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뉴스] IOC, 올림픽 분산 개최 허용…대응 방안은?

입력 2014.12.09 (21:07)

수정 2014.12.09 (22:26)

<기자 멘트>

<인터뷰> 토마스 바흐(IOC 위원장) : "'어젠다 2020'안건을 반대하시는 분 있습니까? 만장일치로 통과됐습니다. IOC가 역사적인 진전을 이뤄냈습니다."

보신 것처럼 국제올림픽위원회가 '어젠다 2020'이라는 개혁안을 만장일치로 통과시켰습니다.

그 주요 내용은 올림픽의 도시-국가간 분산 개최를 가능하도록 한 건데요.

경제적이고 효율적인 올림픽을 치르기 위한 고육지책입니다.

그렇다면, IOC는 왜 이런 변화를 시도하는 걸까요?

먼저, 김도영 기자입니다.

▼‘승자의 저주’, 올림픽 개최 후유증 어떻길래?▼

<리포트>

세계의 주목을 받았던 아테네의 한 경기장.

쓰레기만 뒹굴고 있습니다.

500억 원짜리 태권도 경기장 관중석엔 잡초가 무성합니다.

<녹취> 카프랄로스(아테네 올림픽 조직위원장) : "올림픽을 개최하기 위해 경기장 건설을 마치는 것에 대해서만 생각했습니다"

올림픽으로 16조 원의 적자를 본 그리스는 경기 침체에 허덕이고 있습니다.

올림픽 후 재정적 위기에 빠지는 이른바 '올림픽의 저주'는 그리스뿐만이 아닙니다.

53조 원을 들인 소치 동계올림픽은 시설 관리에만 한해 2조원을 쏟아 붇고 있습니다.

올림픽이후 캐나다 밴쿠버시는 11조 원의 적자를 떠안았고 시드니는 시설물 관리에 연 350억 원을 씁니다.

나가노 역시 적자가 50% 이상 늘었습니다.

올림픽 개최를 기준으로 이듬해부터 경제성장률이 크게 떨어져 이후 8년까지 낮은 성장률을 보인다는 분석도 있습니다.

<인터뷰> 패트릭 리셰(스포츠 효과 분석가) : "올림픽 비용이 너무 높습니다. 시설은 결국 사용되지 않고 장기적으로 경제적인 손해를 끼칩니다"

지난 10월 노르웨이 오슬로는 반대 여론에 밀려 2022 동계올림픽 유치 신청을 결국 철회했습니다.

IOC는 종목을 분산할 후보 도시 12곳을 다음 주 평창조직위에 통보하고, 내년 3월까지 최종 결정하도록 요청할 계획입니다.

▼가상 분석 ‘평창’ ‘더쿄’ 분산 개최 이해득실▼

<기자 멘트>

당장 우리에게 떨어진 발등의 불은 평창올림픽입니다.

평창이 2020년 도쿄 하계 올림픽과 일부 종목을 나눠서 개최한다면 어떤 이해득실이 있을까요?

IOC가 직접 거론한 알펜시아 슬라이딩 센터를 예로 들어보겠습니다.

여기에선 봅슬레이와 루지, 스켈레톤같은 썰매 종목이 열립니다.

총 공사비는 1228억 원인데, 국가가 921억 원, 강원도가 307억 원을 부담하게 됩니다.

매년 유지 비용만 최대 50억 원 정도 들것으로 보입니다.

현재 공정률이 12.5%니까 약 600억 원 정도의 매몰 비용이 발생하더라도 건설을 중단하고,

이미 경기장을 갖고 있는 일본 나가노 등에서 치르는 게 효율적이라고 IOC는 판단하고 있습니다.

대신 2020년 도쿄 하계올림픽 종목중에 흥행이 보장되는 태권도나 양궁을 강원도에 유치하면 일석이조라는거죠.

그러나, 국민들의 정서적인 상실감과 지역 경제 활성화에 악영향을 미치는 건 감수해야 할 부분입니다.

또한 동계 스포츠 강국으로 도약할 수 있는 소중한 발판을 잃게 되는 아쉬움도 있습니다.

이처럼 이해관계가 복잡하다 보니, IOC의 제안을 무조건 거부하기보다 합리적인 대응방안을 마련해야 한다는 지적입니다.

김기범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거부만이 능사…합리적 대응 전략 찾아야▼

<리포트>

3번의 도전 끝에 감격적인 유치에 성공한 평창올림픽.

하지만 일본과의 분산 개최론에 평창 주민들은 당혹감을 감추지 못하고 있습니다.

<인터뷰> 평창 주민 : "어렵게 따낸 건데 이렇게 분산 개최하다니"

반면 개점 휴업중인 동계올림픽 시설을 다시 활용할 수 있게 된 일본 여론은 대부분 고무적인 반응입니다.

우리에게는 위기이자, 동시에 기회가 될 수 있습니다.

현재 강원도 평창을 중심으로 신축 경기장은 모두 7곳.

건설 비용만 7천 억원이 훨씬 넘는 천문학적인 돈이 투입돼야 합니다.

이 때문에 분산 개최가 재정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는 논리로 설득력을 얻고 있습니다.

국민 정서상 일본과의 분산 개최까지는 실현 가능성이 낮지만, 국내 시설들을 적극 활용하는 방안이 대안으로 꼽힙니다.

강원도 외 지역인 무주스키장과 경기도 고양시의 빙상장 등을 활용하는 방안입니다.

<인터뷰> 정용철(서강대 스포츠심리학과 교수) : "어느 정도 합리적인 수준에서 분산을 하는 것이 낳지 않느냐는 의견이고요. IOC가 제시한 방안보다는 우리나라에서 공론화 과정을 거쳐 해결방안을 찾아야 합니다"

최종 결정은 평창 조직위의 몫인 만큼, 이제부터는 IOC와의 긴밀한 협의를 통해 최대한의 실리를 챙기는 외교력이 요구되고 있습니다.

KBS 뉴스 김기범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KBS 뉴스 이미지
KBS 뉴스 이미지
KBS 뉴스 이미지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