 모야모야병 환자는 만 6백여 명.
평생 뇌졸중의 위험을 안고 살아야 하는 환자들로선 부담이 적지 않습니다.
<인터뷰> 방재승(분당서울대병원 신경외과 교수) : "성인 모야모야병 환자는 굉장히 급격히 진행을 하기 때문에 적어도 1년에 두 번 정도는 MRI 촬영이 보험이 됐으면 하는 바람이고요."
이 5살 어린이는 팔다리가 또래 아이와 달리 짧고 굵습니다.
뼈가 성장하지 않는 희귀난치성 질환, '연골무형성증'입니다.
합병증을 막기 위해선 추가 치료가 필수지만 보험 혜택은 제한적입니다.
<인터뷰> 모미영('연골무형성증' 아이 보호자) : "발달 지연을 보이는 부분에 대해 (도수치료나 언어치료 등을) 받아야만 일반적으로 클 수 있기 때문에, 월 치료비가 150만 원 나오고 있습니다."
희귀난치성 질환이 늘면서 환자와 가족들의 떠안아야 할 고통은 커가고 있지만 지원 혜택 곳곳엔 구멍이 뚫려있습니다.
KBS 뉴스 박광식입니다.
강도를 만난 충격으로 의식불명 상태에 빠진 여대생 사건으로 인해 모야모야병을 비롯한 희귀난치성 질환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높아졌습니다.
특히, 모야모야병 환자는 등록자 기준으로만 만 명이 넘는데요, 지원 혜택은 곳곳에서 허점을 드러내고 있습니다.
박광식 의학전문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지난해 팔다리가 마비됐던 50대 모야모야병 환자입니다.
처음 뇌 MRI 검사를 받을 땐 진료비의 10%만 본인이 부담했습니다.
희귀난치성질환자에 대한 산정특례 제도 덕분이었습니다.
하지만, 석 달 뒤 다시 찍은 MRI 검사비, 130만 원은 전액을 부담해야 했습니다.
<인터뷰> 김○○(모야모야병 환자) : "내가 3번을 찍었는데 그 돈이 어마어마하게 많이 나오더라고..."
첫 진단을 받은 뒤 1년이 지나야만 보험혜택을 받는 기준 때문입니다.
게다가, 6년 뒤부터는 이 혜택이 모두 사라집니다.
국내 등록된 모야모야병 환자는 만 6백여 명.
평생 뇌졸중의 위험을 안고 살아야 하는 환자들로선 부담이 적지 않습니다.
<인터뷰> 방재승(분당서울대병원 신경외과 교수) : "성인 모야모야병 환자는 굉장히 급격히 진행을 하기 때문에 적어도 1년에 두 번 정도는 MRI 촬영이 보험이 됐으면 하는 바람이고요."
이 5살 어린이는 팔다리가 또래 아이와 달리 짧고 굵습니다.
뼈가 성장하지 않는 희귀난치성 질환, '연골무형성증'입니다.
합병증을 막기 위해선 추가 치료가 필수지만 보험 혜택은 제한적입니다.
<인터뷰> 모미영('연골무형성증' 아이 보호자) : "발달 지연을 보이는 부분에 대해 (도수치료나 언어치료 등을) 받아야만 일반적으로 클 수 있기 때문에, 월 치료비가 150만 원 나오고 있습니다."
희귀난치성 질환이 늘면서 환자와 가족들의 떠안아야 할 고통은 커가고 있지만 지원 혜택 곳곳엔 구멍이 뚫려있습니다.
KBS 뉴스 박광식입니다.
-
-
박광식 기자 doctor@kbs.co.kr
박광식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