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5월 가정의 달을 맞아 우리 사회의 다양한 돌봄 문제 살펴보고 있습니다.
오늘(18일)은 가정에서 벗어나 홀로서기에 나선 가정 밖 청소년들의 문제 짚어봅니다.
가정 밖 청소년.
5만 명이 넘는 걸로 추정되지만 이들의 자립은 막막한 실정입니다.
먼저 여소연 기잡니다.
[리포트]
어릴 때부터 아버지의 폭력에 시달린 A 씨.
16살 즈음, 경찰이 오고서야 자신이 학대 피해자라는 걸 깨달았습니다.
[A씨/쉼터 퇴소 청소년 : "피투성이로 쫓겨났는데 그때 이웃 주민이 신고를 해주셔서 그때 처음으로 제가 받고 있는 게 아동학대라는 걸 알게 돼서…"]
청소년 쉼터에서도 폭력이 이어졌고, 결국 혼자 모든 걸 책임져야 했습니다.
[A씨/쉼터 퇴소 청소년 : "종교에 대한 부분을 조금 강요하는 부분도 있었고, 성인인 청소년이 10살 (청소년)을 발로 걷어차거나 안에서의 폭력도 있었고..."]
이런 가정밖 청소년들은 성인이 된 뒤에도 정부가 주는 자립정착금을 받지 못합니다.
[A씨/쉼터 퇴소 청소년 : "'부모님의 존재가 삶을 힘들게 하거나 상처를 줬던 친구들인데 왜 그 친구들이 부모님이 있다고 해서 지원을 못 받아야 하지?'라는…"]
자립정착금은 보건복지부에서 정한 보호시설에서 지낸 청소년들에게만 지원되기 때문입니다.
청소년쉼터 등 여성가족부나 법무부에서 관리하는 시설에서 지낸 가정밖청소년은 자립수당 등에서 지원에 차이를 겪습니다.
똑같이 유년시절부터 부모로부터 보살핌을 받지 못했지만 지원은 크게 차이가 나는 겁니다.
[구준선/초록우산 경기지역본부 사회복지사 : "가정 해체나 아동학대나 그런 어려움으로 입소하는 친구들도 굉장히 많이 있거든요. 사유나 이런 부분을 확인을 해서 자립지원을 받을 수 있으면 좋겠다."]
'가정밖 청소년'의 규모는 5만 6천여 명으로 추정되지만, 지난 3월 기준 자립지원수당을 받은 사람은 207명에 불과합니다.
KBS 뉴스 여소연입니다.
촬영기자:서원철/영상편집:신남규/그래픽:최창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