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이저 등을 이용한 인공선탠 조심
입력 2000.08.08 (21:00)
수정 2018.08.29 (15:00)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요즘 레이저나 자외선이 미용이나 치료 목적으로 다양하게 이용되고 있습니다.
그러나 이런 레이저 의료기기나 자외선을 이용한 인공 선탠기 등이 눈이나 피부에 심각한 후유증을 남길 수 있는데도 규제가 전혀 없습니다.
차운자 기자의 취재입니다.
⊙기자: 손 모씨는 얼굴에 있는 손톱자국을 없애기 위해 3년 전 피부과에서 레이저 치료를 받았습니다.
그러나 피부가 고와지기는 커녕 얼굴 피부 전체가 얼룩덜룩해 졌습니다.
연필로 금을 그은 듯 주름도 생겼습니다.
⊙레이저 박피술 피해환자: 붉은 게 그 자체로 화상입은 사람처럼 양쪽 볼이 그랬었거든요.
⊙기자: 고도의 전문성이 요구되는 레이저 시술이 무분별하게 늘어나면서 이처럼 피부나 눈에 후유증을 남기는 사례가 최근 크게 늘고 있습니다.
⊙김진왕(성형외과 전문의): 레이저가 과다 노출되게 되면 조직이 응고하고 괴사가 진행되기 때문에 상처회복 기간이 길어져서 그만큼 위험부담률이 늘게 됩니다.
⊙기자: 자외선 기기 또한 마찬가지입니다.
인공선탠을 하다 화상을 입어 피부 색깔이 변한 환자들입니다.
인공선탠기의 자외선은 태양광선의 자외선보다 방출량이 2배 이상 많기 때문에 반드시 안전수칙을 지켜야 합니다.
⊙김덕원(교수/연세의대 의학공학교실): 우리나라에서는 피부미용실이라든가 이런 데서 자격이 없는 사람들이 그걸 설치해서 사용을 하기 때문에 문제가 생길 수가 있겠죠.
⊙기자: WHO에서는 레이저나 인공 선탠에 대해 시간과 횟수를 규제할 것을 권고하고 있지만 국내에는 규제 기준이 전혀 마련되어 있지 않습니다.
KBS뉴스 차운자입니다.
그러나 이런 레이저 의료기기나 자외선을 이용한 인공 선탠기 등이 눈이나 피부에 심각한 후유증을 남길 수 있는데도 규제가 전혀 없습니다.
차운자 기자의 취재입니다.
⊙기자: 손 모씨는 얼굴에 있는 손톱자국을 없애기 위해 3년 전 피부과에서 레이저 치료를 받았습니다.
그러나 피부가 고와지기는 커녕 얼굴 피부 전체가 얼룩덜룩해 졌습니다.
연필로 금을 그은 듯 주름도 생겼습니다.
⊙레이저 박피술 피해환자: 붉은 게 그 자체로 화상입은 사람처럼 양쪽 볼이 그랬었거든요.
⊙기자: 고도의 전문성이 요구되는 레이저 시술이 무분별하게 늘어나면서 이처럼 피부나 눈에 후유증을 남기는 사례가 최근 크게 늘고 있습니다.
⊙김진왕(성형외과 전문의): 레이저가 과다 노출되게 되면 조직이 응고하고 괴사가 진행되기 때문에 상처회복 기간이 길어져서 그만큼 위험부담률이 늘게 됩니다.
⊙기자: 자외선 기기 또한 마찬가지입니다.
인공선탠을 하다 화상을 입어 피부 색깔이 변한 환자들입니다.
인공선탠기의 자외선은 태양광선의 자외선보다 방출량이 2배 이상 많기 때문에 반드시 안전수칙을 지켜야 합니다.
⊙김덕원(교수/연세의대 의학공학교실): 우리나라에서는 피부미용실이라든가 이런 데서 자격이 없는 사람들이 그걸 설치해서 사용을 하기 때문에 문제가 생길 수가 있겠죠.
⊙기자: WHO에서는 레이저나 인공 선탠에 대해 시간과 횟수를 규제할 것을 권고하고 있지만 국내에는 규제 기준이 전혀 마련되어 있지 않습니다.
KBS뉴스 차운자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레이저 등을 이용한 인공선탠 조심
-
- 입력 2000-08-08 21:00:00
- 수정2018-08-29 15:00:00

⊙앵커: 요즘 레이저나 자외선이 미용이나 치료 목적으로 다양하게 이용되고 있습니다.
그러나 이런 레이저 의료기기나 자외선을 이용한 인공 선탠기 등이 눈이나 피부에 심각한 후유증을 남길 수 있는데도 규제가 전혀 없습니다.
차운자 기자의 취재입니다.
⊙기자: 손 모씨는 얼굴에 있는 손톱자국을 없애기 위해 3년 전 피부과에서 레이저 치료를 받았습니다.
그러나 피부가 고와지기는 커녕 얼굴 피부 전체가 얼룩덜룩해 졌습니다.
연필로 금을 그은 듯 주름도 생겼습니다.
⊙레이저 박피술 피해환자: 붉은 게 그 자체로 화상입은 사람처럼 양쪽 볼이 그랬었거든요.
⊙기자: 고도의 전문성이 요구되는 레이저 시술이 무분별하게 늘어나면서 이처럼 피부나 눈에 후유증을 남기는 사례가 최근 크게 늘고 있습니다.
⊙김진왕(성형외과 전문의): 레이저가 과다 노출되게 되면 조직이 응고하고 괴사가 진행되기 때문에 상처회복 기간이 길어져서 그만큼 위험부담률이 늘게 됩니다.
⊙기자: 자외선 기기 또한 마찬가지입니다.
인공선탠을 하다 화상을 입어 피부 색깔이 변한 환자들입니다.
인공선탠기의 자외선은 태양광선의 자외선보다 방출량이 2배 이상 많기 때문에 반드시 안전수칙을 지켜야 합니다.
⊙김덕원(교수/연세의대 의학공학교실): 우리나라에서는 피부미용실이라든가 이런 데서 자격이 없는 사람들이 그걸 설치해서 사용을 하기 때문에 문제가 생길 수가 있겠죠.
⊙기자: WHO에서는 레이저나 인공 선탠에 대해 시간과 횟수를 규제할 것을 권고하고 있지만 국내에는 규제 기준이 전혀 마련되어 있지 않습니다.
KBS뉴스 차운자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