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년 12월’ 포항에선 무슨 일이?…‘신호등’ 꺼버린 사업단

입력 2019.03.28 (21:33) 수정 2019.03.29 (09:49)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포항 지진을 촉발한 지열발전소 사업의 문제점, 들여다볼수록 가관입니다.

이번에는 사업단이 3년 전에 지진 위험 가능성을 숨기려했을 수 있었다는 정황이 드러났습니다.

손서영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물 주입이 시작된 2016년 1월.

인근에 한 달간 규모 1.0 이상 지진이 4차례 납니다.

같은 해 12월 2차 물주입 직후엔 더 심해졌습니다.

22일, 처음으로 규모 2.0 이상의 지진이 났습니다.

그러자 나흘만인 26일, 사업단은 갑자기 지진 보고기준을 바꿉니다.

원래, 포항시와 정부기관에 보고 기준은 규모 2.0 이상.

그런데 규모 2.0이 넘는 지진이 나자 기준을 규모 2.5 이상으로 올립니다.

보고도 에너지기술평가원에만 하도록 했습니다.

때문에, 그 사흘 뒤 규모 2.3의 더 큰 지진이 났지만 보고 되지 않았습니다.

기준을 바꿔 위험을 감춘 것 아니냐는 의혹이 제기되는 이유입니다.

[사업단 관계자 : "2016년 1월부터 (지진) 테스트를 해봤더니, 2.5 기준도 엄청나게 보수적이다, 그래서 바꾼 겁니다."]

하지만 문제는, 물 주입과 비례해 지진 규모가 커졌다는 점입니다.

1차 물주입 때는 최대규모가 1.0대였지만 2차 때는 2.0대로 강해졌고, 3차 때는 규모 3.1의 지진이 났습니다.

유심히 봤다면 4차 물 주입 이후 일어난 규모 5.4의 지진까지 가지 않을 수도 있었습니다.

[이강근/포항 지진 정부조사연구단장 : "발생 빈도가 많아지거나 규모가 올라간다면 (지진 모니터링을) 유지하거나 강화해서 보는 게 맞지 않을까 생각됩니다."]

때문에 위험 신호를 무시해 골든타임을 놓쳤다는 지적이 나옵니다.

[김광희/부산대 지질환경학과 교수 : "(지열발전에서) 규모 1 정도 되면 아주 큰 지진이고 자주 발생하는 지진이 절대 아닙니다. 발생 원인이 뭔지 확인할 필요가 있었습니다."]

왜 그때 사업단이 보고기준을 바꿨는지 감사원 감사에서도 명백히 밝혀야 할 의혹입니다.

KBS 뉴스 손서영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2016년 12월’ 포항에선 무슨 일이?…‘신호등’ 꺼버린 사업단
    • 입력 2019-03-28 21:35:57
    • 수정2019-03-29 09:49:08
    뉴스 9
[앵커] 포항 지진을 촉발한 지열발전소 사업의 문제점, 들여다볼수록 가관입니다. 이번에는 사업단이 3년 전에 지진 위험 가능성을 숨기려했을 수 있었다는 정황이 드러났습니다. 손서영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물 주입이 시작된 2016년 1월. 인근에 한 달간 규모 1.0 이상 지진이 4차례 납니다. 같은 해 12월 2차 물주입 직후엔 더 심해졌습니다. 22일, 처음으로 규모 2.0 이상의 지진이 났습니다. 그러자 나흘만인 26일, 사업단은 갑자기 지진 보고기준을 바꿉니다. 원래, 포항시와 정부기관에 보고 기준은 규모 2.0 이상. 그런데 규모 2.0이 넘는 지진이 나자 기준을 규모 2.5 이상으로 올립니다. 보고도 에너지기술평가원에만 하도록 했습니다. 때문에, 그 사흘 뒤 규모 2.3의 더 큰 지진이 났지만 보고 되지 않았습니다. 기준을 바꿔 위험을 감춘 것 아니냐는 의혹이 제기되는 이유입니다. [사업단 관계자 : "2016년 1월부터 (지진) 테스트를 해봤더니, 2.5 기준도 엄청나게 보수적이다, 그래서 바꾼 겁니다."] 하지만 문제는, 물 주입과 비례해 지진 규모가 커졌다는 점입니다. 1차 물주입 때는 최대규모가 1.0대였지만 2차 때는 2.0대로 강해졌고, 3차 때는 규모 3.1의 지진이 났습니다. 유심히 봤다면 4차 물 주입 이후 일어난 규모 5.4의 지진까지 가지 않을 수도 있었습니다. [이강근/포항 지진 정부조사연구단장 : "발생 빈도가 많아지거나 규모가 올라간다면 (지진 모니터링을) 유지하거나 강화해서 보는 게 맞지 않을까 생각됩니다."] 때문에 위험 신호를 무시해 골든타임을 놓쳤다는 지적이 나옵니다. [김광희/부산대 지질환경학과 교수 : "(지열발전에서) 규모 1 정도 되면 아주 큰 지진이고 자주 발생하는 지진이 절대 아닙니다. 발생 원인이 뭔지 확인할 필요가 있었습니다."] 왜 그때 사업단이 보고기준을 바꿨는지 감사원 감사에서도 명백히 밝혀야 할 의혹입니다. KBS 뉴스 손서영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