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따라잡기] 별명이 오장풍?…“폭력 수준 체벌”

입력 2010.07.19 (08:58)

수정 2010.07.21 (09:16)

<앵커 멘트>



초등학교 교사가 교실에서 학생을 마구 때리는 장면, 얼마 전 전해드린 바 있는데요.



누구보다 초등학생 자녀를 둔 부모님들, 가슴이 철렁하셨을 겁니다.



아무리 사랑의 매라는 말이 있다지만 도를 넘은 체벌이 어린 학생들에게 지울 수 없는 마음의 상처를 남겼습니다.



이재환 기자, 이 교사의 심한 체벌 때문에 학생들이 붙인 별명도 있었다구요?



<리포트>



네, 이 선생님의 별명, 아이들 사이에서 오장풍으로 불렸습니다.



손바닥으로 한 번 맞으면 쓰러진다는 의미입니다.



욕설을 하면서 뺨을 때리고 발로 차는가 하면 체육실에 가둬놓기까지 했다고 합니다.



거짓말을 해서, 일기를 안 써와서 등의 이유였는데요.



이번 사건을 계기로 다시 한 번 초등학교 교사의 지나친 체벌 문제가 도마에 올랐습니다.



서울의 한 초등학교 6학년 교실.



학생 두 명이 불려나가 선생님에게 혼나고 있습니다.



잠시 뒤, 선생님은 아이의 뺨을 때립니다.



곧 아이를 밀쳐 넘어뜨리더니 발로 걷어찹니다.



가까스로 일어난 아이를 다시 밀치더니 화가 덜 풀렸는지 아이를 잡고 흔듭니다.



<녹취> 담임선생님(음성변조) : "저 ** 저거 필요 없어요. 저거 또 그럴 놈이야. 그러고도 남아."



아이들이 거짓말을 해서 때린 것인데요.



동영상만 보면 훈육이라기보다 폭력에 가깝습니다.



<녹취> 피해학생 학부모(음성변조) : "아이가 수업을 안 하고 거부를 하고 왔더라고요. (아이가) 교실에 다시 안 들어가겠다."



해당 교사는 50대 오 모 교사, 3년 전부터 이 학교에서 담임을 맡고 있었습니다. 교직 생활을 한지는 30년이 넘었는데요.



<녹취> 해당 초등학교 교감 선생님(음성변조) : "차분하니 점잖은 선생님입니다. 내가 얘기했던 젠틀맨이라고 여자분들, 동료 직원들도 아주 좋아했고 뭔 일 있으면 일 맡아서 다 하고..."



하지만 학생들 사이에서 해당교사에 대한 평가는 달랐습니다.



아이들은 담임선생님을 이른바 ‘오장풍’으로 부르고 있었습니다.



<녹취>해당 초등학교 피해 학생(음성변조) : "잡고 던진다고 해가지고요. 오장풍이라고 별명지은 거예요."



<녹취> 해당 초등학교 피해 학생(음성변조) : "진짜 무술 영화 밖에 안 떠올라요. 이소룡 이런 거..."



<녹취> 해당 초등학교 피해 학생(음성변조) : "맨 처음에요. 이렇게 딱 잡고 넘어뜨려요. 발로 차요. 그 다음에 목 뒷덜미랑 바지를 잡고 던져요. 그리고 감금시켜놔요. 기본이 1시간이에요. 걸린 시간부터 밥 먹을 때까지."



피해 학생 학부모에게 인터뷰를 요청했지만 아이 어머니는 아무 말도 하지 않았는데요.



지금의 논란이 아이에게 더 큰 상처가 될 거라며 걱정하고 있었습니다.



피해를 당한 학생의 학부모가 아닌 다른 학부모들도 동영상을 본 뒤 충격에 빠졌습니다.



<녹취> 해당 초등학교 학부모(음성변조) : "괘씸하더라고요. 아무리 거짓말을 해도 그렇지. 너무 하던데요."



<녹취> 해당 초등학교 학부모(음성변조) : "다른 학교 간다고 해서 그 선생님이 변하겠어요? 어차피 다른 학교로 가도 작더라도 피해는 (있을 거고) 안 변할 거란 생각이 들어요."



오 모 교사는 훈육을 위한 체벌이었다고 주장했습니다.



교육적 신념에 의해서 때린 것이지만 문제가 붉어진 것에 대해선 책임감을 느끼고 있다고 밝혔는데요.



교육이라며 행해진 지나친 체벌은 지난해부터 이어졌습니다.



학부모들은 계속해서 학교 측에 항의했지만 선생님의 폭행은 되풀이됐다는데요.



<녹취> 해당 초등학교 교감 선생님(음성변조) : "선생님이라는 자가 아무 이유도 없이 애들을 갖다가 재미로 폭행을 가하겠어요? 소신대로 교육을 하다 보니까 너무 아닌 거 같아서 바로 잡을라고 하다가 과잉행동 했습니다. 잘못했다고 하더라고 현재 동영상 속 교사는 학교에 나오지 않고 있습니다."



<녹취> 해당 교육청 관계자 : "현재는 직위해제 된 상태고요. 교사로써의 어떠한 역할도 수행 할 수 없는 상태입니다. 그 이후에 대해서는 저희가 말씀드릴 게 없습니다. 징계위원회에서 결정하는 것이기 때문에..."



이 학교의 또 다른 교사도 학생들에게 폭력을 행사하고 있다는 주장이 학부모회와 학생들 사이에서 나오고 있습니다.



<녹취> 해당 초등학교 학생(음성변조) : "ooo! 진짜 악몽이었어요. 친구하고 장난쳐서 엎드려서 뻗쳐하고 있었거든요. 이유 없이 배를 걷어찼어요."



학교에선 다른 폭행 사건은 보고 받은 바가 없다고 부인하고 있었는데요.



<녹취> 해당 초등학교 교감 선생님(음성변조) : "선생님이 애들 심하게 구타하고 이런 건 없습니다. 학부모 불만이라든가 그런 것은 나한테 접수되지 않았습니다."



이틀 전, 학교는 학부모들을 소집했습니다.



교장 선생님은 절까지 하며 사과했는데요.



사건을 덮기에 급급한 모습이었습니다.



<녹취> 해당 초등학교 교장 선생님 : "이제 그만 그 어린이가 매를 그만 맞게 해주십시오. 교실에서의 한 번으로 족합니다. 이 자리 빌려서 사과드립니다. 넓으신 마음으로 용서 해 주십시오."



지난 15일, 사건이 붉어졌을 때 학부모 대다수는 해당 교사를 전출시키고 아이들에게 심리치료를 해준다면 더 이상 문제 삼지 않겠다고 학교 측과 합의했습니다.



하지만 그 뒤 학교가 폭력 행위를 은폐하려고하자 교육청에 다시 진정서를 낼 것이라며 입장을 바꿨습니다.



<인터뷰> 이빈파(대표/ 평등교육실현을 위한 서울학부모회) : "(학부모에게) 이 문제를 축소하게 해 달라는 요청을 한 대요. 더 많이 화가 나는 게 교장도 마찬가지고, 교사도 마찬가지고, 형식적으로 사람들한테 사과하는 척하고 있으나 본질의 문제는 왜곡하고 스스로 반성하고 있지 않다는 게 보여서..."



초등 교사들의 과잉체벌 논란은 이 학교뿐만이 아니었습니다.



도를 지나친 체벌은 계속됐는데요.



아이에게 책을 집어 던지고 연이어 뺨을 때리는가 하면 빗자루로 사정없이 아이를 때립니다.



아파서 울지만 매질은 계속됩니다.



과한 체벌은 보는 아이도 정신적 충격을 받기는 마찬가지.



한 학부모는 선생님의 심한 체벌 탓에 아이를 대안 학교로 전학 보냈습니다.



<녹취> OO대안학교 학부모 서모씨(음성변조) : "다른 친구가 맞는 것에 대해서 굉장히 스트레스를 많이 받았지요. 그런 일이 나한테도 있을 수 있다는 생각이 나고 그 교실에 정말 들어가고 싶지가 않대요."



교육 방법으로 체벌을 선택하고, 체벌 자체에 대해 안일하게 생각하는 교사의 태도에 대해서도 안타까워했습니다.



<녹취> OO대안학교 학부모 서모씨(음성변조) : "때리는 문제 뿐 아니고 사실은 때리는 체벌을 선택하는 선생님은 그것만이 문제라고 볼 수는 없어요. 여러 가지, 그러니까 아이들을 지도하는 방식이나 어떤 교과 과정을 충실히 이행해야지..."



교육이라는 명분으로 학교에서 행해지고 있는 신체적. 정신적 폭력들. 아이들도, 학부모도 학교에 대한 신뢰가 떨어지게 되는데요.



<인터뷰> 이빈파(대표/평등교육실현을 위한 서울학부모회) : "교육 과정에서 엄청난 스트레스가 쌓이면서 실제 교육의 행위 보다는 자기감정 추스르는 심성 훈련이 안 된 거죠. 아이들은 그 자체가 인권이 있는 것이고 아이들을 인간으로 대한다면 어떤 교도대상이나 통제 대상으로 안 보면 이런 체벌 없어질 것으로 보입니다."



선생님의 사랑의 매, 지금 아이들에게는 사랑이 아닌 상처로만 남았습니다.



<녹취>초등학교 피해 학생들(음성변조) : "차라리 (매) 맞으면 아픔도 그나마 빨리 가는데 그거는 생각이 계속 남아서 (마음이) 약간 좀 그래요."



<녹취>초등학교 피해 학생들(음성변조) : "선생님이 칭찬하려고 손만 들어도 이렇게 움츠러들어요. 무서워요. 때릴까봐."



학교에서 행해지고 있는 과도한 체벌.



물론 일부 교사에 국한 된 문제일 것입니다.



하지만 어린 아이들에게 모멸감과 수치심까지 주는 체벌은 오히려 후유증을 낳고 있습니다.



해외의 경우, 유럽은 집단 체벌을 포함한 모든 종류의 체벌을 원칙적으로 금지하고 있습니다.



미국도 대부분의 주가 체벌을 금지한 상태, 이는 교육적 효과보다 부작용이 더 크다는 판단 때문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KBS 뉴스 이미지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