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해설] 백신 접종 후 사후관리가 더 중요

입력 2010.12.27 (07:22)

수정 2010.12.27 (16:30)

[서진교 객원 해설위원]



지난 달 29일 경북 안동에서 시작된 구제역이 강원도 횡성까지 확산되자 정부는 기존 매몰처분과 함께 오염 정도가 심한 일부 지역에 대해서는 구제역 대책의 최후 수단인 예방백신을 접종키로 했습니다.



이에 따라 어제부터 경북 안동과 예천, 경기 파주, 고양, 연천 등 다섯 개 시군 13만 3천여 마리의 소를 대상으로 백신접종이 시작되었습니다. 여타 지역에 대해서는 종전대로 살처분.매몰방식으로 대처하되 구제역이 더 번지게 되면 백신 접종지역을 확대하는 방안도 검토하기로 했습니다.



이번 구제역 사태로 지금까지 전국적으로 33만여 마리의 가축이 살처분․매몰되었습니다. 한우 산지가격이 마리당 500만원 안팎이고, 비육돈 돼지도 마리당 30만원 정도이니 이미 살처분된 가축의 피해 규모만 해도 3천억원이 넘습니다. 여기에는 이번 구제역 사태로 인한 방역비용이라든지 백신접종 비용, 그리고 당장 생계가 어려운 축산농가에 대한 가계자금과 같은 지원은 제외된 것입니다.



문제는 이번 구제역 사태로 인한 피해가 이것으로 그치지 않는다는 데 있습니다. 백신접종 이후에도 사후관리를 위한 비용이 들어갑니다. 예방접종 후 면역 형성을 확인해야 할 뿐만 아니라 그 사이에도 구제역에 감염되어 살처분 가축 수가 늘어날 수도 있습니다. 아울러 살처분 후 매몰된 가축의 침출수로 인해 지하수가 오염되는 것을 막는데도 적지 않은 돈이 들어갑니다. 지난해 우리나라의 돼지고기 수출이 170만 달러를 넘었는데, 당분간 돼지고기 수출도 어려울 것입니다.



그러나 무엇보다도 우려되는 점은 이번 구제역 발생으로 인해 축산물 소비가 위축되어 구제역에 걸리지 않은 소나 돼지 가격도 덩달아 급락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소의 경우는 그렇지 않아도 공급과잉으로 금년 봄부터 가격이 하락해 왔는데, 엎친 데 덮친 격으로 소비위축사태 마저 일어난다면 우리 축산업 전체가 크게 흔들릴 수 있습니다.



이번 백신접종과 방역대책이 효과를 발휘해 더 이상 구제역이 확산되지 않는다면 6개월 이후 에는 다시 구제역 청정국가의 지위를 신청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정부와 축산 농가는 물론 국민 모두가 구제역 확산방지와 사후관리에 힘을 모아야 할 때입니다. 가족같이 키우던 소를 안락사시켜 땅속에 묻어야만 하는 축산농가의 애환과 강추위 속에서 한 달여를 불철주야 구제역 확산방지에 힘쓴 방역공무원들의 노고를 헛되게 만들 수는 없습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