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충전] 딸꾹질·눈떨림·쥐…멈추는 방법은?

입력 2014.05.13 (08:42) 수정 2014.05.13 (14:17)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방송하는 저희들이 혹시나 해서 우려하는 게 있는데요.

바로 딸꾹질입니다.

예전에 어떤 선배는 실제로 방송하다가 딸꾹질을 해서 애먹었다고도 하는데요.

이것 외에도 우리 몸에서 갑작스럽게 일어나는 특이한 신체 현상들이 있죠. 모은희 기자가 소개해 드립니다.

예를 들자면 어떤 어떤 것들이 있나요?

<기자 멘트>

살면서 종종 경험하지만 왜 일어나는지 모르고 지나치는 신체 반응들이 있죠.

제일 흔한 게 딸꾹질, 다리에 나는 쥐, 그리고 차가운 것을 먹을 때 나타나는 두통이나 눈꺼풀이 파르르 떨리는 것도 신체 특이현상 중 하나인데요.

모두 정확한 원인은 밝혀지지 않았지만 대부분 생활 습관과 관련이 있다고 해요.

이런 우리 몸의 특이현상들, 어떻게 대처하면 좋을지 궁금했던 점 하나씩 알아보겠습니다.

<리포트>

갑작스럽게 시작된 딸꾹질이 멈추지 않아 당황하고, 차가운 아이스크림을 먹다 머리가 찡하고 아팠던 경험, 누구나 한번쯤은 있으시죠?

우리 몸에서 일어나는 원인 모를 특이한 반응들! 혹시 건강의 이상신호는 아닐까요?

평소 궁금했던 우리 몸의 특이현상들, 그 실체를 밝혀봅니다!

날이 더워질수록 시원한 음식에 손이 가기 마련인데요.

차가운 얼음이 듬뿍 올라간 빙수 한 그릇이면 올해 더위도 끄떡없겠죠?

<인터뷰> 전단이(서울시 영등포구) : "뼛속까지 마음속까지 시원해지는 기분이에요."

하지만 갑자기 차가운 음식을 급하게 먹다보면, 이내 머리가 띵해지는 두통이 찾아오기도 하는데요.

일명 '아이스크림 두통'이라 불리는 이 갑작스러운 통증은 왜 생기는 걸까요?

<인터뷰> 박경희(교수/한림대성심병원 가정의학과) : "정확한 원인은 아직 알려져 있지 않지만 찬 음식이 입속에 들어가서 입천장 윗부분에 있는 신경을 자극하게 되거나 뇌혈류에 변화가 생기면서 극심한 두통이 생기는 경우가 많습니다. 자연소실이 되는 경우가 대부분이기 때문에 크게 걱정할 일은 없습니다."

갓난아기부터 귀여운 다람쥐까지 예외가 아니네요. 자신의 의지와는 상관없이 나는 이 특이한 소리의 정체는 무엇일까요?

'딸꾹'하는 소리는 횡격막이 갑작스럽게 수축될 때 성대 문이 일찍 닫히면서 생기는 증상인데요.

음식을 급하게 많이 먹어도 위가 갑자기 팽창해 생깁니다. 흔히 뭐 훔쳐먹었냐고들 하잖아요.

극심한 공포나 불안감 등 심리적인 요인도 원인이 됩니다.

<인터뷰> 박경희(교수/ 한림대성심병원 가정의학과) : "2개월 이상 딸꾹질을 하는 난치성 딸꾹질이라는 것도 있거든요. 뇌나 중추신경계에 병변이 있는 경우에도 지속적으로 딸꾹질을 하는 경우가 있고요. 그 이외에도 우리 몸에 전해질이 불균형을 이루었을 경우, 콩팥에 질환이 있는 경우, 기타 내분비질환이 있는 경우에도 딸꾹질이 오랫동안 지속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다양한 원인만큼이나 딸꾹질을 멈추게 하는 방법에 대해서도 말이 많은데요.

<인터뷰> 김명진(서울시 용산구) : "손가락을 입안에 넣고 헛구역질을 하면 멈췄어요."

<인터뷰> 박춘묘(경기도 시흥시) : "뒤에서 놀라게 등을 탁 쳐주면 멈춘대요."

좀 더 안전하게 딸꾹질을 멈추는 방법을 알려드릴게요.

얼음 같이 아주 찬 음식을 먹어서 목을 자극해주면 금세 멈추고요.

혀를 지압하듯 잡고 30초 이상 쭉 빼 주는 동작도 효과적입니다.

우리 몸에 일어나는 특이현상들은 금방 사라지는 일시적인 반응인 경우가 대부분이지만요.

좀처럼 그치지 않고 지속되는 현상도 있습니다.

눈 밑이 떨리는 증상이 잦아지면서 병원을 찾았다는 여성인데요. 혹시 병은 아닐까 불안한 마음이 가시지 않았다고요.

<녹취> "눈이 갑자기 파르르하게 떨리고요. 모니터를 보든지 스마트폰 볼 때 떨려서요."

<인터뷰> 신영주(교수/한림대강남성심병원 안과) : "눈꺼풀 떨림이라고 하는 것은 수면부족, 스트레스, 과로, 혹은 카페인 같은 것을 너무 많이 섭취했을 경우에 눈꺼풀 떨림이 있을 수가 있습니다. 수개월 동안 눈꺼풀 떨림이 지속되는 경우에는 신경을 눌러서 생기는 반측성 안면경련일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반드시 병원을 찾으셔서 검사를 받으시는 것이 필요하겠습니다."

전해질이 부족한 경우에도 눈꺼풀 경련 증상이 장기간 나타날 수 있는데요.

규칙적인 운동과 함께 마그네슘이 풍부하게 들어 있는 바나나와 아몬드를 충분히 먹어주면 회복에 도움이 된다고 합니다.

우리 몸의 특이현상 중 가장 심한 통증을 주는 건 바로 다리에 나는 ‘쥐’인데요.

준비운동 없이 갑작스럽게 운동을 하거나 근육을 과하게 사용할 경우 가장 흔하게 발생하고요.

스트레스를 많이 받거나 몸이 피로해도 생길 수 있는데요.

보통은 가벼운 스트레칭으로 통증이 사라지지만 증상이 사라지지 않고 계속된다면 질환이 있지는 않은지 의심해봐야 합니다.

<녹취> "일을 좀 많이 하다보면 다리가 붓고 근육이 딱딱해지는 경우가 있었고요."

특히 수면 중에 쥐가 나는 경우가 있죠? 방치할 경우 불면증까지 초래할 수 있습니다.

<인터뷰> 강세훈(혈관외과 전문의) : "쥐가 자주 난다는 것은 하지 건강에 문제가 있다는 겁니다. 대부분은 갑자기 운동했을 때 쥐가 날 수 있고 약물 부작용으로도 나타날 수 있습니다. 질환으로는 하지정맥류를 의심해볼 수 있는데 정맥이 불필요하게 확장되거나 돌출된 결과 정맥 순환이 잘 안 되는 건데요. 근육피로가 누적되면 결국은 근육경련 현상, 즉 쥐가 나는 현상이 나타나게 되죠."

갑작스럽게 쥐가 났을 때는 어떻게 해야 통증에서 빨리 벗어날 수 있을까요?

발가락을 잡은 후에 몸 쪽으로 당겨 주는 동작을 취하는 게 가장 효과적이고요.

쥐가 자주, 오래 계속된다면요.

따뜻하게 온찜질을 해주거나 압박스타킹으로 다리근육의 혈액순환을 돕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예고도 없이 갑작스럽게 나타나는 우리 몸의 특이현상들.

평소 안 좋은 생활 태도가 만들어낸 증상일 수 있으니까요.

올바른 생활습관으로 현명하게 대처하세요!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건강충전] 딸꾹질·눈떨림·쥐…멈추는 방법은?
    • 입력 2014-05-13 08:47:25
    • 수정2014-05-13 14:17:07
    아침뉴스타임
<앵커 멘트>

방송하는 저희들이 혹시나 해서 우려하는 게 있는데요.

바로 딸꾹질입니다.

예전에 어떤 선배는 실제로 방송하다가 딸꾹질을 해서 애먹었다고도 하는데요.

이것 외에도 우리 몸에서 갑작스럽게 일어나는 특이한 신체 현상들이 있죠. 모은희 기자가 소개해 드립니다.

예를 들자면 어떤 어떤 것들이 있나요?

<기자 멘트>

살면서 종종 경험하지만 왜 일어나는지 모르고 지나치는 신체 반응들이 있죠.

제일 흔한 게 딸꾹질, 다리에 나는 쥐, 그리고 차가운 것을 먹을 때 나타나는 두통이나 눈꺼풀이 파르르 떨리는 것도 신체 특이현상 중 하나인데요.

모두 정확한 원인은 밝혀지지 않았지만 대부분 생활 습관과 관련이 있다고 해요.

이런 우리 몸의 특이현상들, 어떻게 대처하면 좋을지 궁금했던 점 하나씩 알아보겠습니다.

<리포트>

갑작스럽게 시작된 딸꾹질이 멈추지 않아 당황하고, 차가운 아이스크림을 먹다 머리가 찡하고 아팠던 경험, 누구나 한번쯤은 있으시죠?

우리 몸에서 일어나는 원인 모를 특이한 반응들! 혹시 건강의 이상신호는 아닐까요?

평소 궁금했던 우리 몸의 특이현상들, 그 실체를 밝혀봅니다!

날이 더워질수록 시원한 음식에 손이 가기 마련인데요.

차가운 얼음이 듬뿍 올라간 빙수 한 그릇이면 올해 더위도 끄떡없겠죠?

<인터뷰> 전단이(서울시 영등포구) : "뼛속까지 마음속까지 시원해지는 기분이에요."

하지만 갑자기 차가운 음식을 급하게 먹다보면, 이내 머리가 띵해지는 두통이 찾아오기도 하는데요.

일명 '아이스크림 두통'이라 불리는 이 갑작스러운 통증은 왜 생기는 걸까요?

<인터뷰> 박경희(교수/한림대성심병원 가정의학과) : "정확한 원인은 아직 알려져 있지 않지만 찬 음식이 입속에 들어가서 입천장 윗부분에 있는 신경을 자극하게 되거나 뇌혈류에 변화가 생기면서 극심한 두통이 생기는 경우가 많습니다. 자연소실이 되는 경우가 대부분이기 때문에 크게 걱정할 일은 없습니다."

갓난아기부터 귀여운 다람쥐까지 예외가 아니네요. 자신의 의지와는 상관없이 나는 이 특이한 소리의 정체는 무엇일까요?

'딸꾹'하는 소리는 횡격막이 갑작스럽게 수축될 때 성대 문이 일찍 닫히면서 생기는 증상인데요.

음식을 급하게 많이 먹어도 위가 갑자기 팽창해 생깁니다. 흔히 뭐 훔쳐먹었냐고들 하잖아요.

극심한 공포나 불안감 등 심리적인 요인도 원인이 됩니다.

<인터뷰> 박경희(교수/ 한림대성심병원 가정의학과) : "2개월 이상 딸꾹질을 하는 난치성 딸꾹질이라는 것도 있거든요. 뇌나 중추신경계에 병변이 있는 경우에도 지속적으로 딸꾹질을 하는 경우가 있고요. 그 이외에도 우리 몸에 전해질이 불균형을 이루었을 경우, 콩팥에 질환이 있는 경우, 기타 내분비질환이 있는 경우에도 딸꾹질이 오랫동안 지속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다양한 원인만큼이나 딸꾹질을 멈추게 하는 방법에 대해서도 말이 많은데요.

<인터뷰> 김명진(서울시 용산구) : "손가락을 입안에 넣고 헛구역질을 하면 멈췄어요."

<인터뷰> 박춘묘(경기도 시흥시) : "뒤에서 놀라게 등을 탁 쳐주면 멈춘대요."

좀 더 안전하게 딸꾹질을 멈추는 방법을 알려드릴게요.

얼음 같이 아주 찬 음식을 먹어서 목을 자극해주면 금세 멈추고요.

혀를 지압하듯 잡고 30초 이상 쭉 빼 주는 동작도 효과적입니다.

우리 몸에 일어나는 특이현상들은 금방 사라지는 일시적인 반응인 경우가 대부분이지만요.

좀처럼 그치지 않고 지속되는 현상도 있습니다.

눈 밑이 떨리는 증상이 잦아지면서 병원을 찾았다는 여성인데요. 혹시 병은 아닐까 불안한 마음이 가시지 않았다고요.

<녹취> "눈이 갑자기 파르르하게 떨리고요. 모니터를 보든지 스마트폰 볼 때 떨려서요."

<인터뷰> 신영주(교수/한림대강남성심병원 안과) : "눈꺼풀 떨림이라고 하는 것은 수면부족, 스트레스, 과로, 혹은 카페인 같은 것을 너무 많이 섭취했을 경우에 눈꺼풀 떨림이 있을 수가 있습니다. 수개월 동안 눈꺼풀 떨림이 지속되는 경우에는 신경을 눌러서 생기는 반측성 안면경련일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반드시 병원을 찾으셔서 검사를 받으시는 것이 필요하겠습니다."

전해질이 부족한 경우에도 눈꺼풀 경련 증상이 장기간 나타날 수 있는데요.

규칙적인 운동과 함께 마그네슘이 풍부하게 들어 있는 바나나와 아몬드를 충분히 먹어주면 회복에 도움이 된다고 합니다.

우리 몸의 특이현상 중 가장 심한 통증을 주는 건 바로 다리에 나는 ‘쥐’인데요.

준비운동 없이 갑작스럽게 운동을 하거나 근육을 과하게 사용할 경우 가장 흔하게 발생하고요.

스트레스를 많이 받거나 몸이 피로해도 생길 수 있는데요.

보통은 가벼운 스트레칭으로 통증이 사라지지만 증상이 사라지지 않고 계속된다면 질환이 있지는 않은지 의심해봐야 합니다.

<녹취> "일을 좀 많이 하다보면 다리가 붓고 근육이 딱딱해지는 경우가 있었고요."

특히 수면 중에 쥐가 나는 경우가 있죠? 방치할 경우 불면증까지 초래할 수 있습니다.

<인터뷰> 강세훈(혈관외과 전문의) : "쥐가 자주 난다는 것은 하지 건강에 문제가 있다는 겁니다. 대부분은 갑자기 운동했을 때 쥐가 날 수 있고 약물 부작용으로도 나타날 수 있습니다. 질환으로는 하지정맥류를 의심해볼 수 있는데 정맥이 불필요하게 확장되거나 돌출된 결과 정맥 순환이 잘 안 되는 건데요. 근육피로가 누적되면 결국은 근육경련 현상, 즉 쥐가 나는 현상이 나타나게 되죠."

갑작스럽게 쥐가 났을 때는 어떻게 해야 통증에서 빨리 벗어날 수 있을까요?

발가락을 잡은 후에 몸 쪽으로 당겨 주는 동작을 취하는 게 가장 효과적이고요.

쥐가 자주, 오래 계속된다면요.

따뜻하게 온찜질을 해주거나 압박스타킹으로 다리근육의 혈액순환을 돕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예고도 없이 갑작스럽게 나타나는 우리 몸의 특이현상들.

평소 안 좋은 생활 태도가 만들어낸 증상일 수 있으니까요.

올바른 생활습관으로 현명하게 대처하세요!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