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감염의심 고양이 폐사 발생…포유류로는 2년만에 처음

입력 2016.12.30 (17:11) 수정 2016.12.30 (22:18)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연관기사] ☞ [뉴스9] 고양이 AI 감염…접촉자 인체감염 여부 조사

경기도 포천시에서 고양이 2마리가 조류인플루엔자 AI에 감염된 것으로 의심되는 사례가 발생했다.

농림축산식품부와 질병관리본부에 따르면 지난 25일과 26일 포천 가정집에서 키우던 수컷 고양이 1마리와 길고양이 새끼 1마리가 잇따라 폐사한 채로 발견됐다.

현재까지 조사한 결과 AI 바이러스 유형 가운데 'H5'형까지는 확인됐으며, 농림축산검역본부가 고병원성 여부를 조사하고 있다. 고병원성 여부는 내일쯤 나올 예정이다.

만약 이번에 전국 가금농가에 확산한 H5N6형 고병원성 AI와 같은 바이러스 유형으로 확인될 경우 이들 고양이는 야생조류에 의해 감염됐을 가능성이 크다. 경기 포천 지역은 이미 AI 바이러스가 발생한 곳이다.

2015년 개에서 AI 항체가 발견된 이후 포유류에서 AI 감염 사례가 발생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현재까지 당국이 조사한 바에 따르면 길고양이 7마리(어미 1마리, 새끼 6마리)가 해당 가정집에 먹이를 구하기 위해 찾아왔으며 이들 고양이는 폐사된 집고양이(수컷)와 가족관계인 것으로 추정된다.

폐사한 집고양이 수컷 1마리는 경기도를 거쳐 검역본부로 송부됐다.

새끼 고양이 6마리 중에서는 3마리가 폐사했다. 검역본부는 이 가운데 이미 매장된 1마리를 제외한 나머지 폐사채 2마리에 대해 정밀검사할 예정이다.

살아있는 새끼 고양이 3마리는 30일 경기도에서 포획됐으며, 당국은 현재 어미 고양이의 포획을 시도하고 있다.

질병관리본부는 또 역학조사팀(2개팀)을 폐사체가 발견된 현장에 급파해 정밀 검사를 하고 있다.

질병관리본부 관계자는 "정확한 감염 경로는 조사 중이지만, 다른 나라에서는 AI에 감염돼 폐사한 야생조류를 고양이가 먹어 감염된 사례가 있는 것으로 보고 되고 있다"며 "일단 인체 감염 가능성은 적다고 보고 있지만 고양이와 접촉한 사람이 있는 만큼 만약의 상황에 대비해 모니터링을 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질병관리본부와 경기도는 폐사한 고양이의 주인 등 접촉자에 대해 관할 보건소를 통해 인체 감염 여부를 조사했으며, 현재까지는 의심 증상을 나타내는 사람은 없다고 밝혔다. 질병관리본부는 예방 차원에서 항바이러스제인 타미플루를 투약하도록 조치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AI 감염의심 고양이 폐사 발생…포유류로는 2년만에 처음
    • 입력 2016-12-30 17:11:33
    • 수정2016-12-30 22:18:32
    경제
[연관기사] ☞ [뉴스9] 고양이 AI 감염…접촉자 인체감염 여부 조사 경기도 포천시에서 고양이 2마리가 조류인플루엔자 AI에 감염된 것으로 의심되는 사례가 발생했다. 농림축산식품부와 질병관리본부에 따르면 지난 25일과 26일 포천 가정집에서 키우던 수컷 고양이 1마리와 길고양이 새끼 1마리가 잇따라 폐사한 채로 발견됐다. 현재까지 조사한 결과 AI 바이러스 유형 가운데 'H5'형까지는 확인됐으며, 농림축산검역본부가 고병원성 여부를 조사하고 있다. 고병원성 여부는 내일쯤 나올 예정이다. 만약 이번에 전국 가금농가에 확산한 H5N6형 고병원성 AI와 같은 바이러스 유형으로 확인될 경우 이들 고양이는 야생조류에 의해 감염됐을 가능성이 크다. 경기 포천 지역은 이미 AI 바이러스가 발생한 곳이다. 2015년 개에서 AI 항체가 발견된 이후 포유류에서 AI 감염 사례가 발생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현재까지 당국이 조사한 바에 따르면 길고양이 7마리(어미 1마리, 새끼 6마리)가 해당 가정집에 먹이를 구하기 위해 찾아왔으며 이들 고양이는 폐사된 집고양이(수컷)와 가족관계인 것으로 추정된다. 폐사한 집고양이 수컷 1마리는 경기도를 거쳐 검역본부로 송부됐다. 새끼 고양이 6마리 중에서는 3마리가 폐사했다. 검역본부는 이 가운데 이미 매장된 1마리를 제외한 나머지 폐사채 2마리에 대해 정밀검사할 예정이다. 살아있는 새끼 고양이 3마리는 30일 경기도에서 포획됐으며, 당국은 현재 어미 고양이의 포획을 시도하고 있다. 질병관리본부는 또 역학조사팀(2개팀)을 폐사체가 발견된 현장에 급파해 정밀 검사를 하고 있다. 질병관리본부 관계자는 "정확한 감염 경로는 조사 중이지만, 다른 나라에서는 AI에 감염돼 폐사한 야생조류를 고양이가 먹어 감염된 사례가 있는 것으로 보고 되고 있다"며 "일단 인체 감염 가능성은 적다고 보고 있지만 고양이와 접촉한 사람이 있는 만큼 만약의 상황에 대비해 모니터링을 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질병관리본부와 경기도는 폐사한 고양이의 주인 등 접촉자에 대해 관할 보건소를 통해 인체 감염 여부를 조사했으며, 현재까지는 의심 증상을 나타내는 사람은 없다고 밝혔다. 질병관리본부는 예방 차원에서 항바이러스제인 타미플루를 투약하도록 조치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