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의 눈] 병원 전전하다 의료기관 오염…감염 통로 안 되려면?

입력 2020.02.05 (21:06) 수정 2020.02.05 (21:48)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앞서 보신 것처럼 16번째와 18번째 환자는 어머니와 딸 사이입니다.

먼저 확진 판정을 받은 어머니는 지난달 25일부터 오한과 발열 증상이 있었습니다.

오늘(5일)로 격리 치료 이틀째인데, 열이 조금 있지만 증상은 좋아졌습니다.

이 환자의 딸인 18번째 환자는 오늘(5일) 격리 병상으로 옮겨졌는데요.

기침이나 발열 같은 증상 없이 상태가 '괜찮다'고 합니다.

그런데 보건당국이 우려하는 건, 이 두 사람이 감염 사실을 모르고 지내는 동안 병원 2곳을 찾아가거나, 꽤 오랜시간 머물렀다는 겁니다.

전남대병원과 광주 21세기 병원입니다.

과거 메르스 사태처럼 의료기관이 감염병 확산의 통로가 되지 않도록 철저한 관리가 필요합니다.

송금한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16번째 환자의 접촉자는 모두 306명, 확진자 중 가장 많습니다.

특히 광주 21세기 병원에선 모두 272명과 접촉했습니다.

[정은경/중앙사고수습본부장/질병관리본부장 : "본인도 아프시기 때문에 (딸)병간호를 하면서 본인도 치료하시면서 2인실에 계속 같이 묵었습니다."]

특히 발열 증세를 보인 27일에 전남대병원 응급실에서 진료를 받은 뒤 딸이 입원해 있던 광주 21세기병원 3층 병실에서 7일간 체류했습니다.

같은 층을 사용한 환자와 보호자, 의료진이 모두 바이러스 감염 위험에 노출된 겁니다.

이에 따라 방역당국은 환자의 병실이 있던 3층을 오염지역으로 판단했습니다.

같은 층에 입원했던 환자들은 모두 병원 밖으로 내보내지 않고, 다른 층에 있는 1인실로 서로 분리해 격리시켰습니다.

현재 병원은 폐쇄된 상태입니다.

그러나, 2015년 메르스가 유행할 당시 환자가 입원했던 아산충무병원을 코호트 격리한 것과는 차이가 있습니다.

코호트 격리란 병원에 감염병 환자가 발생했을 때 추가 감염을 막기 위해 병동 전체를 봉쇄하는 방식으로 입원환자들을 외부와 격리하는 조치입니다.

당시엔 병원 내 다른 환자를 1인실로 따로 분리하지 않은 상태로 병원 밖으로 나가지 못하게 봉쇄하는 바람에 병원 내에서 교차감염이 발생했습니다.

예전 실수를 반복하지 않기 위해 환자를 병원 내에서 각각 격리하는 식으로 방법을 바꾼 겁니다.

[이재갑/한림대 강남성심병원 감염내과 교수 : "'코호트 격리' 개념은 노출된 사람을 1인실에 분리할 수 없으니까 묶어놓는 것을 의미하는데, 예전에 메르스 때 환자가 그 중에 발생하는 바람에 격리 기간이 늘어난 적이 여러번 있었어요."]

그러나, 이 환자가 다녀간 전남대병원 응급실에서 부분적으로 선별진료가 이루어진데다 대부분이 의료진 등 병원 관계자였다며, 현재 문제는 없는 것으로 보인다고 보건당국은 밝혔습니다.

KBS 뉴스 송금한입니다.

▶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확산 우려’ 최신 기사 보기
http://news.kbs.co.kr/news/list.do?icd=19588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앵커의 눈] 병원 전전하다 의료기관 오염…감염 통로 안 되려면?
    • 입력 2020-02-05 21:09:05
    • 수정2020-02-05 21:48:28
    뉴스 9
[앵커]

앞서 보신 것처럼 16번째와 18번째 환자는 어머니와 딸 사이입니다.

먼저 확진 판정을 받은 어머니는 지난달 25일부터 오한과 발열 증상이 있었습니다.

오늘(5일)로 격리 치료 이틀째인데, 열이 조금 있지만 증상은 좋아졌습니다.

이 환자의 딸인 18번째 환자는 오늘(5일) 격리 병상으로 옮겨졌는데요.

기침이나 발열 같은 증상 없이 상태가 '괜찮다'고 합니다.

그런데 보건당국이 우려하는 건, 이 두 사람이 감염 사실을 모르고 지내는 동안 병원 2곳을 찾아가거나, 꽤 오랜시간 머물렀다는 겁니다.

전남대병원과 광주 21세기 병원입니다.

과거 메르스 사태처럼 의료기관이 감염병 확산의 통로가 되지 않도록 철저한 관리가 필요합니다.

송금한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16번째 환자의 접촉자는 모두 306명, 확진자 중 가장 많습니다.

특히 광주 21세기 병원에선 모두 272명과 접촉했습니다.

[정은경/중앙사고수습본부장/질병관리본부장 : "본인도 아프시기 때문에 (딸)병간호를 하면서 본인도 치료하시면서 2인실에 계속 같이 묵었습니다."]

특히 발열 증세를 보인 27일에 전남대병원 응급실에서 진료를 받은 뒤 딸이 입원해 있던 광주 21세기병원 3층 병실에서 7일간 체류했습니다.

같은 층을 사용한 환자와 보호자, 의료진이 모두 바이러스 감염 위험에 노출된 겁니다.

이에 따라 방역당국은 환자의 병실이 있던 3층을 오염지역으로 판단했습니다.

같은 층에 입원했던 환자들은 모두 병원 밖으로 내보내지 않고, 다른 층에 있는 1인실로 서로 분리해 격리시켰습니다.

현재 병원은 폐쇄된 상태입니다.

그러나, 2015년 메르스가 유행할 당시 환자가 입원했던 아산충무병원을 코호트 격리한 것과는 차이가 있습니다.

코호트 격리란 병원에 감염병 환자가 발생했을 때 추가 감염을 막기 위해 병동 전체를 봉쇄하는 방식으로 입원환자들을 외부와 격리하는 조치입니다.

당시엔 병원 내 다른 환자를 1인실로 따로 분리하지 않은 상태로 병원 밖으로 나가지 못하게 봉쇄하는 바람에 병원 내에서 교차감염이 발생했습니다.

예전 실수를 반복하지 않기 위해 환자를 병원 내에서 각각 격리하는 식으로 방법을 바꾼 겁니다.

[이재갑/한림대 강남성심병원 감염내과 교수 : "'코호트 격리' 개념은 노출된 사람을 1인실에 분리할 수 없으니까 묶어놓는 것을 의미하는데, 예전에 메르스 때 환자가 그 중에 발생하는 바람에 격리 기간이 늘어난 적이 여러번 있었어요."]

그러나, 이 환자가 다녀간 전남대병원 응급실에서 부분적으로 선별진료가 이루어진데다 대부분이 의료진 등 병원 관계자였다며, 현재 문제는 없는 것으로 보인다고 보건당국은 밝혔습니다.

KBS 뉴스 송금한입니다.

▶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확산 우려’ 최신 기사 보기
http://news.kbs.co.kr/news/list.do?icd=19588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