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18 폭동으로 몰아간 계엄군 ‘편의대’”

입력 2019.05.14 (21:25) 수정 2019.05.14 (22:24)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5.18 민주화운동 당시 계엄군이 특수부대원을 시민인 것처럼 위장해 광주에 침투시켰다는 증언이 잇따라 제기됐습니다.

이른바 '편의대'라고 불리는 특수부대원입니다.

이들은 5.18당시 광주시민들 틈에 들어가 유언비어를 퍼뜨리고 폭력행위를 선동해서 계엄군의 강경 진압 명분을 만들어줬다는 겁니다.

당시 군과 검찰 기록에도 그 흔적이 확인되고 있습니다.

광주에서 김호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1980년 5월 21일 전두환 씨가 광주에 직접 내려와 사살 명령을 내렸을 것이라고 증언한 미군 정보요원 출신 김용장 씨.

김 씨는 당시 사복 차림의 군인들로 꾸려진 이른바 '편의대'를 직접 목격했고, 이들이 각종 유언비어를 퍼뜨렸다고 증언했습니다.

[김용장/전 미군 정보요원 : "머리가 아주 짧고 얼굴은 많이 탔고, 젊은 사람인데 나이가 20대 후반이나 30대 초반으로 보였어요. 그 사람들이 유언비어를 날조해서 유포했고…"]

보안사 출신 허장환 씨도 시민군 사이에 침투한 편의대원들이 총기 탈취 등 과격 시위를 유도하는 특수군 역할을 했다며 김 씨의 주장을 뒷받침했습니다.

즉 광주시민을 폭도로 만들고 강경 진압의 명분을 쌓기 위해 신군부가 의도적으로 편의대를 투입해 공작 활동을 벌였다는게 두 정보요원의 일치된 증언입니다.

[허장환/전 505보안부대 수사관 : "전쟁시 적 후방에 침투해서 적을 교란하고, 적 지휘부를 타격·폭파, 요인을 암살하는 게 공수특전단의 임무입니다. 그것이 편의대입니다."]

계엄사의 충정일지나 당시 군 문서, 검찰 수사기록에도 '다수의 편의대를 운용'한 흔적들이 확인됩니다.

[이재의/5·18기념재단 비상임 연구원 : "국가가 밝혀야 할 문제죠. 이것은 민간 차원에서 밝히는 것은 한계가 있는 문제라고 봅니다."]

계엄군의 '편의대' 공작 활동이 추후 북한군 침투설로까지 악용된 만큼 국가 차원의 진상 규명이 새로운 과제로 떠올랐습니다.

KBS 뉴스 김호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5·18 폭동으로 몰아간 계엄군 ‘편의대’”
    • 입력 2019-05-14 21:27:49
    • 수정2019-05-14 22:24:09
    뉴스 9
[앵커]

5.18 민주화운동 당시 계엄군이 특수부대원을 시민인 것처럼 위장해 광주에 침투시켰다는 증언이 잇따라 제기됐습니다.

이른바 '편의대'라고 불리는 특수부대원입니다.

이들은 5.18당시 광주시민들 틈에 들어가 유언비어를 퍼뜨리고 폭력행위를 선동해서 계엄군의 강경 진압 명분을 만들어줬다는 겁니다.

당시 군과 검찰 기록에도 그 흔적이 확인되고 있습니다.

광주에서 김호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1980년 5월 21일 전두환 씨가 광주에 직접 내려와 사살 명령을 내렸을 것이라고 증언한 미군 정보요원 출신 김용장 씨.

김 씨는 당시 사복 차림의 군인들로 꾸려진 이른바 '편의대'를 직접 목격했고, 이들이 각종 유언비어를 퍼뜨렸다고 증언했습니다.

[김용장/전 미군 정보요원 : "머리가 아주 짧고 얼굴은 많이 탔고, 젊은 사람인데 나이가 20대 후반이나 30대 초반으로 보였어요. 그 사람들이 유언비어를 날조해서 유포했고…"]

보안사 출신 허장환 씨도 시민군 사이에 침투한 편의대원들이 총기 탈취 등 과격 시위를 유도하는 특수군 역할을 했다며 김 씨의 주장을 뒷받침했습니다.

즉 광주시민을 폭도로 만들고 강경 진압의 명분을 쌓기 위해 신군부가 의도적으로 편의대를 투입해 공작 활동을 벌였다는게 두 정보요원의 일치된 증언입니다.

[허장환/전 505보안부대 수사관 : "전쟁시 적 후방에 침투해서 적을 교란하고, 적 지휘부를 타격·폭파, 요인을 암살하는 게 공수특전단의 임무입니다. 그것이 편의대입니다."]

계엄사의 충정일지나 당시 군 문서, 검찰 수사기록에도 '다수의 편의대를 운용'한 흔적들이 확인됩니다.

[이재의/5·18기념재단 비상임 연구원 : "국가가 밝혀야 할 문제죠. 이것은 민간 차원에서 밝히는 것은 한계가 있는 문제라고 봅니다."]

계엄군의 '편의대' 공작 활동이 추후 북한군 침투설로까지 악용된 만큼 국가 차원의 진상 규명이 새로운 과제로 떠올랐습니다.

KBS 뉴스 김호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