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백신] 인류의 반격 ‘백신 접종’, 전문가가 말하는 ‘성공의 조건’은?

입력 2021.01.01 (05:00) 수정 2021.01.04 (16:32)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미국과 영국, EU 등에서 코로나19 백신 접종이 본격적으로 시작됐습니다. 코로나19에 시달렸던 인류가 백신을 통해 반격에 나선 상황입니다.
우리는 2월부터 백신 접종을 시작할 계획입니다. 앞선 사례들을 통해 남은 기간에 성공적인 백신 접종을 위해 준비해야 할 것들은 무엇인지 짚어보겠습니다.

<관련 기사>
- 누가 얼마만큼 백신을 가져갔나?…한 번에 보는 백신 확보 현황
- 우리는 언제, 어떤 백신을 맞게 될까?
- 인류의 반격 '백신 접종'…전세계 접종 현황은?
- 인류의 반격 '백신 접종', 누가 먼저 맞나?-각국의 우선 접종 순위
- 인류의 반격 '백신 접종', '완치' 톰 행크스도 접종하는 이유는?
- 인류의 반격 '백신 접종', 전문가가 말하는 '성공의 조건'은?

지난해 12월 14일(현지시각) '초고속 작전'하에 첫 접종을 시작한 미국은 30일 현재 약 280만 명이 접종을 마쳤다. 단순계산으로 하루 16만 명이 접종한 셈이다. 12월 8일 첫 접종을 시작한 영국도 26일 현재 80만명 정도가 접종을 마쳤다. 하루 평균 4만명 수준이다.

늘어나는 피해 규모보다 접종이 느리다는 우려가 있다. 바이든 미 대통령 당선인은 취임 후 하루 100만 명 수준의 접종을 하겠다고 공언했다. 각국의 접종 속도는 더 빨라질 것이다.


우리의 상황은 어떻게 될까. 코로나19 백신 접종이 아직 시작되지 않아 동일하게 비교는 어렵다. 다만 최근 시행된 인플루엔자 접종을 살펴보자.질병관리청의 '2020-21절기 인플루엔자 예방접종 현황'을 보면, 만 62세 이상 접종률은 28일 현재 72%다. 대상자 1,058만 여명 가운데 767만여 명이 접종했다. 무료접종사업을 시작한 지 70여 일이 지났으니 하루에 약 11만 명 정도가 접종한 셈이다. 어르신 대상 무료 접종은 1997년부터 시행됐다.

국민 87%는 코로나19 백신을 접종할 의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 갤럽이 국민 1,500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다. 동일한 조사를 한 32개국의 평균인 71%보다 높다. 이미 접종을 시작한 영국(81%)이나 미국(66%)과 비교해도 많다. 특히 60대 이상 국민의 응답자 중 90% 정도가 접종의사를 비쳤다.

축적된 예방접종 시스템과 높은 접종 의향은 분명 백신 접종이 순조롭게 진행될 요인이다.

권덕철 보건복지부 장관은 지난달 31일 신년사를 통해 "정부는 백신 공급기업과의 지속적인 협상 노력을 통해 총 5천600만 명분의 백신을 확보했고, 20201년 2월부터 고령자와 필수 의료인력 등을 시작으로, 우선 필요한 국민부터 순차적으로 11월까지 접종을 완료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백신 접종의 적정 속도는?

하지만 이를 위해선 보완해야 할 점도 있다. 질병관리청이 낸 '인플루엔자 국가예방접종 지원사업 관리지침'을 보면 예진의사 1인당 하루 최대 접종 가능 환자 수를 100명으로 제한하고 있다.

코로나19 상황이 악화하고 이에 따른 방역조치가 강화된다면 하루 최대 접종 능력도 줄어들 수밖에 없다. 게다가 2차 접종까지 마쳐야 한다.

기모란 대한예방의학회 코로나19 대책위원회 위원장은 "(인플루엔자 접종시) 사람들이 너무 많이 몰려 예방접종하는 과정에 감염이 전파될까 우려스러웠다" 면서 "환자 발생이 많아서 2.5단계, 3단계까지 된 경우랑 그렇지 않을 때가 다르다, 그렇게 한꺼번에 많이 맞는 것도 위험하다"고 말했다.


높은 수준의 접종률도 들여다보면 우려스러운 점이 보인다. 고령층 대상 인플루엔자 접종률도 당초 목표했던 접종률 85%에 못 미친다. 구체적으로 만 70세 이상 대상자 565만여 명 중 82%인 464만여 명이 접종을 마쳤다. 반면 493만 여명의 62~69세 인구는 303만여 명이 접종해 61%에 그쳤다.

고령층은 코로나19 위중증과 사망자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취약계층이다. 질병관리청 자료를 보면 60~69세 고령층은 지난달 30일 현재 코로나19 확진자 중 15.8%에 달한다.

따라서 접종 대상의 참여를 고루 이끌어낼 홍보와 소통 전략이 필요하다. 일선 접종기관에 적정치를 분산할 방법도 마련해야 한다.

■집단면역 형성을 위한 종합 전략은?

그렇다고, 마냥 늦출 수만은 없다. 고려대상은 항체 지속기간. 지속기간 내에 일정한 접종률에 도달해야 한다. 목표로 한 접종률에 도달하기 전 항체가 없어진다면 집단면역을 얻기 어렵다.

문제는 새롭게 등장한 코로나19 백신들은 임상시험을 마친 지 1년도 되지 않았다는 점이다. 실제 항체가 얼마나 지속하는 지 현재로선 알지 못한다.

권준욱 중앙방역대책본부 2부본부장은 11월 29일 정례 브리핑에서 "국내 연구자가 퇴원 환자 90여 명인가를 조사했고 거의 6개월 이후에 90% 이상 항체가 나타났다는 논문을 국제적인 저널에서 본 것"으로 기억한다고 말했다.

그러나 이는 감염 후 완치되면서 자연적으로 생긴 면역에 해당한다. 일부 외신과 연구에서는 백신에 의한 항체 지속 기간을 3개월로 추정하기도 한다.

송대섭 고려대 약대 교수는 미국의 경우, 항체 지속기간을 고려하면 "백신을 다 맞췄을 때쯤이면, 처음 맞췄던 사람들은 항체효과가 떨어져 재감염이 가능한 수준이 될 수도 있다"고 우려했다.

송 교수는 이어 "일단 처음 만든 백신이 최대한 유의미하게 감염자 수를 감소시키고, (효과가 약해지기 전) 후속조치로 다양한 백신이 뒷받침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백신 공급양과 품질 유지

정부는 지난달 29일 코백스와 화이자, 모더나, 아스트라제네카와 얀센 등으로부터 5,600만 명분의 백신을 확보했다고 밝혔다.

앞서 28일자 질병관리청의 자료를 보면, 1분기 중 공급이 예상되는 백신은 아스트라제네카와 코백스 물량이다. 각각 1,000만 명 분이다. 아스트라제네카는 영국의 긴급승인을 받았다. 다만 코백스가 어떤 백신을 언제, 얼마나 공급하게 될지는 아직 불투명하다.

이번 인플루엔자 접종 대상인 62세 고령자 규모는 약 1,060만 명이다. 이들에다 의료진까지 합치면 코로나19 최우선 접종 대상 규모는 더 커진다.

인플루엔자 예방접종 사업에 참여한 위탁기관은 28,000여 곳이다. 모두 코로나 백신 사업에 참여한다면 이들의 백신 보관시설과 능력도 고려해야 한다. 지금까지 연구 결과를 보면, mRNA 백신보다 바이러스 벡터 백신의 보관과 품질 유지가 더 수월하다.

기모란 위원장은 "전국 작은 의원까지 다 동원해 예방접종을 하려면 아스트라제네카 냉장 유통인 경우에 가능하고 화이자는 불가능하다"고 지적했다.

정부는 mRNA 백신 관리를 위한 초저온 유통망을 구축하기 위해 1분기 내 냉동고 250여 대를 갖추고 코로나19 백신 유통·보관 지침도 만들겠다고 밝혔다.

설대우 중앙대 약대 교수는 "백신은 안전해야 하고 효과적이며 많은 물량이 확보돼야 한다"면서 "가능한 짧은 시간에 많은 사람, 대규모 접종을 해야 하는데 백신이 조금씩 들어와 접종이 진행되는 건 바람직하지는 않다"고 말했다.

■사회적 합의와 불안요소 제거

역대 80%를 웃돌던 노인층 인플루엔자 예방접종은 이번엔 70% 수준이다. 예년과 달리, 접종 과정에서 인플루엔자 콜드체인 문제와 관련 사망자 논란 등이 불거졌다.

김우주 고려대구로병원 감염내과 교수는 "(코로나19 백신 접종은) 평상시 독감 예방접종과는 다른 변수도 많고 불확실성도 있기 때문에, 다양한 시나리오도 미리미리 홍보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각국의 백신 확보 경쟁과 제약사의 생산공급 능력은 물론, 백신 접종과정에 예상치 못한 부작용 등은 백신 공급을 계약대로 진행하는데 돌발변수다.

화이자와 모더나는 이미 다른 나라에서 접종을 시작해 임상 외에 관련 자료가 쌓이고 있다. 하지만 아스트라제네카는 상대적으로 자료가 부족하다.

다양한 백신이 차례로 도입될 경우, 어떤 백신을 언제 누가 맞을지 결정해야 한다. 자신이 맞을 백신 종류를 선택할 수 없다면 그 결정에 동의할 수 있어야 한다.

국민들은 정보를 알 권리가 있다. 정부는 백신 접종 계획과 관련된 허위, 왜곡이 없도록 진행과정을 투명하게 알리는 데 최선을 다해야 한다. 백신의 안전성과 유효성, 예상되는 부작용 등에 대한 예방적인 소통이 중요하다.

김 교수는 "18세 사망 사례처럼 제때 제대로 정부가 대응하지 않으면 루머나 진영논리에 의해 접종 계획이 어그러질 수 있다"고 강조했다.

예방접종전문위원회 사회분야로 참여하고 있는 강정화 한국소비자연맹 회장도 "접종하겠다는 의사가 높지만, 지난번 독감 접종 때처럼 유통에서 문제가 생기면 안 된다"면서 "백신 접종 전 유통과 부작용 모니터링 등 준비를 최대한 잘 갖춰야 한다"고 말했다.

백신 사각지대에 대한 꾸준한 관리는 여전히 중요하다. 이번에 접종할 백신들은 모든 연령대를 포함하지 않는다. 임신부와 청소년, 아동 등 백신접종 대상이 아닌 계층 관리에 소홀해서는 안 된다.

백신 접종이 마스크 쓰기와 손 씻기, 사회적 거리 두기 등 사회적 방역조치를 느슨하게 해서도 안 된다는 게 전문가들의 일관된 주문이다.

※ 취재 지원 : 김나영 팩트체크 인턴 기자(sjrnfl3030@naver.com)


▶ '코로나19 3차 대유행 특집' 바로가기
http://news.kbs.co.kr/special/coronaSpecialMain.html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코로나19 백신] 인류의 반격 ‘백신 접종’, 전문가가 말하는 ‘성공의 조건’은?
    • 입력 2021-01-01 05:00:44
    • 수정2021-01-04 16:32:41
    취재K
미국과 영국, EU 등에서 코로나19 백신 접종이 본격적으로 시작됐습니다. 코로나19에 시달렸던 인류가 백신을 통해 반격에 나선 상황입니다.
우리는 2월부터 백신 접종을 시작할 계획입니다. 앞선 사례들을 통해 남은 기간에 성공적인 백신 접종을 위해 준비해야 할 것들은 무엇인지 짚어보겠습니다.

<관련 기사>
- 누가 얼마만큼 백신을 가져갔나?…한 번에 보는 백신 확보 현황
- 우리는 언제, 어떤 백신을 맞게 될까?
- 인류의 반격 '백신 접종'…전세계 접종 현황은?
- 인류의 반격 '백신 접종', 누가 먼저 맞나?-각국의 우선 접종 순위
- 인류의 반격 '백신 접종', '완치' 톰 행크스도 접종하는 이유는?
- 인류의 반격 '백신 접종', 전문가가 말하는 '성공의 조건'은?

지난해 12월 14일(현지시각) '초고속 작전'하에 첫 접종을 시작한 미국은 30일 현재 약 280만 명이 접종을 마쳤다. 단순계산으로 하루 16만 명이 접종한 셈이다. 12월 8일 첫 접종을 시작한 영국도 26일 현재 80만명 정도가 접종을 마쳤다. 하루 평균 4만명 수준이다.

늘어나는 피해 규모보다 접종이 느리다는 우려가 있다. 바이든 미 대통령 당선인은 취임 후 하루 100만 명 수준의 접종을 하겠다고 공언했다. 각국의 접종 속도는 더 빨라질 것이다.


우리의 상황은 어떻게 될까. 코로나19 백신 접종이 아직 시작되지 않아 동일하게 비교는 어렵다. 다만 최근 시행된 인플루엔자 접종을 살펴보자.질병관리청의 '2020-21절기 인플루엔자 예방접종 현황'을 보면, 만 62세 이상 접종률은 28일 현재 72%다. 대상자 1,058만 여명 가운데 767만여 명이 접종했다. 무료접종사업을 시작한 지 70여 일이 지났으니 하루에 약 11만 명 정도가 접종한 셈이다. 어르신 대상 무료 접종은 1997년부터 시행됐다.

국민 87%는 코로나19 백신을 접종할 의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 갤럽이 국민 1,500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다. 동일한 조사를 한 32개국의 평균인 71%보다 높다. 이미 접종을 시작한 영국(81%)이나 미국(66%)과 비교해도 많다. 특히 60대 이상 국민의 응답자 중 90% 정도가 접종의사를 비쳤다.

축적된 예방접종 시스템과 높은 접종 의향은 분명 백신 접종이 순조롭게 진행될 요인이다.

권덕철 보건복지부 장관은 지난달 31일 신년사를 통해 "정부는 백신 공급기업과의 지속적인 협상 노력을 통해 총 5천600만 명분의 백신을 확보했고, 20201년 2월부터 고령자와 필수 의료인력 등을 시작으로, 우선 필요한 국민부터 순차적으로 11월까지 접종을 완료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백신 접종의 적정 속도는?

하지만 이를 위해선 보완해야 할 점도 있다. 질병관리청이 낸 '인플루엔자 국가예방접종 지원사업 관리지침'을 보면 예진의사 1인당 하루 최대 접종 가능 환자 수를 100명으로 제한하고 있다.

코로나19 상황이 악화하고 이에 따른 방역조치가 강화된다면 하루 최대 접종 능력도 줄어들 수밖에 없다. 게다가 2차 접종까지 마쳐야 한다.

기모란 대한예방의학회 코로나19 대책위원회 위원장은 "(인플루엔자 접종시) 사람들이 너무 많이 몰려 예방접종하는 과정에 감염이 전파될까 우려스러웠다" 면서 "환자 발생이 많아서 2.5단계, 3단계까지 된 경우랑 그렇지 않을 때가 다르다, 그렇게 한꺼번에 많이 맞는 것도 위험하다"고 말했다.


높은 수준의 접종률도 들여다보면 우려스러운 점이 보인다. 고령층 대상 인플루엔자 접종률도 당초 목표했던 접종률 85%에 못 미친다. 구체적으로 만 70세 이상 대상자 565만여 명 중 82%인 464만여 명이 접종을 마쳤다. 반면 493만 여명의 62~69세 인구는 303만여 명이 접종해 61%에 그쳤다.

고령층은 코로나19 위중증과 사망자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취약계층이다. 질병관리청 자료를 보면 60~69세 고령층은 지난달 30일 현재 코로나19 확진자 중 15.8%에 달한다.

따라서 접종 대상의 참여를 고루 이끌어낼 홍보와 소통 전략이 필요하다. 일선 접종기관에 적정치를 분산할 방법도 마련해야 한다.

■집단면역 형성을 위한 종합 전략은?

그렇다고, 마냥 늦출 수만은 없다. 고려대상은 항체 지속기간. 지속기간 내에 일정한 접종률에 도달해야 한다. 목표로 한 접종률에 도달하기 전 항체가 없어진다면 집단면역을 얻기 어렵다.

문제는 새롭게 등장한 코로나19 백신들은 임상시험을 마친 지 1년도 되지 않았다는 점이다. 실제 항체가 얼마나 지속하는 지 현재로선 알지 못한다.

권준욱 중앙방역대책본부 2부본부장은 11월 29일 정례 브리핑에서 "국내 연구자가 퇴원 환자 90여 명인가를 조사했고 거의 6개월 이후에 90% 이상 항체가 나타났다는 논문을 국제적인 저널에서 본 것"으로 기억한다고 말했다.

그러나 이는 감염 후 완치되면서 자연적으로 생긴 면역에 해당한다. 일부 외신과 연구에서는 백신에 의한 항체 지속 기간을 3개월로 추정하기도 한다.

송대섭 고려대 약대 교수는 미국의 경우, 항체 지속기간을 고려하면 "백신을 다 맞췄을 때쯤이면, 처음 맞췄던 사람들은 항체효과가 떨어져 재감염이 가능한 수준이 될 수도 있다"고 우려했다.

송 교수는 이어 "일단 처음 만든 백신이 최대한 유의미하게 감염자 수를 감소시키고, (효과가 약해지기 전) 후속조치로 다양한 백신이 뒷받침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백신 공급양과 품질 유지

정부는 지난달 29일 코백스와 화이자, 모더나, 아스트라제네카와 얀센 등으로부터 5,600만 명분의 백신을 확보했다고 밝혔다.

앞서 28일자 질병관리청의 자료를 보면, 1분기 중 공급이 예상되는 백신은 아스트라제네카와 코백스 물량이다. 각각 1,000만 명 분이다. 아스트라제네카는 영국의 긴급승인을 받았다. 다만 코백스가 어떤 백신을 언제, 얼마나 공급하게 될지는 아직 불투명하다.

이번 인플루엔자 접종 대상인 62세 고령자 규모는 약 1,060만 명이다. 이들에다 의료진까지 합치면 코로나19 최우선 접종 대상 규모는 더 커진다.

인플루엔자 예방접종 사업에 참여한 위탁기관은 28,000여 곳이다. 모두 코로나 백신 사업에 참여한다면 이들의 백신 보관시설과 능력도 고려해야 한다. 지금까지 연구 결과를 보면, mRNA 백신보다 바이러스 벡터 백신의 보관과 품질 유지가 더 수월하다.

기모란 위원장은 "전국 작은 의원까지 다 동원해 예방접종을 하려면 아스트라제네카 냉장 유통인 경우에 가능하고 화이자는 불가능하다"고 지적했다.

정부는 mRNA 백신 관리를 위한 초저온 유통망을 구축하기 위해 1분기 내 냉동고 250여 대를 갖추고 코로나19 백신 유통·보관 지침도 만들겠다고 밝혔다.

설대우 중앙대 약대 교수는 "백신은 안전해야 하고 효과적이며 많은 물량이 확보돼야 한다"면서 "가능한 짧은 시간에 많은 사람, 대규모 접종을 해야 하는데 백신이 조금씩 들어와 접종이 진행되는 건 바람직하지는 않다"고 말했다.

■사회적 합의와 불안요소 제거

역대 80%를 웃돌던 노인층 인플루엔자 예방접종은 이번엔 70% 수준이다. 예년과 달리, 접종 과정에서 인플루엔자 콜드체인 문제와 관련 사망자 논란 등이 불거졌다.

김우주 고려대구로병원 감염내과 교수는 "(코로나19 백신 접종은) 평상시 독감 예방접종과는 다른 변수도 많고 불확실성도 있기 때문에, 다양한 시나리오도 미리미리 홍보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각국의 백신 확보 경쟁과 제약사의 생산공급 능력은 물론, 백신 접종과정에 예상치 못한 부작용 등은 백신 공급을 계약대로 진행하는데 돌발변수다.

화이자와 모더나는 이미 다른 나라에서 접종을 시작해 임상 외에 관련 자료가 쌓이고 있다. 하지만 아스트라제네카는 상대적으로 자료가 부족하다.

다양한 백신이 차례로 도입될 경우, 어떤 백신을 언제 누가 맞을지 결정해야 한다. 자신이 맞을 백신 종류를 선택할 수 없다면 그 결정에 동의할 수 있어야 한다.

국민들은 정보를 알 권리가 있다. 정부는 백신 접종 계획과 관련된 허위, 왜곡이 없도록 진행과정을 투명하게 알리는 데 최선을 다해야 한다. 백신의 안전성과 유효성, 예상되는 부작용 등에 대한 예방적인 소통이 중요하다.

김 교수는 "18세 사망 사례처럼 제때 제대로 정부가 대응하지 않으면 루머나 진영논리에 의해 접종 계획이 어그러질 수 있다"고 강조했다.

예방접종전문위원회 사회분야로 참여하고 있는 강정화 한국소비자연맹 회장도 "접종하겠다는 의사가 높지만, 지난번 독감 접종 때처럼 유통에서 문제가 생기면 안 된다"면서 "백신 접종 전 유통과 부작용 모니터링 등 준비를 최대한 잘 갖춰야 한다"고 말했다.

백신 사각지대에 대한 꾸준한 관리는 여전히 중요하다. 이번에 접종할 백신들은 모든 연령대를 포함하지 않는다. 임신부와 청소년, 아동 등 백신접종 대상이 아닌 계층 관리에 소홀해서는 안 된다.

백신 접종이 마스크 쓰기와 손 씻기, 사회적 거리 두기 등 사회적 방역조치를 느슨하게 해서도 안 된다는 게 전문가들의 일관된 주문이다.

※ 취재 지원 : 김나영 팩트체크 인턴 기자(sjrnfl3030@naver.com)


▶ '코로나19 3차 대유행 특집' 바로가기
http://news.kbs.co.kr/special/coronaSpecialMain.html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