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의 이슈] “방사능 오염도 정부 발표보다 높아”

입력 2014.04.14 (23:42) 수정 2014.04.15 (00:57)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후쿠시마 원전 사고 이후 정부는 식품에 대한 방사능 오염 검사를 정기적으로 하고 있습니다.

물론 결과는 안전하다는 겁니다.

그런데 시민단체가 자체 방사능 검사를 해봤는데 정부 발표치보다 오염도가 높았습니다.

어찌된 내용인지 사회2부 고아름 기자와 짚어봅니다.

<질문>
고아름 기자 현재 방사능 오염 여부는 어떻게 측정하고 있나요?

<답변>
네, 정부는 일본 후쿠시마 원전 사고 이후 수입 수산물에 대해 1주일에 두 차례씩 정기적으로 방사능 오염 검사를 실시하고 있습니다.

이 검사에서 기준이 되는 물질이 세슘입니다.

세슘은 자연 상태에서는 존재하지 않고 핵분열을 할 때 생겨나기 때문에 방사능 오염 여부를 알려주는 '지표'로 활용됩니다.

검사 결과는 매주 식품의약품안전처 홈페이지에 공개되고 있는데요.

지난해 국내에 유통된 수산물 2천7백여 건 가운데 세슘이 검출된 건 15건에 그쳤습니다.

<질문>
그런데 시민 단체의 자체 검사 결과는 어떻게 나왔나요?

<답변>
네, 시민방사능감시센터가 최근 국내에 유통되고 있는 농수산물 5백40여 개 시료를 분석했습니다.

이 중 36개 시료에서 세슘이 나온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가리비와 임연수어가 33%, 고등어 20.8%, 명태와 대구는 14.8%의 검출률을 보였습니다.

주로 수입산 수산물입니다.

나라별로는 러시아산이 20%로 가장 많았고, 일본산 4.3%, 국내산은 3.9% 순이었습니다.

다행히 세슘 검출량이 많지는 않았습니다.

대부분 kg당 1베크렐 안팎의 세슘이 나왔는데, 현재 국내 허용기준치인 100베크렐의 1퍼센트 수준입니다.

<질문>
정부의 검사 결과와 어떤 차이가 있죠?

<답변>
시민단체의 검사에서는 세슘 검출률이 6.6%로 나왔습니다.

식약처의 공식 발표 수치가 0.6%인 것과 비교해 보면 무려 11배나 많습니다.

식약처는 kg당 1베크렐이 넘는 경우에만 세슘이 검출됐다고 한 반면, 시민단체는 0.2베크렐만 넘으면 세슘이 검출됐다고 발표한 것입니다.

<질문>
왜 이런 차이가 발생하는거죠?

<답변>
식약처와 시민단체가 사용한 세슘 검사기계는 같은 제품입니다.

다른 점은 검사하는 방법입니다.

식약처는 검출 장비에 시료를 넣고 천8백 초를 가동해 검사를 합니다.

이 경우 기계적 오차를 감안하면 방사능 강도 측정 단위는 kg당 1베크렐이 됩니다.

이에 비해 시민단체는 훨씬 긴 만 초동안 가동해 검사를 했습니다.

더 오래 측정을 하니 더 극소량의 세슘까지 검출하게 되는데, 이때 최소 검출 단위가 0.2베크렐로 낮아지는 겁니다.

다시 말해, 시민단체 측이 세슘 검출 농도 설정에 더욱 엄격한 기준을 적용하다보니 검출률이 높아진 겁니다.

<질문>
그럼 정부 기준을 더 엄격히 해야 하나요?

<답변>
우리나라의 세슘 안전 기준은 킬로그램당 100베크렐입니다.

원래 370베크렐이었는데 2년 전 강화됐습니다.

다른 나라의 기준을 보면, 미국은 1200, 유럽연합은 500베크렐입니다.

원전 사고 당사국인 일본도 우리나라와 같은 100베크렐 정도입니다.

우리나라 기준이 다른 나라와 견줘 결코 낮지 않다는 얘깁니다.

식약처 관계자의 설명 들어보시죠.

<인터뷰> 박선희(식약처 식품기준기획관) : "현재 일본식품에 대해서는 100베크렐 기준을 적용하고 있습니다. 100베크렐 기준은 일본에서는 모든 식품이 오염되었다는 전제 하에서 설정된 것으로 가장 엄격한 기준입니다."

이 기준치 정도로 오염된 식품을 성인이 1년 내내 섭취할 경우 피폭량은 0.7밀리시버트 정도입니다.

정부는 이 수치가 병원에서 CT 촬영 때 한 번 쏘이는 피폭량보다 적다고 설명합니다.

후쿠시마 원전 사고 이후 수입된 8만 4천여 건의 일본 식품에 이런 기준을 적용했을 때 기준 부적합 제품은 단 한 건도 없었다는 게 식약처의 설명입니다.

하지만 원전 사고가 이웃나라 일본에서 발생한 만큼 미량일지라도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공개해야 한다는 지적도 적지 않습니다.

오염 정도를 아는 것도 중요하지만 내가 먹는 식품이 방사능에 오염이 됐는지 아닌지 알 필요가 있다는 것입니다.

시민단체 관계자의 설명 직접 들어보시죠.

<인터뷰> 이윤근(부소장/녹색병원 노동환경건강연구소) : "농도가 얼마나 높은지도 궁금하겠지만 내가 먹는 식품이 방사능에 오염이 됐는지 안됐는지 오히려 더 궁금할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낮은 농도라도 공개되는 게 맞지 않을까.' 이런 차원에서 저희들이 발표를 하게 된겁니다."

식약처는 방사성 물질에 대한 국민 불안이 계속되는 만큼, 각 시도에 최신 장비를 도입해 24시간 방사능 검사체계를 구축하겠다고 밝혔습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오늘의 이슈] “방사능 오염도 정부 발표보다 높아”
    • 입력 2014-04-14 23:45:18
    • 수정2014-04-15 00:57:38
    뉴스라인 W
<앵커 멘트>

후쿠시마 원전 사고 이후 정부는 식품에 대한 방사능 오염 검사를 정기적으로 하고 있습니다.

물론 결과는 안전하다는 겁니다.

그런데 시민단체가 자체 방사능 검사를 해봤는데 정부 발표치보다 오염도가 높았습니다.

어찌된 내용인지 사회2부 고아름 기자와 짚어봅니다.

<질문>
고아름 기자 현재 방사능 오염 여부는 어떻게 측정하고 있나요?

<답변>
네, 정부는 일본 후쿠시마 원전 사고 이후 수입 수산물에 대해 1주일에 두 차례씩 정기적으로 방사능 오염 검사를 실시하고 있습니다.

이 검사에서 기준이 되는 물질이 세슘입니다.

세슘은 자연 상태에서는 존재하지 않고 핵분열을 할 때 생겨나기 때문에 방사능 오염 여부를 알려주는 '지표'로 활용됩니다.

검사 결과는 매주 식품의약품안전처 홈페이지에 공개되고 있는데요.

지난해 국내에 유통된 수산물 2천7백여 건 가운데 세슘이 검출된 건 15건에 그쳤습니다.

<질문>
그런데 시민 단체의 자체 검사 결과는 어떻게 나왔나요?

<답변>
네, 시민방사능감시센터가 최근 국내에 유통되고 있는 농수산물 5백40여 개 시료를 분석했습니다.

이 중 36개 시료에서 세슘이 나온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가리비와 임연수어가 33%, 고등어 20.8%, 명태와 대구는 14.8%의 검출률을 보였습니다.

주로 수입산 수산물입니다.

나라별로는 러시아산이 20%로 가장 많았고, 일본산 4.3%, 국내산은 3.9% 순이었습니다.

다행히 세슘 검출량이 많지는 않았습니다.

대부분 kg당 1베크렐 안팎의 세슘이 나왔는데, 현재 국내 허용기준치인 100베크렐의 1퍼센트 수준입니다.

<질문>
정부의 검사 결과와 어떤 차이가 있죠?

<답변>
시민단체의 검사에서는 세슘 검출률이 6.6%로 나왔습니다.

식약처의 공식 발표 수치가 0.6%인 것과 비교해 보면 무려 11배나 많습니다.

식약처는 kg당 1베크렐이 넘는 경우에만 세슘이 검출됐다고 한 반면, 시민단체는 0.2베크렐만 넘으면 세슘이 검출됐다고 발표한 것입니다.

<질문>
왜 이런 차이가 발생하는거죠?

<답변>
식약처와 시민단체가 사용한 세슘 검사기계는 같은 제품입니다.

다른 점은 검사하는 방법입니다.

식약처는 검출 장비에 시료를 넣고 천8백 초를 가동해 검사를 합니다.

이 경우 기계적 오차를 감안하면 방사능 강도 측정 단위는 kg당 1베크렐이 됩니다.

이에 비해 시민단체는 훨씬 긴 만 초동안 가동해 검사를 했습니다.

더 오래 측정을 하니 더 극소량의 세슘까지 검출하게 되는데, 이때 최소 검출 단위가 0.2베크렐로 낮아지는 겁니다.

다시 말해, 시민단체 측이 세슘 검출 농도 설정에 더욱 엄격한 기준을 적용하다보니 검출률이 높아진 겁니다.

<질문>
그럼 정부 기준을 더 엄격히 해야 하나요?

<답변>
우리나라의 세슘 안전 기준은 킬로그램당 100베크렐입니다.

원래 370베크렐이었는데 2년 전 강화됐습니다.

다른 나라의 기준을 보면, 미국은 1200, 유럽연합은 500베크렐입니다.

원전 사고 당사국인 일본도 우리나라와 같은 100베크렐 정도입니다.

우리나라 기준이 다른 나라와 견줘 결코 낮지 않다는 얘깁니다.

식약처 관계자의 설명 들어보시죠.

<인터뷰> 박선희(식약처 식품기준기획관) : "현재 일본식품에 대해서는 100베크렐 기준을 적용하고 있습니다. 100베크렐 기준은 일본에서는 모든 식품이 오염되었다는 전제 하에서 설정된 것으로 가장 엄격한 기준입니다."

이 기준치 정도로 오염된 식품을 성인이 1년 내내 섭취할 경우 피폭량은 0.7밀리시버트 정도입니다.

정부는 이 수치가 병원에서 CT 촬영 때 한 번 쏘이는 피폭량보다 적다고 설명합니다.

후쿠시마 원전 사고 이후 수입된 8만 4천여 건의 일본 식품에 이런 기준을 적용했을 때 기준 부적합 제품은 단 한 건도 없었다는 게 식약처의 설명입니다.

하지만 원전 사고가 이웃나라 일본에서 발생한 만큼 미량일지라도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공개해야 한다는 지적도 적지 않습니다.

오염 정도를 아는 것도 중요하지만 내가 먹는 식품이 방사능에 오염이 됐는지 아닌지 알 필요가 있다는 것입니다.

시민단체 관계자의 설명 직접 들어보시죠.

<인터뷰> 이윤근(부소장/녹색병원 노동환경건강연구소) : "농도가 얼마나 높은지도 궁금하겠지만 내가 먹는 식품이 방사능에 오염이 됐는지 안됐는지 오히려 더 궁금할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낮은 농도라도 공개되는 게 맞지 않을까.' 이런 차원에서 저희들이 발표를 하게 된겁니다."

식약처는 방사성 물질에 대한 국민 불안이 계속되는 만큼, 각 시도에 최신 장비를 도입해 24시간 방사능 검사체계를 구축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