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최근 미국에서 마약 중독으로 숨지는 한국인이 급증하고 있습니다.
4년 사이 두 배 이상 늘었을 정도로 증가 속도가 빠른데요.
특히 마약성 진통제인 펜타닐 중독이 많은데, 싼 값에 너무나 쉽게 구할 수 있어서 초등학생들까지 위험에 노출되고 있습니다.
황동진 특파원이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LA 코리아타운에 있는 한 주택가.
석 달 전 이 집에서 재미 교포 20살 박모 군이 숨진 채 발견됐습니다.
박 군에게서는 마약성 진통제인 펜타닐이 검출됐습니다.
로스앤젤레스 외곽에 있는 한 길가입니다.
이곳에서도 넉 달 전에 33살 신 모 씨가 숨진 채 발견됐습니다.
신 씨에게서도 펜타닐과 필로폰 성분이 검출됐습니다.
[오마르 레오나드/주민 : "와서 보니까 시신을 봉해놨더라고요. 흔히 이 지역에 오는 노숙자로 생각됐습니다."]
지난해 미국에서 약물중독과 과다복용으로 숨진 한국인은 105명으로 집계됐습니다.
2018년의 44명보다 2.4배나 많습니다.
문제는 해마다 늘고 있다는 점입니다.
이 시설에서는 매주 집단 상담을 진행합니다.
마약에 중독됐지만 재활을 원하는 사람들이 대상입니다.
합숙을 하며 마약중독을 치료하는데, 6개월 이상 마약을 끊으면 일상생활로 돌아갈 수 있습니다.
[유 모 씨/20살 : "13살, 14살에 시작해서 20살까지 했어요. 이제 안 하고 싶어요. 이제 막 제 삶을 찾았어요. 얼굴도 더 깨끗해졌고요."]
마약 중독 전문가들은 최근 마약 중독 사망자가 급증한 이유로 펜타닐 등 마약성 진통제를 꼽고 있습니다.
펜타닐은 헤로인보다 50배나 강하지만, 불과 몇천 원이면 쉽게 구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한영호/목사/미주한인마약퇴치센터 : "펜타닐이라는 그 약이 2달러면 사요. 2달러. 초등학생들까지 손을 댈 수 있는... 그런 단계까지 온 거죠. 지금은."]
약물 중독 등으로 한 해 숨진 미국인 10만여 명 중에 3분의 2가 펜타닐과 같은 마약성 진통제 때문입니다.
로스앤젤레스에서 KBS 뉴스 황동진입니다.
촬영:유원규/영상편집:김지영/자료조사:유승우 조영은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