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멘트>
'일본군 위안부' 표현이 고등학교 역사교과서에 들어갑니다.
중학교와 마찬가지로 자유민주주의와 독재 관련 용어도 포함됩니다.
유동엽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2014년부터 사용될 고교 역사 교과서에 '일본군 위안부' 강제동원 관련 표현과 자유민주주의 등의 용어가 수록됩니다.
교육과학기술부는 이 같은 내용이 담긴 고교 역사교과서 집필기준을 확정해 발표했습니다.
당초 공청회안에서 빠져 논란이 됐던 '징용, 징병' '일본군 위안부' 표현은 집필기준에 포함됐습니다.
집필기준에는 "태평양 전쟁 당시 일본군이 '일본군 위안부'와 징용·징병 등 강제 동원과 물적 수탈을 강행했다"는 내용이 명시됐습니다.
5·18 민주화 운동, 6월 민주항쟁 등 민주화 운동과 제주 4·3 사건, 친일파 청산 노력 등도 포함됐습니다.
학계에서 쟁점이 됐던 자유민주주의, 한반도의 유일한 합법정부, 독재 관련 표현은 지난달 확정 발표된 중학교 집필기준과 같은 원칙에 따라 서술됐다고 교과부는 밝혔습니다.
전국경제인연합회가 요청했던 정주영·이병철 등 경제인에 대한 서술은 집필기준에서 제외됐지만 집필진 판단에 따라 교과서에 자유롭게 담을 수 있습니다.
교과부는 '2009 개정 교육과정' 적용을 위해 국사편찬위원회로부터 제출받은 집필기준을 심의를 거쳐 확정했으며 이 기준을 교과서 검정 심사에서 평가 준거자료로 쓸 방침입니다.
KBS 뉴스 유동엽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