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어제(4일) 윤석열 대통령 탄핵 심판 변론 막바지에 정치인 체포 지시 의혹을 놓고 공방이 벌어졌습니다.
싹 다 잡아들이란 말이 어떤 취지였는지, 누구를 잡으란 건지, 증언이 맞섰습니다.
강푸른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비상계엄 선포 직후인 밤 10시 53분.
홍장원 전 국가정보원 1차장은 윤석열 대통령의 전화를 받습니다.
"이번 기회에 싹 다 잡아들여", "대공 수사권을 줄 테니까, 방첩사를 도와 지원해"라고 했다는 게 홍 전 차장의 진술입니다.
그럼, 윤 대통령의 입장은 어떨까요?
계엄 직후이긴 했지만, 당시 통화는 "계엄과 무관한, 격려 차원의 전화"였다고 윤 대통령은 주장했습니다.
"간첩 검거와 관련해 방첩사를 도우라고 한 것"이라고도 했는데, 홍 전 차장은 "간첩 이야기는 나온 적 없다"고 했습니다.
대신 "누굴 잡아야 한다는 부분까지 전달받지 못했다"라고도 했는데요.
결국 홍 전 차장은 10여 분 뒤인 밤 11시 6분, 여인형 전 방첩 사령관과 직접 통화를 합니다.
홍 전 차장은 이 통화에서 여 전 사령관이 "체포조"라는 단어를 사용하며 명단을 열거했다고 말했습니다.
홍 전 차장이 당시 대화 내용과 명단을 받아 적었다는 메모가 어제 변론에서 공개되기도 했습니다.
이 메모엔 "검거를 요청, 위치 추적과"라는 문구가 있는데요.
이 부분에 대해 여 전 사령관은 진술을 거부했습니다.
다만, 조지호 경찰청장과의 통화에서 특정 명단에 대한 위치 추적을 요청한 사실은 인정했습니다.
윤 대통령이 누구의 체포를 지시한 건지, 방첩사가 어떤 활동을 한 건지 다양한 진술이 나오는 가운데, 이제 헌법재판소의 탄핵 심판 변론 기일은 모두 세 번 남았습니다.
비상계엄의 밤, 명단을 들었다는 또 한 명의 핵심 인물, 조지호 경찰청장은 오는 13일 오후 증인 신문이 예정돼 있습니다.
KBS 뉴스 강푸른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