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가 분양시장 ‘찬바람’…거품 빠진다
입력 2007.05.14 (22:06)
수정 2007.05.14 (22:07)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주택시장의 찬바람이 최근엔 상가로 확산되고 있습니다. 치솟기만 하던 상가분양가가 크게 떨어지고 있습니다.
먼저,구본국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대규모 아파트 단지를 끼고 있는 서울 잠실의 한 상가, 다섯 달이 지나도록 상가의 3분의 2가 넘는 17곳이 주인을 찾지 못하고 있습니다.
급기야 시행사는 한 평에 최고 1억3천만 원이었던 분양가를 3천만 원 내렸습니다.
<녹취> 분양관계자: "분양가가 비싸다 보니까, 손님들이 선뜻 살려는 분이 안 나서고 부동산 경기도 안 좋고."
1층의 분양가격이 한 평에 6천만 원을 넘는 서울 서초동의 한 상가 역시 사정은 마찬가지.
구입 의사를 내비치자 값을 깎아줄 수 있다고 이야기합니다.
<녹취> "유선상으로 말씀 못 드리고요, 찾아오시면 어느 정도까지 협상을 할 수 있죠."
한 부동산정보업체의 조사 결과 상가 분양가에 11~15%의 거품이 끼어 있다고 답한 사람이 절반을 넘습니다.
이렇다 보니 일부 인기 점포를 제외한 상가 투자수익률은 적정 수익률 7%에 턱없이 못 미치는 경우가 많습니다.
결국 거품이 빠질 수밖에 없는 조건입니다.
<인터뷰> 선종필(상가뉴스 레이다): "높은 가격에는 공급이 안 되니까 가격을 낮춰 공급을 현실화 하려는 부분이죠."
아파트와 함께 고분양가 행진을 계속하던 상가도 이제 거래 공백 속에 거품이 꺼지기 시작했단 분석입니다.
KBS 뉴스 구본국입니다.
주택시장의 찬바람이 최근엔 상가로 확산되고 있습니다. 치솟기만 하던 상가분양가가 크게 떨어지고 있습니다.
먼저,구본국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대규모 아파트 단지를 끼고 있는 서울 잠실의 한 상가, 다섯 달이 지나도록 상가의 3분의 2가 넘는 17곳이 주인을 찾지 못하고 있습니다.
급기야 시행사는 한 평에 최고 1억3천만 원이었던 분양가를 3천만 원 내렸습니다.
<녹취> 분양관계자: "분양가가 비싸다 보니까, 손님들이 선뜻 살려는 분이 안 나서고 부동산 경기도 안 좋고."
1층의 분양가격이 한 평에 6천만 원을 넘는 서울 서초동의 한 상가 역시 사정은 마찬가지.
구입 의사를 내비치자 값을 깎아줄 수 있다고 이야기합니다.
<녹취> "유선상으로 말씀 못 드리고요, 찾아오시면 어느 정도까지 협상을 할 수 있죠."
한 부동산정보업체의 조사 결과 상가 분양가에 11~15%의 거품이 끼어 있다고 답한 사람이 절반을 넘습니다.
이렇다 보니 일부 인기 점포를 제외한 상가 투자수익률은 적정 수익률 7%에 턱없이 못 미치는 경우가 많습니다.
결국 거품이 빠질 수밖에 없는 조건입니다.
<인터뷰> 선종필(상가뉴스 레이다): "높은 가격에는 공급이 안 되니까 가격을 낮춰 공급을 현실화 하려는 부분이죠."
아파트와 함께 고분양가 행진을 계속하던 상가도 이제 거래 공백 속에 거품이 꺼지기 시작했단 분석입니다.
KBS 뉴스 구본국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상가 분양시장 ‘찬바람’…거품 빠진다
-
- 입력 2007-05-14 21:19:00
- 수정2007-05-14 22:07:52

<앵커 멘트>
주택시장의 찬바람이 최근엔 상가로 확산되고 있습니다. 치솟기만 하던 상가분양가가 크게 떨어지고 있습니다.
먼저,구본국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대규모 아파트 단지를 끼고 있는 서울 잠실의 한 상가, 다섯 달이 지나도록 상가의 3분의 2가 넘는 17곳이 주인을 찾지 못하고 있습니다.
급기야 시행사는 한 평에 최고 1억3천만 원이었던 분양가를 3천만 원 내렸습니다.
<녹취> 분양관계자: "분양가가 비싸다 보니까, 손님들이 선뜻 살려는 분이 안 나서고 부동산 경기도 안 좋고."
1층의 분양가격이 한 평에 6천만 원을 넘는 서울 서초동의 한 상가 역시 사정은 마찬가지.
구입 의사를 내비치자 값을 깎아줄 수 있다고 이야기합니다.
<녹취> "유선상으로 말씀 못 드리고요, 찾아오시면 어느 정도까지 협상을 할 수 있죠."
한 부동산정보업체의 조사 결과 상가 분양가에 11~15%의 거품이 끼어 있다고 답한 사람이 절반을 넘습니다.
이렇다 보니 일부 인기 점포를 제외한 상가 투자수익률은 적정 수익률 7%에 턱없이 못 미치는 경우가 많습니다.
결국 거품이 빠질 수밖에 없는 조건입니다.
<인터뷰> 선종필(상가뉴스 레이다): "높은 가격에는 공급이 안 되니까 가격을 낮춰 공급을 현실화 하려는 부분이죠."
아파트와 함께 고분양가 행진을 계속하던 상가도 이제 거래 공백 속에 거품이 꺼지기 시작했단 분석입니다.
KBS 뉴스 구본국입니다.
-
-
구본국 기자 bkku@kbs.co.kr
구본국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슈
부동산 안정 대책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