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리포트] 6.25 중국군 유해 중국에 직접 인계

입력 2013.07.01 (21:10)

수정 2013.07.01 (22:29)

<앵커 멘트>

서울을 수복한 유엔군이 압록강을 향해 진격하던 1950년 10월. 중국군이 한반도를 밀고 들어오기 시작합니다.

이때부터 전쟁이 끝날 때까지 투입된 중국군 병력은 58개 보병 사단, 연인원 135만 명에 달하는 것으로 추산됩니다.

대규모 참전이었던 만큼 인명피해도 적지 않아 유해 11만 4천여 구가 한반도에 묻혀 있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하지만 지금까지 중국으로 돌아간 유해는 40여 구에 불과합니다.

이번 방중기간 박근혜 대통령의 전격 제안에 따라 중국군 유해를 찾아 돌려주는 작업이 급물살을 탈 것으로 보입니다.

박진영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경기도 파주의 한 야산에 작은 묘비들이 줄지어 서 있습니다.

6.25 전쟁 당시 중국군과 북한군 유해가 묻혀 있는 묘집니다.

일반인들은 '적군 묘지'라고 부릅니다.

한 중국군이 안장된 묘지 비석입니다.

우리 정부에 의해 수습된 308번째 유해가 안치된 곳으로 강원도 인제전투에서 전사한 것으로 적혀 있습니다.

이곳에 있는 중국군 유해는 367굽니다.

<인터뷰> 김정태(상사/육군 25사단) : " 비록 적군묘지이지만 인도주의적 차원에서 주기적으로 묘역을 관리해 오고 있습니다."

정부는 1997년까지 중국군 유해 43구를 군사정전위원회를 거쳐 북한을 통해 중국으로 보냈습니다.

하지만, 이번에는 외교채널을 통해 중국에 직접 인계할 가능성이 큽니다.

북한이 정전위원회를 부정하면서 협의를 거부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녹취> 김민석(국방부 대변인) : "북한 쪽에서 이에 관한 대화가 전혀 되지 않기 때문에...중국정부로서 중국군의 유해는 당연히 가져갈 수 있지 않겠습니까?"

이에 따라 유해발굴 감식단에서 안장된 중국군 유해를 수습한 뒤 항공편을 통해 중국 정부에 전달하는 방안이 검토되고 있습니다.

국방부는 이번 유해 송환이 이뤄질 경우 전사자 확인 등을 위한 한중간 교류가 정례화될 가능성이 있을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KBS 뉴스 박진영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KBS 뉴스 이미지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