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중취재] ① 4년간 은폐…국회도 속여

입력 2006.05.08 (22:28) 수정 2006.05.08 (23:12)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국민방독면의 불량가능성 의혹은 그동안 수차례 제기됐습니다.

행정당국은, 지난 4년동안 국회까지 속이며 불량 방독면의 존재를 은폐해 왔습니다.

탐사보도팀 임장원 기자입니다.

<리포트>

국민방독면의 성능에 처음 의혹이 제기된 것은 2002년 9월, 당시 한 방독면 제조업체가 행정자치부에 보낸 문서입니다.

방독면 정화통의 성능에 문제가 있다며, 보급중지를 건의합니다.

자체 검사 결과, 3분뒤 일산화탄소 농도가 최고 천4백ppm도 넘게 검출됐다는 구체적인 데이터까지 제시했습니다.

두 달 뒤, 행자부가 보내온 회신.

성능검사를 해본 결과, 이상이 없었다는 답변입니다.

그러나, 실제로는 보급된 방독면을 검사한 게 아니라, 검사장비의 이상 여부만 시험했던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인터뷰> 소방방재청 (당시 행자부 관계자) : "(저희들은) 전반적인 내용에 대해 성능검사를 의뢰했는데, (검사기관으로부터) 검사방법에 대해서만 (회신이) 왔습니다."

문제를 제기한 업체가 다시 검사를 촉구하자, 이번엔 연말연시와 혹한기를 피해서 내년 3월 이후에나 검사하자는 답변이 돌아옵니다.

2003년 들어서도 결국 검사는 이뤄지지 않다가, 9월 국정감사에서 민봉기 의원이 2001년과 02년에 보급된 방독면을 재검사할 것을 공식 요구합니다.

이번에도 행자부는 기준치보다 월등히 우수했다며 성능검사 결과를 내놓습니다.

그러나, 행자부가 검사한 방독면은 2001~2년 보급 제품이 아니라 당시 신제품이었던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인터뷰> 소방방재청 (당시 행자부 관계자) : "(검사한) 화재용 정화통은 언제 것을 쓰셨는지? 그 당시(2003년 11월)에 생산된 것을 가지고 했습니다."

행자부가 국회까지 우롱하면서 불량품 검사를 피해나가던 2004년 1월, 경찰청이 불량 방독면 보급 사실을 적발해냅니다.

그러자, 행자부는 최초 생산품 17만개를 리콜하고 있으며, 나머지는 문제가 없다는 보도자료를 발표합니다.

그러나, 당시 생산된 110만개 가운데 93만개에 대해선 검사를 하지 않은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인터뷰> 소방방재청 (당시 행자부 관계자) : "그 당시 민방위팀의 분위기가... 17만개를 리콜하고 있는 와중에서 (경찰 수사가) 터졌으니, 그 안에 (불량품이) 포함돼있는 걸로 가는 거지..."

2004년 10월 국정감사장.

이번엔 박찬숙 의원이 리콜된 최초 생산품 말고도 불량 방독면이 더 있다며 재검사를 요구합니다.

<인터뷰> 박찬숙 (당시 국회 행자위원) : "이 문제를 추적하는 과정에서 발견한 것은 2002년 8월 이전 보급된 모든 제품이 리콜대상이라는 것입니다."

그러자, 2002년 8월 이전 제품은 모두 불량으로 판명돼 리콜중에 있다며, 아예 거짓 답변을 내놓습니다.

40만 개가 넘는 불량 방독면이 국민 생명을 위협해온 지난 4년 동안 행정당국은 국회까지 속여가면서 불량품의 존재를 덮기에 급급했습니다.

KBS 뉴스 임장원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집중취재] ① 4년간 은폐…국회도 속여
    • 입력 2006-05-08 21:06:03
    • 수정2006-05-08 23:12:29
    뉴스 9
<앵커 멘트> 국민방독면의 불량가능성 의혹은 그동안 수차례 제기됐습니다. 행정당국은, 지난 4년동안 국회까지 속이며 불량 방독면의 존재를 은폐해 왔습니다. 탐사보도팀 임장원 기자입니다. <리포트> 국민방독면의 성능에 처음 의혹이 제기된 것은 2002년 9월, 당시 한 방독면 제조업체가 행정자치부에 보낸 문서입니다. 방독면 정화통의 성능에 문제가 있다며, 보급중지를 건의합니다. 자체 검사 결과, 3분뒤 일산화탄소 농도가 최고 천4백ppm도 넘게 검출됐다는 구체적인 데이터까지 제시했습니다. 두 달 뒤, 행자부가 보내온 회신. 성능검사를 해본 결과, 이상이 없었다는 답변입니다. 그러나, 실제로는 보급된 방독면을 검사한 게 아니라, 검사장비의 이상 여부만 시험했던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인터뷰> 소방방재청 (당시 행자부 관계자) : "(저희들은) 전반적인 내용에 대해 성능검사를 의뢰했는데, (검사기관으로부터) 검사방법에 대해서만 (회신이) 왔습니다." 문제를 제기한 업체가 다시 검사를 촉구하자, 이번엔 연말연시와 혹한기를 피해서 내년 3월 이후에나 검사하자는 답변이 돌아옵니다. 2003년 들어서도 결국 검사는 이뤄지지 않다가, 9월 국정감사에서 민봉기 의원이 2001년과 02년에 보급된 방독면을 재검사할 것을 공식 요구합니다. 이번에도 행자부는 기준치보다 월등히 우수했다며 성능검사 결과를 내놓습니다. 그러나, 행자부가 검사한 방독면은 2001~2년 보급 제품이 아니라 당시 신제품이었던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인터뷰> 소방방재청 (당시 행자부 관계자) : "(검사한) 화재용 정화통은 언제 것을 쓰셨는지? 그 당시(2003년 11월)에 생산된 것을 가지고 했습니다." 행자부가 국회까지 우롱하면서 불량품 검사를 피해나가던 2004년 1월, 경찰청이 불량 방독면 보급 사실을 적발해냅니다. 그러자, 행자부는 최초 생산품 17만개를 리콜하고 있으며, 나머지는 문제가 없다는 보도자료를 발표합니다. 그러나, 당시 생산된 110만개 가운데 93만개에 대해선 검사를 하지 않은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인터뷰> 소방방재청 (당시 행자부 관계자) : "그 당시 민방위팀의 분위기가... 17만개를 리콜하고 있는 와중에서 (경찰 수사가) 터졌으니, 그 안에 (불량품이) 포함돼있는 걸로 가는 거지..." 2004년 10월 국정감사장. 이번엔 박찬숙 의원이 리콜된 최초 생산품 말고도 불량 방독면이 더 있다며 재검사를 요구합니다. <인터뷰> 박찬숙 (당시 국회 행자위원) : "이 문제를 추적하는 과정에서 발견한 것은 2002년 8월 이전 보급된 모든 제품이 리콜대상이라는 것입니다." 그러자, 2002년 8월 이전 제품은 모두 불량으로 판명돼 리콜중에 있다며, 아예 거짓 답변을 내놓습니다. 40만 개가 넘는 불량 방독면이 국민 생명을 위협해온 지난 4년 동안 행정당국은 국회까지 속여가면서 불량품의 존재를 덮기에 급급했습니다. KBS 뉴스 임장원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2024 파리 패럴림픽 배너 이미지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