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중진단] ‘음식물 쓰레기 대란’ 지자체 대비 소홀

입력 2013.01.15 (21:08)

수정 2013.01.16 (07:46)

<앵커 멘트>

서해바다에 음식물 쓰레기를 버리는 모습입니다.

올해부턴 이런 해양투기가 금지돼 모두 육상에서 처리해야하는데요.

시행 2주만에 음식물쓰레기 대란 조짐을 보이고 있습니다.

먼저 우한울 기자가 음식물쓰레기 수거과정을 따라가봤습니다.

<리포트>

아파트 단지의 음식물 수거 용기마다 쓰레기가 넘쳐 납니다.

이런 포화용기만 10여 개...

버릴 곳이 없자, 바닥에도 쓰레기 봉투들이 널렸습니다.

<녹취> 아파트 주민 : "애들보기도 안좋고 불결하고.고양이도 오갈 수도 있고 일단은 너무 보기가 안좋아요."

쓰레기 수거업체에도 음식물 쓰레기가 쌓였습니다.

바다에 버리던 음식물 폐수를 이제는 처리할 데가 없기 때문입니다.

<녹취> 처리업체 관계자 : "(언제까지 버틸 수 있을것 같아요?) 한 일주일정도...음식물 쓰레기는 계속 들어오는데 폐수 처리 어려움이 있다보니까. "

서울에서 하루 발생하는 음식물 폐수는 1,800여 톤, 이 가운데 바다에 버리던 1/3, 622톤을 이제는 처리해야 하지만 공공시설은 이미 포화상탭니다.

이곳 시설은 기본적으로 쓰레기 침출수 처리장이기 때문에, 들어오는 음식물 쓰레기 폐수를 무한정 처리할 수는 없습니다.

게다가 민간 업체들은 현재의 처리비용이 턱없이 낮다며, 추가 처리를 거부하고 있습니다.

<인터뷰> 이성기(음자협 관계자) : "그 금액 갖고는 음식물 폐수 처리비용도 안됩니다. 시에서 요구하는대로 처리하게 되면 다 도산할 위기에 처해있습니다."

민간 업체가 수거를 맡은 서울의 16개 구 가운데, 두 곳은 이미 심각한 상태... 나머지 구도 곧 닥칠 상황입니다.

KBS 뉴스 우한울입니다.

<앵커 멘트>

이런문제는 이미 오래전부터 예견됐습니다.

서울시가 바다에 버려온 음식물 폐수는 하루622톤 분량인데 이가운데 70%인 428톤과 그 처리비용을 모두 민간에만 떠맡겨 벅찼기때문입니다.

그렇다면 쓰레기처리를 책임지는 지자체는 뭘 했을까요.

이어서 박현 기자가 전해드립니다.

<리포트>

수도권 매립지의 음식물 폐수 처리 시설...

하루 5백 톤의 처리용량으로 음식물 폐수의 해양투기가 금지되는 이달부터 가동에 들어가야 하지만, 아직도 공사중입니다.

<녹취> 공사 관계자(음성변조) : "올해 6월 26일 준공입니다. (지금도 처리할 수 있어요?) 지금 당장은 (음식물 쓰레기) 받아서 처리는 못 하고요. 7개월 정도 늦어졌죠"

서울과 인천, 경기도가 공동으로 지어 각각 하루 수백 톤씩의 음식물 쓰레기를 처리하기로 한 상황.

하지만 완공이 늦어지면서 수도권 전역 하루 5백 톤의 음식물 폐수는 갈 곳을 못찾고 있습니다.

대란은 이미 예견됐습니다.

<녹취> "수도권 매립지 음폐수 처리시설 준공이 지연될 예정이다...(해양투기 금지의) 6개월 이상의 유예기간이 필요하다."

서울시의 내부문건...

해양투기가 금지된 음폐수 622톤의 대부분을 민간업체에 넘기게 돼 있습니다.

<인터뷰> 이부우(서울시 음식물 자원화 팀장) : "직원들이 실제 현장 조사를 거치면서 업체들이 충분히 음폐수를 처리할 수 있다라고 그 부분만 확인했습니다."

<인터뷰> 송인만(한국음식물류자원화 협회 총무위원장) : "우리만 죽기살기로 하고 있습니다. (민간한테만 떠맡긴 거예요 결국은..)음식물 처리라는 건 공공적인 부분입니다, 공공적인 부분을 왜 민간에서만..."

새해 벽두부터 빚어진 쓰레기 대란... 서울시의 안이한 대처가 부른 결과입니다.

KBS 뉴스 박현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KBS 뉴스 이미지
KBS 뉴스 이미지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