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지난달 필리핀 가사관리사 100명이 국내에 들어왔습니다.
한달간 교육을 받고 서울 시내 가정 백여 곳에 출근했는데, 2주도 되지 않아 2명이 숙소를 나가 돌아오지 않고 있습니다.
정확한 이탈 이유는 밝혀지지 않았습니다.
저출생 극복을 위한 시범사업이 이렇게 초반부터 삐걱거리며, 제도 개선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옵니다.
최유경 기잡니다.
[리포트]
추석 연휴였던 지난 15일, 가사관리사 2명이 20여 분의 시차를 두고 공동 숙소를 나간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한 명은 휴대전화를 들고 나갔지만 아직 연락이 닿지 않고 있습니다.
업무 시작 2주 만인데 소재를 찾지 못하면 불법체류자 신분이 될 수 있습니다.
정부와 서울시는 즉시 사태 파악과 수습에 나섰습니다.
[김선순/서울시 여성가족실장 : "저희가 정말 예상하지 못했던 여러 돌발 상황이 있어서 사실은 숙제도 좀 많이 있는 것 같습니다."]
현장의 목소리를 들어봤습니다.
하루에 많게는 세 가정을 돌며 일했던 가사관리사들은 이동시간에 대한 부담을 털어놨고, 밤 10시 숙소 복귀 지침에 대한 불만도 나왔습니다.
[조안/필리핀 가사관리사 : "밖에서 사회 활동을 하고 싶습니다. 성인이기 때문에, 시간을 어떻게 보낼지 결정할 자유가 있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또 제조업에서 일하는 외국인 근로자들보다 근로시간은 적고, 월 45만 원가량의 숙소비까지 공제하는 만큼, 실수령액이 기대에 못 미치지 않겠냐는 목소리도 있습니다.
[조혁진/한국노동연구원 연구위원 : "불법으로 일을 하더라도 돈을 더 많이 받을 수 있고, 일자리의 질을 그대로 둔 채 외국인의 공급을 늘린다고 한들 이것이 지속가능한 서비스와 믿고 맡길 수 있는 서비스가 될지는 약간 의문이다…."]
정부와 서울시는 7개월의 짧은 시범사업 기간도 이탈 요인이 될 수 있다고 보고, 최대 3년까지 취업활동기간을 연장하기로 했습니다.
또 월급제 대신 주급제, 격주급제도 허용하는 등 가능한 대책부터 우선 추진하기로 했습니다.
KBS 뉴스 최유경입니다.
촬영기자:이경구/영상편집:박경상/그래픽:김지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