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중취재] 재외 국민 참정권 어디까지?
입력 2007.05.26 (22:00)
수정 2007.05.26 (22:13)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재외국민의 참정권 도입을 위해선 우선 관련법부터 개정돼야 하는데요. 과연 정치권은 어떤 입장인지 유지향 기자가 알아봤습니다.
<리포트>
재외국민 참정권과 관련해 정치권의 최대 쟁점은 투표권을 적용하는 범윕니다.
한나라당은 영주권자까지 포함해야 한다는 입장인 반면 열린우리당은 일단 단기체류자부터 시행하자고 맞서고 있습니다.
<인터뷰>김덕룡(한나라당 의원): "일시체류자든 영주권자든 모두 우리 국민이다. 헌법은 모든 국민에게 투표권을 주게 돼 있다"
<인터뷰>김성곤(열린우리당 의원): "선거 기술상 불가능한 것으로 판단된다. 점진적으로 가능한 범주부터 먼저 실시하고..."
양당의 속내에는 올 대선에서의 표 계산이 깔려 있습니다.
영주권자까지 포함하면 보수성향의 중장년층이 많아 한나라당에 유리한 반면, 젊은 층 비율이 높은 단기체류자만 시행하면 열린우리당에 유리할 것으로 정치권은 보고 있습니다.
재외국민 투표권자는 단기체류자만 110만명, 영주권자까지 포함하면 280만명에 달합니다.
지난 2번의 대선에서 각각 39만 표, 57만 표 차로 당락이 갈렸던 만큼 재외 국민 표의 향방이 이번 대선에서 중요한 변수가 될 수 있습니다.
양당은 그러나 아직 정개특위 구성조차 합의하지 못했습니다.
<인터뷰>문상부(선관위 선거국장): "6월 국회에서는 돼야 되고 되더라도 특단의 대책이 필요하다. "
이런 가운데 이르면 이달 말쯤 재외국민의 참정권 제한이 위헌인지를 가리는 헌법재판소 판결이 나올 것으로 예상돼 그 결과가 주목됩니다.
KBS 뉴스 유지향입니다.
재외국민의 참정권 도입을 위해선 우선 관련법부터 개정돼야 하는데요. 과연 정치권은 어떤 입장인지 유지향 기자가 알아봤습니다.
<리포트>
재외국민 참정권과 관련해 정치권의 최대 쟁점은 투표권을 적용하는 범윕니다.
한나라당은 영주권자까지 포함해야 한다는 입장인 반면 열린우리당은 일단 단기체류자부터 시행하자고 맞서고 있습니다.
<인터뷰>김덕룡(한나라당 의원): "일시체류자든 영주권자든 모두 우리 국민이다. 헌법은 모든 국민에게 투표권을 주게 돼 있다"
<인터뷰>김성곤(열린우리당 의원): "선거 기술상 불가능한 것으로 판단된다. 점진적으로 가능한 범주부터 먼저 실시하고..."
양당의 속내에는 올 대선에서의 표 계산이 깔려 있습니다.
영주권자까지 포함하면 보수성향의 중장년층이 많아 한나라당에 유리한 반면, 젊은 층 비율이 높은 단기체류자만 시행하면 열린우리당에 유리할 것으로 정치권은 보고 있습니다.
재외국민 투표권자는 단기체류자만 110만명, 영주권자까지 포함하면 280만명에 달합니다.
지난 2번의 대선에서 각각 39만 표, 57만 표 차로 당락이 갈렸던 만큼 재외 국민 표의 향방이 이번 대선에서 중요한 변수가 될 수 있습니다.
양당은 그러나 아직 정개특위 구성조차 합의하지 못했습니다.
<인터뷰>문상부(선관위 선거국장): "6월 국회에서는 돼야 되고 되더라도 특단의 대책이 필요하다. "
이런 가운데 이르면 이달 말쯤 재외국민의 참정권 제한이 위헌인지를 가리는 헌법재판소 판결이 나올 것으로 예상돼 그 결과가 주목됩니다.
KBS 뉴스 유지향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집중취재] 재외 국민 참정권 어디까지?
-
- 입력 2007-05-26 21:07:21
- 수정2007-05-26 22:13:55

<앵커 멘트>
재외국민의 참정권 도입을 위해선 우선 관련법부터 개정돼야 하는데요. 과연 정치권은 어떤 입장인지 유지향 기자가 알아봤습니다.
<리포트>
재외국민 참정권과 관련해 정치권의 최대 쟁점은 투표권을 적용하는 범윕니다.
한나라당은 영주권자까지 포함해야 한다는 입장인 반면 열린우리당은 일단 단기체류자부터 시행하자고 맞서고 있습니다.
<인터뷰>김덕룡(한나라당 의원): "일시체류자든 영주권자든 모두 우리 국민이다. 헌법은 모든 국민에게 투표권을 주게 돼 있다"
<인터뷰>김성곤(열린우리당 의원): "선거 기술상 불가능한 것으로 판단된다. 점진적으로 가능한 범주부터 먼저 실시하고..."
양당의 속내에는 올 대선에서의 표 계산이 깔려 있습니다.
영주권자까지 포함하면 보수성향의 중장년층이 많아 한나라당에 유리한 반면, 젊은 층 비율이 높은 단기체류자만 시행하면 열린우리당에 유리할 것으로 정치권은 보고 있습니다.
재외국민 투표권자는 단기체류자만 110만명, 영주권자까지 포함하면 280만명에 달합니다.
지난 2번의 대선에서 각각 39만 표, 57만 표 차로 당락이 갈렸던 만큼 재외 국민 표의 향방이 이번 대선에서 중요한 변수가 될 수 있습니다.
양당은 그러나 아직 정개특위 구성조차 합의하지 못했습니다.
<인터뷰>문상부(선관위 선거국장): "6월 국회에서는 돼야 되고 되더라도 특단의 대책이 필요하다. "
이런 가운데 이르면 이달 말쯤 재외국민의 참정권 제한이 위헌인지를 가리는 헌법재판소 판결이 나올 것으로 예상돼 그 결과가 주목됩니다.
KBS 뉴스 유지향입니다.
-
-
유지향 기자 nausika@kbs.co.kr
유지향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