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중취재] 해외 영주권자, 투표권 줘야 하나?
입력 2007.05.26 (22:00)
수정 2007.05.26 (22:13)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대선 때마다 거론되는 재외국민의 투표권 논란. 여러분은 어떻게 보십니까. 논란의 핵심을 워싱턴에서 이현주 특파원이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미국의 수도 워싱턴 D.C의 선거 위원회는 얼마 전 끝난 교육 위원 선거 뒷정리가 한창입니다.
자치 단체 선거에 불과하지만 해외체류 시민들에게 까지 투표용지를 보내는 작업이었기 때문입니다.
<인터뷰>린다(워싱턴 선거위 직원):"재외 국민 수는 9천명인데, 요청해 오면, 이 투표용지를 봉투에 넣어 세계 어디든 보내죠. 물론 한국에도요..."
미국은 이처럼 해외에 있는 국적자들을 일일이 찾아 부재자 우편 투표 형식으로 투표권을 줍니다.
빌 오필드 워싱턴 DC 선거위 대변인 재외국민의 투표권은 법적 권리입니다. 방법은 부재자 우편 투표구요, 해외에 있다고 투표권을 박탈할 수 없다는 거죠
이같은 예를 들며 전 세계 동포 단체들이, 힘을 결집하기 시작했습니다.
주재원과 유학생은 물론 영주권자까지 투표권을 달라는 겁니다.
특히 국내에 주민등록이 돼 있는 사람만을 투표 자격자로 간주하는 국내법은 위헌이라고 지적합니다.
<인터뷰>김영근(세계 한인회장 대회 공동의장): "영주권자까지는 한국 국민입니다. 헌법상 모든 국민은 주민등록여부에 관계없이 참정권을 갖게 돼 있는데, 이건 차별이라고 봅니다."
영주권자까지 포함하면 280만명.
동포단체들은 이번 대선부터 투표권을 얻겠다고 밝힙니다.
그러나, 병역과 납세 의무 등이 별도로 관리되는 이들에게 투표권을 부여하는 게 내국민들과의 형평성에 문제가 있다는 반론도 강해, 그 향배가 주목됩니다.
워싱턴에서 KBS 뉴스 이현주입니다.
대선 때마다 거론되는 재외국민의 투표권 논란. 여러분은 어떻게 보십니까. 논란의 핵심을 워싱턴에서 이현주 특파원이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미국의 수도 워싱턴 D.C의 선거 위원회는 얼마 전 끝난 교육 위원 선거 뒷정리가 한창입니다.
자치 단체 선거에 불과하지만 해외체류 시민들에게 까지 투표용지를 보내는 작업이었기 때문입니다.
<인터뷰>린다(워싱턴 선거위 직원):"재외 국민 수는 9천명인데, 요청해 오면, 이 투표용지를 봉투에 넣어 세계 어디든 보내죠. 물론 한국에도요..."
미국은 이처럼 해외에 있는 국적자들을 일일이 찾아 부재자 우편 투표 형식으로 투표권을 줍니다.
빌 오필드 워싱턴 DC 선거위 대변인 재외국민의 투표권은 법적 권리입니다. 방법은 부재자 우편 투표구요, 해외에 있다고 투표권을 박탈할 수 없다는 거죠
이같은 예를 들며 전 세계 동포 단체들이, 힘을 결집하기 시작했습니다.
주재원과 유학생은 물론 영주권자까지 투표권을 달라는 겁니다.
특히 국내에 주민등록이 돼 있는 사람만을 투표 자격자로 간주하는 국내법은 위헌이라고 지적합니다.
<인터뷰>김영근(세계 한인회장 대회 공동의장): "영주권자까지는 한국 국민입니다. 헌법상 모든 국민은 주민등록여부에 관계없이 참정권을 갖게 돼 있는데, 이건 차별이라고 봅니다."
영주권자까지 포함하면 280만명.
동포단체들은 이번 대선부터 투표권을 얻겠다고 밝힙니다.
그러나, 병역과 납세 의무 등이 별도로 관리되는 이들에게 투표권을 부여하는 게 내국민들과의 형평성에 문제가 있다는 반론도 강해, 그 향배가 주목됩니다.
워싱턴에서 KBS 뉴스 이현주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집중취재] 해외 영주권자, 투표권 줘야 하나?
-
- 입력 2007-05-26 21:05:18
- 수정2007-05-26 22:13:49

<앵커 멘트>
대선 때마다 거론되는 재외국민의 투표권 논란. 여러분은 어떻게 보십니까. 논란의 핵심을 워싱턴에서 이현주 특파원이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미국의 수도 워싱턴 D.C의 선거 위원회는 얼마 전 끝난 교육 위원 선거 뒷정리가 한창입니다.
자치 단체 선거에 불과하지만 해외체류 시민들에게 까지 투표용지를 보내는 작업이었기 때문입니다.
<인터뷰>린다(워싱턴 선거위 직원):"재외 국민 수는 9천명인데, 요청해 오면, 이 투표용지를 봉투에 넣어 세계 어디든 보내죠. 물론 한국에도요..."
미국은 이처럼 해외에 있는 국적자들을 일일이 찾아 부재자 우편 투표 형식으로 투표권을 줍니다.
빌 오필드 워싱턴 DC 선거위 대변인 재외국민의 투표권은 법적 권리입니다. 방법은 부재자 우편 투표구요, 해외에 있다고 투표권을 박탈할 수 없다는 거죠
이같은 예를 들며 전 세계 동포 단체들이, 힘을 결집하기 시작했습니다.
주재원과 유학생은 물론 영주권자까지 투표권을 달라는 겁니다.
특히 국내에 주민등록이 돼 있는 사람만을 투표 자격자로 간주하는 국내법은 위헌이라고 지적합니다.
<인터뷰>김영근(세계 한인회장 대회 공동의장): "영주권자까지는 한국 국민입니다. 헌법상 모든 국민은 주민등록여부에 관계없이 참정권을 갖게 돼 있는데, 이건 차별이라고 봅니다."
영주권자까지 포함하면 280만명.
동포단체들은 이번 대선부터 투표권을 얻겠다고 밝힙니다.
그러나, 병역과 납세 의무 등이 별도로 관리되는 이들에게 투표권을 부여하는 게 내국민들과의 형평성에 문제가 있다는 반론도 강해, 그 향배가 주목됩니다.
워싱턴에서 KBS 뉴스 이현주입니다.
-
-
이현주 기자 goodsam@kbs.co.kr
이현주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