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무안공항에서 발생한 제주항공 여객기 참사 이후 넉 달 만에 정부가 항공 안전대책을 내놨습니다.
이미 발표됐던 방위각 시설, 로컬라이저 개선 방안 외에 항공기 정비시간을 늘리고 정비사 경력기준을 강화하는 등의 안전 개선 방안이 포함됐습니다.
조류 충돌 예방을 위해 드론도 다시 도입합니다.
이승철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179명의 사망자를 낸 12.29 여객기 참사.
사고 원인으로 지목됐던 조류 충돌 예방을 위해 조류탐지 레이더 외에 정부가 새로 내놓은 방안은 '드론'입니다.
군집 드론 기술로 최대 20대의 드론을 띄워 새 떼를 쫓는다는 겁니다.
이른바 '버드 돔'입니다.
[주종완/국토교통부 항공정책실장 : "조류 접근 방지용 드론을 민군 겸용 공항을 중심으로 우선 투입하고 기능을 고도화하며 민간 공항으로도 확대해 나가겠습니다."]
항공기 운행 안전에 대한 불안을 해소하기 위한 방안으로는 정비 시간을 늘리기로 했습니다.
점검 유형과 기종에 따라 짧게는 2분, 길게는 8분까지 늘립니다.
정비사 경력기준도 2년에서 3년으로 강화합니다.
또, 그간 높다고 지적된 항공기 가동률을 관리하기 위해 정부의 감독 기능도 강화합니다.
[주종완/국토교통부 항공정책실장 : "항공기 가동률이 높거나 결함 지연이 잦은 항공사는 특별 안전 점검 또는 민간 합동 정비 현장 검증을 실시할 계획입니다."]
마지막으로 항공사고로 사망자가 발생하는 항공사는 사고 발생일로부터 1년간 신규 운수권 배분을 전면 배제하기로 했습니다.
소급 적용을 할 수 없어 이번에 사고가 난 제주항공은 대상이 아닙니다.
방위각 시설을 부러지기 쉬운 구조로 개선하고 활주로 이탈 방지 장치를 설치하는 등의 공항 인프라 시설 개선 방안은 지난 1월 발표한 그대로 추진됩니다.
KBS 뉴스 이승철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