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멘트>
지난주 발생한 전남 여수산단 대림산업 폭발사고를 포함해 최근 산업현장에는 안전사고가 집중됐죠.
하나같이 앞서 발생한 사고 징후들을 방치했다는 공통점이 있습니다.
돌이킬 수 없는 피해를 입고 나서야 대책에 골몰하는 '사후약방문식' 안전관리, 언제까지 반복돼야 할까요.
보도에 우한울 기자입니다.
<리포트>
<녹취>"삼성전자 반도체 공장에서 3년 전에도 비슷한 사고가 발생했던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녹취> "사고 가능성이 상존했지만, 점검은 형식에 그쳤다는 이야깁니다."
17명의 사상자를 낸 대림산업 저장탱크 폭발도 징후는 분명했습니다.
9개월 앞선, 폭발 사고.
저장탱크는 맥없이 구겨졌고, 파이프는 엿가락처럼 휘었습니다.
하지만 사고 원인은 오리무중입니다.
<녹취> 대림산업 담당자 : "(사고원인은 뭘로 분석 됐나요?) 그거는 공개된 자료가 아니라서..."
<녹취> 노동부 산업안전 담당 : "공장에서 개선한 걸로 알고 있습니다. (그럼 어떻게 구체적으로 개선했는지..) 현재 확인해드릴 수 없습니다."
산업재해 통계 이론을 보면, 치명적 재해가 발생했을 때, 같은 원인으로 경상자 29명, 경미한 사고 300건이 앞서 발생한다는 게 정설입니다.
하지만, 이런 징후들을 감독해야 할 산업안전감독관은 전국에 300여 명뿐입니다.
미흡한 조치가 드러나도 건당 10만 원의 과태료만 내면 그만, 지난해 폭발사고 때도 마찬가지였습니다.
<인터뷰> 박두용(한성대 기계시스템 공학과) : "사고에는 항상 전조가 있습니다. 그 전조 잘 파악하는 것이 예방대책이죠. 정부의 관리감독이 시급하게 강화돼야되고."
뒤늦게 오늘부터 특별감독에 나서는 고용노동부. 사후약방문식 안전대책을 근본적으로 손질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습니다.
KBS 뉴스 우한울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